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아 더 나이트
데니스 간젤 감독, 카롤리네 헤어퍼스 외 출연 / 미디어허브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원제 - We Are the Night, Wir Sind Die Nacht,2010

  감독 - 데니스 간젤

  출연 - 카롤리네 헤어퍼스, 니나 호스, 제니퍼 울리히, 안나 피셔

 

 

 

 

 

  뱀파이어물이다! 게다가 포스터에는 매력적인 세 명의 여자가 야시시한 옷을 입고 당당한 자세로 정면을 보고 있다. 그들 밑에는 한 남자가 목을 드러내고 누워있었다. 원래 뱀파이어가 나오는 영화는 약간 에로틱한 분위기가 있으니까, 어쩐지 기대가 되었다.

 

  영화의 오프닝은 오래된 명화와 사진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그 모든 그림과 사진 속에 똑같은 얼굴을 한 여인이 들어있는 것이다. 화면이 바뀌어 현재. 도둑질로 살아가던 레나는 어느 클럽에서 우연히 루이즈를 만나고, 그녀에게 물린다. 집으로 돌아와서 자신의 몸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게 된 레나는 루이즈를 찾아가고, 그녀의 정체를 알게 된다. 루이즈, 샤롯, 그리고 노라는 바로 뱀파이어였다. 그들과 함께 지내게 되면서,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가 되듯이 숨겨왔던 미를 뽐내는 노라. 지금까지 꿈도 꿀 수 없었던 향락에 빠져 살아간다. 하지만 계속되는 의문의 살인사건을 수사하던 경찰의 포위망이 그들을 향해오고, 안전했던 삶에 균열이 생기는데…….

 

  영화는 내 기대와 많이 달랐다. 지금까지 보아왔던 뱀파이어 영화와는 달리, 사람들에게 공포를 자아내면서 습격하는 장면이나, 에로틱하게 사람을 유혹해 목을 무는 장면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레나의 혼란과 루이즈의 집착, 노라의 어린아이 같은 무분별함 그리고 샤롯의 우울한 시니컬만이 보였다. 다들 과거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느낌이었다. 거기서 벗어나기 위해 더 자유분방하게 행동하고, 그것을 잊지 않기 위해 계속 머물러 있었다.

 

  왜 루이즈가 그렇게 레나에게 집착하는지 이유는 자세히 나오지 않는다. 그냥 그녀가 오랫동안 누군가를 찾고 있었고, 그 기준에 레나가 맞아떨어졌다는 추측만 가능할 뿐이다. 흐음, 오랫동안 찾아 헤맨 사람이었기에 무조건적으로 베풀고 배려하고 모든 것을 다 받아주었던 걸까? 그 때문에 자신과 친구들이 죽을 위기에 처해도?

 

  아무리 약을 하거나 먹고 마시고 섹스를 해도, 그들은 살이 찌지도 않고 중독되지도 취하지도 임신하지 않는다. 살이 안 찐다니! 갑자기 부러워졌다. 아, 어쩌면 이 영화에서의 뱀파이어는 여자들이 부러워하는 것을 갖고 있는 존재로 표현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들의 세계에서 남자 뱀파이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너무나 멍청하고 시끄러워서 멸종하거나 살해당했다고 했다. 그래서 여자들에게만 뱀파이어가 되는 기회가 주어진다. 오직 여자들만이 그 자유와 특권을 누리는 것이다. 다만 낮에 돌아다닐 수 없다는 것만 빼고 말이다.

 

  누군가에게 그것은 축복이자 기적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저주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샤롯에게는 저주였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자신의 딸을 그리워한 나머지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으니까. 루이즈는 뱀파이어로 변하는 과정을 기적이라고 말한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미운 오리가 백조가 되듯이, 레나의 변신은 놀라웠다. 기적이라고 해도 될 것 같았다. 물론 분장의 힘이겠지만. 천덕꾸러기로 재를 뒤집어쓰고 있던 어린 소녀가 무도회에서 제일 아름다운 공주로 재탄생하는 것 같았다. 영화에서도 그런 비슷한 암시를 한다. 처음으로 드레스를 차려입은 레나가 말한다. '신발이 없어요.'

 

  루이즈가 레나에게 보여준 세계를 왕자의 무도회라고 한다면, 영화는 12시를 향해 달려간다. 파티의 끝이자 다시 재투성이로 돌아와야 할 시간. 그러면 왕자는 누구일까?

 

  신데렐라 영화치고는 꽤나 우울한 분위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