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 미쓰다 신조 작가 시리즈 1
미쓰다 신조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원제 - 忌館, ホラ-作家の棲む家

  작가 - 미쓰다 신조

 

 

 



 

 

  어쩌다보니 매달 미쓰다 신조의 책을 한 권씩 읽게 되었다. 그 말은 즉, 매달 뒤를 돌아보게 하는 오싹한 느낌을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여름도 오래 전에 지나갔는데 왜 이제야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지만, 차가운 바람과 함께 읽는 호러 소설도 꽤 좋다.

 

 

  이번 이야기는 작가가 어느 집에서 살면서 겪은 일에다가 다른 사람이 겪은 경험담을 버무려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실제 있었던 일에 작가의 상상력이 결합되었다는 얘긴데……. 흐음. 100%는 아니더라도 진짜 저런 비슷한 일이 있었다면, 그건 그것대로 문제다. 어디선가 그런 기괴한 일이 벌어졌다는 뜻이니까.

 

 

  주인공인 ‘미쓰다 신조’는 우연히 발견한 서양식 저택에 흥미를 갖게 된다. 잡지에 연재할 호러 소설을 집필하는데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에, 그는 그 집에서 머무르기로 한다. 어쩐지 그 집에 대해 사람들이 뭔가 숨기고 있는 눈치지만, 그는 그게 더 소설 집필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우연히 커다란 ‘인형의 집’을 발견한 미쓰다 신조는 그것이 공교롭게도 그가 살고 있는 저택 ‘인형장’과 똑같은 구조로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또한 그 집에서 실제로 살았던 가족들이 처참하게 살해되었다는 것도 알게 되는데…….

 

 

  이야기는 작가인 미쓰다 신조가 겪는 일과 그가 쓴 소설 속의 주인공 ‘코토히토’에게 벌어지는 두 가지 흐름으로 진행된다. 코토히토가 어떻게 보면 작가의 분신이기에 둘이 겪는 사건은 비슷하다. 아니, 똑같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작가에게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코토히코에게도 일어날 것 같고, 코토히코가 무언가 보거나 느끼면 보면 작가에게도 실제로 그런 일이 생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일까? 둘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면서 나오는데, 한 챕터가 끝날 때마다 다음 장을 넘기기가 두려웠다.

 

 

  내 생각에 이 작가의 특징은 ‘서서히 조여오기’ 같다. 이번 이야기에서도 두 주인공의 심리 묘사와 주위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대한 서술이 결합하면서 서서히 조여 오는 분위기는 극대화를 이루었다. 작가는 작가대로 저택에서 벌어진 참극에 대해 조사하고, 동시에 소설 속에서는 코토히코에게 위기가 닥치는 설정이 교묘하게 맞물렸다. 그러다보니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소설인지 구별할 수 없을 정도였다. 만약 SF 소설이었다면, 차원의 틈이 생겨서 두 세계가 섞이고 있다고 했을 것이다.

 

 

  인형의 집에서 일어나는 일이 현실에서도 벌어지는 설정을 다룬 작품들은 꽤 있다. 우선 영화 아미비틸 시리즈의 여덟 번째 이야기인 ‘Amityville - Dollhouse. 1996’가 있고, 영화 ‘어웨이크닝 The Awakening, 2011’도 있었다. 하지만 두 작품 다 그렇게 오싹하다 거나 으스스한 분위기를 잘 보여주지 못했다. 차라리 이 책이 인형의 집이라는 소재를 더 효과적으로 다루었다.

 

 

  책 말미에 해설이라고 해서 ‘사사카와 요시하루’라는 사람이 작품과 작가에 대해 얘기를 하는 부분이 있었다. 그런데 우와, 이 사람마저 이렇게 뒤통수를 칠 줄은 몰랐다. 다 끝났다고 안심하고 있었는데 와, 진짜 어쩌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