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퍼지
제임스 드모나코 감독, 에단 호크 외 출연 / 유니버설픽쳐스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원제 - The Purge , 2013

  감독 - 제임스 드모나코

  출연 - 에단 호크, 레나 헤디, 맥스 버크홀더, 토니 올러

 

 

 

 

 

  일 년에 단 하루, 무슨 죄를 저질러도 처벌받지 않는 날이 있다. 그 날만은 자신을 '정화'하기 위해 살인이건 약탈이건 방화건 다 허용이 된다. 그렇다고 하루 종일 허용이 되는 게 아니라, 딱 12시간만 해당된다. 그 날, 부유층 사람들은 고가의 방범시스템을 설치한 저택에서 숨죽이고 있기도 하고, 그런 걸 설치할 비용이 없는 사람들은 폭력 행위에 가담하거나 피해자가 된다. 또한 그 날만 기다리며 칼을 가는 사람들도 많았다.

 

  주인공 제임스는 방범 시스템을 파는 사람으로, '퍼지 데이' 덕분에 많은 돈을 벌어 부유층이 사는 동네에 정착하는 데 성공한다. 아름다운 부인과 큰 딸 그리고 기계 만지는 걸 좋아하는 어린 아들과 함께 이웃 주민들과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그리고 문제의 그 날, 그는 자신이 파는 최첨단 방범장치를 설치한 집에서 안락하게 밤을 보낼 계획이었다.

 

  하지만 아들이 한 무리의 사람들에게 폭행당하고 쫓기는 흑인을 집에 들이면서 문제가 일어난다. 그를 고문하고 죽이려던 사람들이 나타나 제임스에게 협박을 한 것이다. 흑인을 내놓지 않으면, 제임스네 집을 공격해 가족을 모두 죽이겠다고 말이다.

이제 제임스는 갈등하기 시작한다. 그에게 '퍼지 데이'는 그냥 실적을 올리기에 좋은 수단에 불과했다. 처형을 나선 적도 없고, 그냥 조용히 가족들과 숨어 지내는 편이었다. 그런데 이제 자신의 집에 도움을 요청한 피 흘리는 사람이 눈앞에 있다. 그를 내보내자니 사람을 죽이는데 관여한 것 같고, 그러지 않자니 자신은 물론이고 가족이 위험하다.

 

  이 영화의 반전은 아마도 제임스를 공격한 무리의 정체일 것이다. 평소에는 정숙하고 고상하며 지적으로 행동하던 사람들이 얼마나 무자비한 행동을 하고 엄청난 증오심과 폭력성을 드러낼 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본성이 폭력에 있다면, 이 영화는 '성악설 性惡說'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인다. 영화의 사람들은 사회적 지위와 체면, 타인의 시선 때문에 자신의 폭력적인 성향을 숨기고 있다가, 때가 되면 마음껏 분출하니까 말이다.

 

  발상은 신선했다. 하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여기저기에 구멍이 보였다.

 

  우선 국가가 허용하는 범죄와 그 대상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의문이었다. 오프닝이나 뉴스 화면을 보면 살인, 약탈, 방화, 폭행이 허용되는 거 같은데, 그럼 정부 고위 관료나 대통령까지 죽여도 괜찮은 걸까? 보좌관이나 비서 내지는 치정 관계로 고위 공직자나 대통령을 죽여도 그 날은 처벌을 안 받는다잖아? 소방서나 병원 구급센터도 운영하지 않는다니까……. 만약에 외국에서 돈을 주고 의원이나 공직자 또는 대통령을 죽이라고 미국인을 고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리고 국정 공백 기간을 노려서 공격을 하면 미국은 그냥 끝나는 거 아닌가?

 

  그리고 만약에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피해를 입으면 어떻게 될까? 국제문제로 번지지는 않을까? 그러니까 외국인은 때리거나 죽이면 안 되는 거라고 봐야할까? 이 사람이 외국 국적인지 미국 국적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차피 서양 사람은 다 비슷한데. 물론 영화에서는 '퍼지 데이'에 찬성하는 집은 무슨 꽃인가를 놓는다고 하지만, 흐음.

 

  인간의 본성에 대해 얘기하기에는 인물의 심리가 덜 드러났고, 그냥 스릴러 액션물로 보기에는 조금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