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피크닉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夜のピクニック, 2005년

   작가 - 온다 리쿠

 

 

  동생이 자기네 모니터가 고장 났다고 내 컴퓨터를 장악한 날, 할 일도 없으니 책을 읽자는 생각에 큰조카에게서 빌려온 책을 집어 들었다. 큰조카는 온다 리쿠의 열성팬이다. 내가 이 작가의 이름을 알게 된 것도 그 아이에게서였다. 조금 두꺼워서 한 번에 다 못 읽겠다고 생각하며 첫 장을 펼쳤다. 그런데, 동생이 일을 다 마치고 자기 집으로 돌아간 뒤에도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어떻게 이런 구성을 짤 수 있을까? 어떻게 이런 은근하면서 도발적인 전개를 만들 수 있을까. 드러내지 않을 것 같으면서도 은근히 드러내기라니! 언젠가 지인께서 ‘바다별님은 글을 쓸 때 너무 성격이 급해.’라고 해주신 말이 떠올랐다. 너무 조급해서 끝까지 숨겨야할 것을 너무 빨리 드러낸다는 말씀이셨다. 그 때는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이번에 온다 리쿠의 글을 보면서 ‘아, 역시…….’하고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았다.

 

  소년과 소녀의 비밀이 천천히, 그러면서 너무 느리지 않게 드러나는 전개가 참으로 마음에 들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바뀌는 둘의 심리 변화와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은근 슬쩍 툭 튀어나오는 숨겨진 사실의 나열도 마음에 들고. 그냥 주는 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읽으면서 드러나는 일들을 재배열하고 끼워 맞추기를 하면서 능동적으로 생각하게 만드는 것도 좋았다.

 

  주인공이 다니는 중학교에서는 매년 재학생들이 마을을 걷는 행사가 있다. 쉬는 시간과 잠자는 몇 시간을 빼고는 계속 걷는 것이다. 반별로 줄을 맞춰 걷기도 하고 친구들과 짝을 이루기도 하면서, 아이들은 집에서 벗어난 해방감과 극도의 육체적 피로를 견디는 훈련을 한다.

 

  아이들을 극한으로 몰다니 어쩌면 아동 학대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지만, 포기하고 싶으면 중간에 빠져도 된다고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자기들의 한계를 시험해보고 싶기도 하고 뭔가 해냈다는 기쁨을 얻기 위해 끝까지 완주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제 못 볼지도 모르는 친구들과 추억 만들기 행사도 되니까, 다들 좋아한다고 책에 나온다. 현실이라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그 와중에 아이들이 나누는 대화와 생각들이 서로 교차되고 공감을 이루기도 하고, 질투, 연민, 동경, 유머 등등의 복잡한 사춘기 소년소녀의 마음이 드러난다. 물론 마지막은 화해와 이해로 종결. 감동도 있지만 그보다 ‘다행이다 참 잘 컸어, 얘들은 앞으로 잘 될 거야’라는 뿌듯함과 희망적인 느낌이 들었다.

 

  이 작가가 쓴 리세 시리즈와는 또 달랐다. 그 시리즈가 서늘하면서 축축하고 칼로 베는 분위기였다면, 이 책은 따뜻하다고 여겨질 정도의 손난로를 만지는 느낌이었다.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갑지도 않은, 훈훈하다고 해야 하나? 나중에 막내 조카가 중학생이 되면 한 번 권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