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가 읽어 주는 신기한 이야기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지음, 박성준 외 옮김 / 레디셋고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원제 - Just So Stories, 1902

  작가 -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제목은 ‘아빠가 읽어주는’이지만 ‘고모가 읽어주면 안 될 게 뭐가 있어?’라는 생각으로 고른 책이다. 제목 그대로 참으로 신기한 이야기들이 가득 들어 있었다. 어떤 면에서는 예전에 읽은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Baron Munchausen, 1785’보다 규모 면으로는 훨씬 대단했다. 음, 옛날 사람들은 뻥도 창조적으로 잘 쳤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어린 아이들에게 아빠가 들려주는 옛날 옛적에 있었던, 여러 가지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다. 낙타의 혹은 왜 생겼는지, 캥거루는 왜 그렇게 껑충껑충 뛰는지, 알파벳은 어떻게 생겨났는지 등등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동화가 그림과 함께 들어있었다. 특이하게도 총 12개의 이야기를 네 명의 아빠가 세 개씩 맡아서 번역을 했다. 아, 그래서 아빠가 읽어주는 이야기인가보다. 그래서 이야기가 세 개 끝날 때마다, 그것을 번역한 사람의 간단한 소감이라든지 이 책에 대한 생각이 들어있다.

 

  그런데 읽다가 ‘어?’하는 이야기가 있었다. ‘코끼리의 코는 왜 길어졌을까?’라는 글인데, 예전에 어디선가 읽고 막내조카에게 잠자기 전에 들려줬던 이야기였다. 매일은 아니지만 어렸을 적에 고모와 자고 싶다고 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면 동화를 대여섯 개 이야기해주고 동요 열곡을 불러주는 걸 두 번은 반복해야 자곤 했다. 그 때, 이 이야기도 꽤 재미있게 들었다. 악어가 아기 코끼리 코를 물었다는 대목에서 ‘앙!’하면서 조카 코를 물겠다고 하면, 자기 코를 움켜쥐고 자긴 사람이라고 발버둥을 치곤했다.

 

  책을 읽던 막내 조카도 그 기억이 났는지, ‘고모, 이 이야기!’하면서 아는 척을 했다. 그러면서 ‘고모는 옛날에 이 책을 읽었구나.’라면서 놀라워한다. ‘물론이지, 고모는 책을 많이 읽었어.’라고 말하자, ‘대단해.’라면서 감탄한다. 아, 이렇게 아는 척을 하면 안 되는데……. 이러면 고모를 모르는 게 없는 사람으로 알 텐데……. 그건 나중에 닥치면 생각하자.

 

  읽으면서 감탄에 감탄을 거듭했다. 야,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지? 어쩜 이런 뻥을 진지하고 나름의 논리를 갖춰서 칠 수 있을까? 진짜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파시 교도의 케이크를 빼앗아 먹은 대가로 가려움증에 걸려서 가죽이 쭈글쭈글해진 코뿔소의 얘기는 ‘삥뜯지 말자’는 큰 교훈을 줬다. 덩치만 믿고 자기보다 약한 사람을 괴롭히면, 큰 코 당한다는 내용이었다. 환경에 맞게 자신의 피부색과 가죽무늬를 바꾼 에티오피아 사람과 표범의 이야기는 묘한 느낌을 주었다. 예전에는 인간과 맹수가 힘을 합쳐 사냥을 했다는 말이잖아? 그런데 의문이 들었다. 왜 작가는 굳이 콕 집어서 에티오피아 사람이라고 했을까? 어쩌면 흑인이라는 인종차별적인 단어를 쓰지 않기 위함일까? 이미 백 년 전에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는 작가가 있었다니, 대단하다는 느낌이었다.

 

  그런데 아직 이해가 가지 않는 이야기가 있다. ‘고양이는 어떻게 동굴에 들어가게 되었을까?’라는 제목인데, 왜 남자와 개가 고양이의 마지막 말에 꼬투리를 잡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난 여전히 혼자 다니는 야생 고양이이고, 나에겐 어디나 다 비슷하답니다.”라는 말이 그렇게 빈정상할 대답일까? 그 말만 안 했으면 자기들도 고양이를 좋아했을 텐데, 그 말 때문에 괴롭힌다는 게 좀 어이가 없었다. 어쩌면 그 둘은 고양이를 동굴에 들여놓기 싫었기에 괜히 트집을 잡아 괴롭히는 걸지도 모르겠다.

 

  이야기는 동물이 주된 소재이지만, 인간 중심의 시각을 갖고 있다. 하긴 인간이 적었으니 당연한 말이겠다.

 

  상상력에 놀라고, 전개에 놀라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