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섬옥수
이나미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 이나미

 

 

 

  제목이 참 특이하다. 가냘프고 고운 여자 손을 나타내는 섬섬옥수 纖纖玉手가 아니었다. 섬, 纖獄囚. 내 부족한 한자 실력으로 해석해보면, 섬에 갇힌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원래 섬은 육지와 동떨어진, 바다로 둘러싸여 달리 갈 곳이 없는 땅이다. 그곳을 벗어나려면 위험을 무릅쓰고 바다로 뛰어들거나 배를 타는 수밖에 없다. 더구나 아주 큰 섬이 아닌 이상, 사람들이 자주 마주치기 마련이다. 그러니 갈등이 생긴다면, 참 곤란할 것이다. 영영 안 보고 살 수가 없는 곳이니 말이다. 또한 육지의 행정력이 즉각적으로 발휘되거나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그곳을 지배하는 것은, 얼굴도 모르는 육지 행정부의 장이 아니라 바로 이웃에 사는 마을의 장이다.

 

 

  물론 덕분에 육지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개발이라는 이름의 파괴를 조금이나마 지연시킬 수는 있다. 그래서 섬 특유의 자연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도 한다.

 

 

  그 때문에 섬은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사람들의 종착지이기도 하고, 모든 것을 훌훌 털어버리고 싶은 사람들이 거쳐 가는 중간지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런 섬을 찾아오는 사람들과, 그곳에서 정착하고 싶지만 그게 제대로 되지 않은 사람들, 그리고 그곳에서 어쩔 수 없이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제주도와 가까운 섬이 배경이라, 사투리가 많이 나온다. 처음에는 무슨 말일까 의아했지만, 읽다보니까 대충은 의미가 전달되긴 한다.

 

 

  변해가는 섬의 모습을 읽으면서, 마음이 아팠다. 어쩌면 그것이 인간의 본래 모습이 아닐까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어디선가 읽었는데, 동물들은 단지 생존을 위해 사냥을 하지만 인간은 유희를 위해서도 사냥을 한다고 한다. 그만큼 이기적이라는 뜻이리라. 아, 이기적이라는 말이 무조건 다 나쁘다는 건 아니다. 자신을 위하는 것은 좋은데, 불필요한 일까지 한다는 면에서 그리 좋아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섬사람들을 뭐라고 할 수가 없었다. 다른 이들과의 평화로운 삶도 중요하지만, 그들 나름 살아야했기에 경쟁하고 싸우게 된 것이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예전의 생활 습관으로는 살아갈 수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도 변해야했을 것이다. 그걸 뭐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우리는 과학 기술의 특혜를 누리고 온갖 문명의 이기를 사용하면서, 그들에게는 예전 그대로 남아있으라고 할 수는 없다. 그건 그들을 향한 우리의 이기심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글을 읽으면서 씁쓸한 기분이 드는 것은, 아마도 그들의 변해가는 모습에서 우리의 현재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섬이라는 작은 공간으로 축약된, 인간들의 치열하고 냉혹한 삶의 일면을 담고 있어서라고 생각한다.

 

 

  섬이라는 곳은 물리적인 공간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공간의 역할도 한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사람들의 절박함이 그들의 마음을 섬으로 만들어버렸다. 그 누구와도 교류가 불가한, 외떨어지고 고립된 곳.

 

 

  그래서 더 처절하고 절박하고 상처가 많은 것이다. 섬으로 상처를 치유하러왔던 사람들은, 다시 육지로 돌아가 회복을 하려고 한다. 참으로 모순적인 일이다. 육지에서 상처를 받아 섬에서 새 출발을 하려던 사람들이, 그 섬에서 치명타를 입고 그 치유를 위해 육지로 돌아가다니 말이다.

 

 

  마지막 이야기에서, 작가는 그래도 일말의 희망적인 모습을 보여주려고 한다. 첫 번째 이야기에서 모든 것을 피해 섬에 왔던 자애가 다시 섬을 찾는다. 그런데 그녀가 갖고 있던 문제, 특히 남편과의 불화가 조금은 치유가 된 것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섬에서 안식을 취했던 것이 그녀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도 모른다. 남편과의 새로운 내일을 약속하는 그녀의 다짐에서, 우리는 어쩌면 섬과 육지를 연결하면서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과연 그럴지는 두고봐야하지만 말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뒤표지에 큼지막하게 적혀있는 “우리, 정말 어쩌다 이리 됐을까?”라는 대사가 날카로운 창처럼 마음을 쿡하고 찔렀다. 정말로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어쩌다 같이 살아가기보다는, 너를 죽이고 내가 살아야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