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치도록 가렵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44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 김성연

 

 

 

 

  어른이 된다는 것은 뭐라고 확실히 규정지을 수 없는 일이다. 민사법이나 형사법상으로 정해놓은 나이가 되면 어른이 되는 걸까? 혹은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으면 그때부터 무조건 다 어른이 되는 걸까? 그런데 간혹 나이가 어린 어떤 애들에게 어른스럽다고 말할 때가 있다. 반대로 나이가 많은 몇몇 사람들에게 어린애 같다고 할 때도 있다. 그러면 어른스럽다는 게 뭘까? 그와 비슷하게 나잇값을 한다는 건 뭘까? 책을 읽으면서 과연 어른이 된다는 건 뭔지, 성장한다는 건 어떤 의미인지 곰곰이 생각해봤다.

 

  책은 성장하는 아이들과 그런 그들의 주위에 있는 어른들의 이야기이다.

 

  아이들은 각자 나름대로 심각한 고민을 갖고 있다. 어떤 아이는 그것을 자각하고 반성하기도 하고, 또 어떤 아이는 회피하려한다. 그리고 또 다른 아이는 그에 맞서기도 한다.

 

  '도범'은 여러 번 폭력사건에 휘말리고 전학도 자주 다녔다. 그러다 자기 때문에 풍비박산이 난 가정과 자신을 전염병에 걸린 것처럼 꺼려하는 동네 사람들을 보면서, 일진의 세계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이미 그에게 찍힌 낙인은 쉽게 지워지지 않았다. 청각장애 부모를 둔 '해명'은 자신을 업신여기는 아이들에게 복수하기위해 망치를 가지고 다녀서 별명이 해머이다. 그는 어눌한 자신의 발음을 들키지 않으려고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거부한다. '이담'은 점수나 대학을 위한 책읽기가 아닌, 책과 소통하는 아이였다. 그 때문에 무리에 끼지 못하고 혼자 책과 시간을 보내고 있다. '희곤'은 전교 1등을 하는 아이였지만, 주위의 기대에 부담을 느껴 모든 것을 놓아버렸다.

 

  아이들은 자신을 이해해주려 하지 않는 주위 사람들을 더 이상 믿지 않았다. 그 때문에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벽을 높이 세우고 그 안에서 지내기로 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누군가 그 벽을 허물고 들어와, 인정해주길 갈망하고 있었다. 낙인이 아닌 자신을 봐줄 사람, 어눌한 자신의 발음을 끈기 있게 들어주고 칭찬을 해줄 사람 그리고 자신의 책 읽는 세상을 인정해줄 사람이 와주길 기다렸다.

 

  다양한 아이들의 모습처럼, 어른들도 각양각색이다.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지켜보려는 사람,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하면서 좋은 게 좋은 거라 생각하는 사람, 무사안일주의로 대충 넘기려는 사람 그리고 방관하는 사람 등등.

 

  도서관 담당 교사인 '수인'은 아이들에게 책을 읽는 즐거움을 알려주고, 다양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이 학교로 전근을 오면서 모든 상황이 달라졌다. 결혼을 약속했던 남자친구는 스펙을 쌓기 위해 혼자 미국으로 가버렸고, 새 학교의 다른 선생들은 입시 논술을 위한 독서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게다가 아이들 역시 독서라는 것에 별로 흥미를 보이지 않는다. 수인은 아이들과 부딪히기도 하고, 자신이 제일 혐오하는 권위주의적인 선생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면서, 아이들과의 거리를 조금씩 좁혀나간다.

 

  어떻게 보면 깔끔한 결말은 아니었다. 수인에게 호의를 베푸는 헌책방 주인의 정체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불이 난 도서관을 어떻게 할 것인지 확실히 결정 나지 않았다. 그리고 수인과 애인의 사이도 아직 어정쩡하다.

 

  그렇지만 달리 보면, 나름 최적화된 마무리였다. 도범은 부모와 화해를 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첫 발을 내딛었다. 일진 친구들과는 헤어졌고, 이 세상에 자신을 믿어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에 자신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용기를 내기로 했다. 해명은 조금씩이지만 외부와 소통을 시작했다. 수인 역시 미술 선생과 친분을 쌓으면서, 다른 교사들의 도서관에 대한 편견을 조금씩 부수기 시작했다.

 

  세상의 거의 모든 일이 꼭 100% 깔끔하게 끝맺음되지 않는다. 조금씩 여지를 두고 있다. 그 여지는 호사다마라는 말처럼,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면서 계속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작가는 모든 일에 여지를 남겨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때문에 현실 상황을 꼬집은 신랄한 문장들과 함께, 책은 무척 섬뜩하고 현실적으로 다가왔다.

 

 

  오랜 시간 관계를 맺었어도 인사 한마디 없이 끝낸다. 아이들은 관계보다 거래를 먼저 배우는 것이다. 학습지 교사와의 잦은 만남과 끊음, 학원 순례를 하며 얻은 만남과 이별에 대한 무감각. 만남과 이별이 밥 먹고 화장실 가는 것처럼 어려울 것도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세대이다. -p.74

 

 

  하지만 그와 동시에 수인이 앞으로 아이들을 잘 인도할 것이라는 믿음도 생겼다. 그녀의 어머니가 해준 말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말 드세빠지게 안 듣는 놈일수록 가려운 데가 엄청 많은 겨. 말 안 듣는 놈 있으면 아, 저놈이 어디가 몹시 가려워서 저러는 모양인가 부다 하면 못 봐줄 거도 없는 겨. -p.217

 

 

  그래, 괜찮을 것이다. 도범이도, 이담이도, 해명이도. 그 애들이 가려워하는 부분을 수인이 알아차렸으니 말이다. 어쩌면 사사건건 트집만 잡는 준표도 무척이나 가려운 곳이 많아서일지도 모르겠다. 조만간 수인이 파악할 것이라 생각한다. 책을 덮으면서 그 애들이 나중에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본다. 분명히 근사한, 글자 그대로 어른이 되어있을 것이다.

 

 

 

  아쉬운 점은 해명과 해머가 너무 자주 혼용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해명의 별명이 해머인데, 어느 부분에서는 다 해명이라고 적혀 있다가 또 어떤 부분에서는 해머라고 나온다. 친구들이 부르는 부분은 해머라고 통일시키고, 다른 부분은 해명이라고 정리했으면 더 좋았을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