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명탐정들
정명섭.최혁곤 지음 / 황금가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정명섭, 최혁곤

 

 

 

 

  실록과 역사서에서 추린, 조선시대에 발생한 사건을 조사하고 범인을 잡아낸 16인의 명탐정을 소개한 책이다. 사건의 개요는 소설 형식으로 꾸몄고, 조사 과정은 기록에 적힌 것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거기에 시대적 배경이나 저자의 의견이 덧붙여졌다. 마지막으로 소개한 탐정과 비슷한 외국 추리 소설의 탐정을 소개하면서 마무리되고 있다.

 

  16명의 명탐정이라지만 사건은 13개이다. 팀을 이루어 해결한 경우도 있기 마련이다. 탐정에 이름을 올린 사람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세종대왕이나 정조라든지 정약용, 심지어 연산군까지 있었다.

 

  조선시대에 일어났던 사건 기록을 보면서, 예전이나 지금이나 돈과 사랑이 범죄의 원인이라는 걸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다. 또한 권력을 가진 양반과 종친의 범죄에 대해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보면서, 권력형 범죄에 대해서는 그 때나 지금이나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도 깨달았다. 언제나 범죄에 대해 가혹하게 처벌받는 것은 일반 백성 대상으로 할 때뿐이다. 비록 권력 앞에서도 법에 따라 공정하게 처리해야한다고 하는 관리가 존재하긴 하지만, 왕의 비호 앞에 그 관리가 불이익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그건 뭐 지금도 비슷한 경우이긴 하다. 줄을 잘 서야 하는 건가?

 

  책은 실제 있었던 사건 기록을 바탕으로 하고, 시대적 배경이나 상황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그래서 옛 조상들의 생활상이라든지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기 쉬웠다. 그래서 그런 판결이 날 수 밖에 없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래도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은 있었다. 바로 용의자를 잡아다가 무조건 곤장을 치면서 범죄를 자백하게 한다는 점이었다. 요즘으로 따지면 고문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런 식으로 거짓으로 자백하게 하거나, 매를 견디다 못해 용의자가 죽어버리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었다. 그런데 그런 말들이 너무도 자연스럽게 나오는데, 읽다가 ‘헐’하고 놀랐다. 예전에는 고문이 너무도 당연한 일이었나 보다. 아, 그래서 그 전통이 이어져서…….

 

  또한 아쉬운 점도 더러 있었다. 우선 왜 외국 소설 속의 탐정들과 비교했는지 이상했다. 이 책에 있는 사람들은 실제 존재했던, 살아 숨 쉬던 인물들이었다. 그런데 왜 허구의 인물들과 연결을 시켰을까? 그냥 조상들의 사례만 보여줘도 좋았을 것 같다. 그리고 그 연관성이라는 게 어떤 건 좀 억지스러운 면도 있었다. 어쩐지 추리 소설 속의 탐정들을 소개시키기 위해 조상들의 과거 사례를 찾아낸 것 같다는 느낌도 들었다.

 

  그리고 중간에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143쪽에 나오는 이순의 사례였다. ‘하지만 윤백원의 재산은 정실부인의 유일한 소생인 개미치에게 상속되어야만 했다. 하지만 윤백원은 자신이 그 재산을 독차지하면서 개미치와 사이가 벌어졌다.’라는 문장이 있다. 여기서 윤백원은 아버지이고 개미치는 딸이다. 아버지가 아직 죽지 않았으니 재산이 상속될 일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왜 그 재산을 독차지했다고 딸과 사이가 벌어질까? 혹시 정실부인, 그러니까 개미치의 생모가 남긴 유산이 딸에게 가야하는데 그걸 아버지가 후처와 함께 차지해버려서 문제가 생겼다고 봐야하는 게 아닐까? 이해가 가지 않는다.

 

  그리고 첫 번째 장을 펼치자마자 보이는 오타 때문에 깜짝 놀랐다. 출판사가 그래도 나름 이름 있는 곳인데……. 12페이지 끝에서 세 번째 줄, ‘조정에서 이 문제를 덥기로 결정하면서’ 라고 적혀있다. ‘덮다’를 써야하는 게 아닌가? ‘덥다’는 ‘날이 덥다.’에서처럼 쓰는 말일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