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르 이야기 - <곤충기>를 쓴 파브르의 특별한 삶
매튜 클라크 스미스 지음, 줄리아노 페리 그림, 홍수원 옮김 / 두레아이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 곤충기를 쓴 파브르의 특별한 삶

  원제 - Small Wonders: Jean-Henri Fabre & His World of Insects, 2015

  작가 - 매튜 클라크 스미스

  그림 - 줄리아노 페리

 

 

 

 

 

  어릴 적에 파브르 위인전을 읽은 적이 있다. 곤충을 관찰하고 그것을 기록하여 유명하다고만 알고 있었던 나에게, 그 책은 다소 충격적이었다. 읽은 지 몇 십 년이 지났기에 다른 것들은 하나도 생각이 안 나고 오직 단 한 장면만 기억난다. 파브르가 지인들을 초대해서 곤충 시식회를 연 부분이었다. 오동통하게 살이 오른 애벌레를 구워서……. 책을 읽을 때 머릿속으로 장면을 연상하면서 읽는 나에게 그 대목은 충격이었다. 발이 너무 많거나 하나도 없는 것을 극도로 무서워하기에, 그 문단은 읽는 것만으로도 혐오스러웠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 그 책의 저자는 파브르가 얼마나 곤충에 대해 알고 싶어 했는지 말하고자 그렇게 적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파브르는 베어 그릴스의 원조였다는 결론밖에 나지 않는다. 진짜 그런 일이 있었다면 말이다.



 

  그럼 이 책은 어땠을까? 이 이야기는 독특하게 위인의 출생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어느 마을에 살고 있는 곤충을 좋아하는 의문의 노인에서부터 출발한다. 밖에 잘 나오지 않고 곤충을 관찰하기에, 마을에는 온갖 소문이 떠돌았다. 그러던 어느 날, 정부 고위관료가 그를 찾아오면서 그제야 정체가 밝혀진다. 바로 파브르였다. 이후 책은 파브르의 어린 시절부터 다루고 있다. 그가 어떻게 곤충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가 자란 곳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말하고 있다. 또한 그가 어째서 ‘곤충기’를 적을 결심을 하고, 그것이 주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이야기한다.

 

  그림은 사실적인 것 같으면서도 무척 아름다웠다. 평소에 싫어하는 곤충이었지만, 이 책에서는 그리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읽을 수 있었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따뜻하다는 느낌을 주는 그림들이었다. 그냥 그림만 봐도 기분이 좋아졌다.


 



  이번에 처음으로 안 사실은 파브르가 노벨 문학상 후보로 추천되었다는 점이다. 헐, 난 지금까지 곤충에 대한 연구를 했기에 의학 분야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문학상이라니! 그가 쓴 ‘곤충기’는 무척이나 멋진 책이었나 보다. 딱딱한 관찰 일기 정도로만 생각했던 내 자신을 반성해본다.

 

  아쉽게도 이 책에서는 애벌레를 먹는 얘기가 없어서, 막내 조카에게 내가 어릴 적에 경험했던 충격을 줄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괜찮다. 이 책을 통해 나의 그런 안 좋은 기억이 어쩐지 완화된 것 같으니까.

 

  파브르가 한 말이라는데, 무척이나 인상 깊어서 적어둔다.

 

  ‘인간이나 동물에게는 모두 특별한 재능이 있습니다. 어떤 아이는 음악에 빠져들고, 어떤 아이는 수치에 대한 이해가 빠릅니다. 곤충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종류의 벌은 나뭇잎을 잘 자르고, 어떤 종류의 벌은 진흙으로 보금자리를 만듭니다……. 사람들은 이런 특별한 재능을 천성이라고 부르지만 곤충의 세계에서는 본능이라고 부릅니다, 본능은 동물의 천성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