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덫 애거서 크리스티 미스터리 Agatha Christie Mystery 38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유명우 옮김 / 해문출판사 / 199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Three Blind Mice and Other Stories, 1950

  작가 - 아가사 크리스티



  총 아홉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 단편집이다. 그 중 표제작인 '쥐덫'은 원래 라디오 드라마 작품을 위해 써지고, 나중에 연극으로도 제작되었다고 한다. 처음 드라마로 만들어진 계기가 영국 조지 5세의 왕비인 메리의 80세 생일 선물이었다는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그녀가 생일 선물로 크리스티의 작품을 방송으로 듣고 싶다고 했다니, 이 추리작가의 인기가 어땠는지 짐작할 만하다.


  '쥐덫'은 전쟁 후의 상황을 잘 보여준다. 코크스가 부족해서 방송에서 연료를 아끼라고 방송을 하고, 외투 배급제라든지, 군대의 요구로 강제로 저택이 징발되었다는 얘기가 나온다. 또한 사건의 배경인 전쟁고아를 입양시키는 정책도 등장한다. 한 농장에서 입양한 전쟁고아들을 학대하여 한 아이가 죽어버린다. 시간이 흘러, 거기서 살아남은 형제가 복수를 하는 내용이다. 눈 때문에 고립된 하숙집, 끊어진 전기, 정체불명의 투숙객들 그리고 '세 마리의 눈 먼 쥐'라는 동요의 멜로디. 서로를 잘 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까지 의심하고 불안해하는 심리가 잘 드러나 있다.


  뒤이어 실린 '이상한 사건', '줄자 살인사건', '모범 하녀', '관리인 노파'에서는 미스 마플이 나온다. 여전히 동네 사람들과 연관시켜 얘기를 늘어놓지만, 사건의 핵심을 정확히 겨냥한 것들이라 주의 깊게 읽어야한다.


  '이상한 사건'은 사라진 유산을 찾는 내용이다. 음, 내가 이 사건을 제대로 추리하지 못한 이유는 영국의 관용어 구를 모르기 때문이라고 우겨본다. 그 단어가 그런 뜻을 가지고 있는지 내가 어떻게 안담?


  '줄자 살인사건'은 어딘지 모르게 포와로가 나왔던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사실 두 이야기의 트릭 그 자체는 비슷하지 않은데, 보석과 하녀가 등장해서 그런 걸까? 느낌이 그렇다.


  '모범 하녀'는 미스 마플의 마을 사랑을 똑똑히 보여주고 있다. 무고한 마을 처녀가 의심받는 것을 보다 못해 사건 해결에 앞장선 정의의 여신! 하여간 세인트 메리미드 노부인들의 수다는 막강하다.


  '관리인 노파'는 읽다보면 다른 장편이 떠오른다. 전에 읽은 '끝없는 밤'은 이 단편을 장편으로 옮긴 게 거의 확실하다. 기본 설정이나 트릭이 완전 흡사하니까. 서술자가 다를 뿐. 하긴 전에도 단편을 장편으로 바꾼 경우가 있긴 하다. 개인적으로 '끝없는 밤'보다 이 단편이 더 마음에 든다.


  그리고 '4층 아파트', '조니 웨이벌리의 모험', '스물네 마리의 검은 티티새'는 포와로가 나오는 작품들이다.


  '4층 아파트'는 어랍쇼?하는 사이에 사건이 해결되어있다. 아니, 포와로! 이게 무슨 초고속 사건 해결이란 말이오? 난 아직 등장인물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소이다!


  '조니 웨이벌리의 모험'은 하아, 진짜 화가 나는 이야기다. 뭐 저딴 놈이! 더 많은 욕을 하고 싶지만, 그러면 범인이 누군지 밝혀질 우려가 있어서 혼자 떠들기로 했다. 와, 진짜 막장이었다. 문득 셜록 홈즈가 나왔던 사건 하나가 떠올랐다. 비슷한 느낌이었다.


  '스물네 마리의 검은 티티새'는 흐음. 돈도 무섭고, 인간의 습관이란 얼마나 무서운 지 깨달았다. 자기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이지만 남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나도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겠다.


  마지막 '연애 탐정'은 할리퀸이 나온다. 아직 그가 나오는 소설은 읽어보지 못했는데, 어쩐지 묘한 매력을 갖고 있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그가 나오는 작품을 읽어볼 생각을 하니 두근거린다. 책 표지를 들춰보니, '수수께끼의 할리퀸'은 55권이다. 아쉽게도 내년에 읽을 부분이다. 이 단편 역시 전에 읽은 '목사관 살인사건'이 떠오른다. 범인과 그 트릭 그리고 배경 설정이 흡사하다.


  이야기들은 참 마음에 들었는데, 책의 편집이 나를 화나게 만들었다. 첨부한 사진에서 위아래 문단은 전혀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 일어나는 대화이다. 그래서 읽다가 혼란스러웠다. 




  미스 마플이 세 명과 자리를 함께 한 것인가? 그런데 대화를 쭉 읽어보면 그게 아니다. 파크 순경을 마나보라고 조언해준 사람은 슬랙 경감이었고, 이후 시간과 장소가 바뀌면서 스펜로우 씨를 만난 것이다. 이런 부분이 '스물네 마리의 검은 티티새'에서도 나온다. 하지만 거기는 범인의 이름이 나와서 사진 첨부를 하지 않았다. 나만 그럴지도 모르지만, 잘 읽다가 '어라?'하고 다시 돌아가서 읽게 되면 글의 흐름이 딱 끊기면서 화가 난다.


  크리스티가 멋진 작품을 썼는데, 마지막에 편집에서 초를 친 기분이 든다. 그녀의 팬으로 단편들이 무척이나 마음에 들지만, 한편으로는 화가 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