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고 - 8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장작
벤 애플렉 감독, 존 굿맨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원제 - Argo, 2012

  감독 - 벤 애플렉

  출연 - 벤 애플렉, 존 굿맨, 알란 아킨, 브라이언 크랜스턴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고 한다. 또한 해피앤드로 끝이 났다고 한다. 그러니까 영화는 이미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뻔한 결말을 향해 가는 것이다.


  그런데! 어째서! 왜! 보는 내내 X줄이 타는 경험을 하는지 모르겠다. 안절부절못하고, 긴장해서 심장이 콩닥콩닥 그러다가 두근두근 좀 있다가는 쿵쾅쿵쾅, 입술을 깨물었다가 말았다가, 자리에서 앉았다 일어섰다가, ‘어머, 어떡해’를 연신 내뱉고, 주먹을 쥐었다가 폈다가. 영화 초반을 넘어가면서부터 계속 저런 상태였다.


  살인마가 나오지도 않고, 납치당한 여자나 시체가 줄줄이 등장하지도 않았다. 피가 낭자한 음울한 밤도 아니었고, 악마나 귀신이 ‘왁!’하고 깜짝 출연하는 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런 영화를 보는 것보다 더 눈을 떼지 못하게 하고, 집중하게 만들었다.


  내용은 간단하다. 반미 감정이 일어난 이란에서 몰래 숨어있는 여섯 명의 미국인 외교관을 탈출시키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왜 이란에서 반미 감정이 일어났는지는 간략하게 앞에 사진과 카툰으로 언급만 하고 있어서, 자세히 알고 싶으면 검색을 해봐야한다. 영화는 시대적 정치적 배경을 과감하게 생략하고 오직 단 한 가지, 숨어있는 여섯 명을 탈출시키는 것에만 집중하고 있다.


  어쩌면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자세히 밝히면, 미국의 치부가 드러나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상상도 해보았다. 미국이 다른 나라의 정치에 간섭하다가 삽질한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이다. 어정쩡하게 미국 제일이라는, 미국은 절대로 잘못하지 않는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지 않았다. 그렇다고 이란이 비이성적이고 지나치게 과격하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냥 있는 그대로 서술할 뿐이다. 오직 갇혀있는 사람들의 생존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하긴 그게 영리한 방법이긴 하다. 어설프게 정치를 다뤘다가는 양 쪽에서 욕먹을 수 있으니까.


  다만 사고는 윗사람들이 치고, 수습은 다른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해야 하는 과정이 마음 아팠다. 윗사람들에게 그 여섯 명은 피가 흐르는 인간이 아니라, 서류상으로만 있는, 자신들의 정치적 사회적 입지를 위해서만 이용하고 버리는 존재였다. 하지만 그들과 접촉을 하고 작전에 연관된 사람들에게는 살아 숨 쉬는 자신과 같은 인간이었다.


  아마 그 차이였을 것이다. 후반부에 엄청난 긴장감을 주었던 그 사건이 일어난 것은. 간발의 차이로 폐기되었던 계획이 다시 재개되고, 아슬아슬하게 비행기가 이륙할 수 있었던 것은 그 관점의 차이였다고 생각한다.


  영화는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감정을 최대한 절제했다. 모든 희망을 포기했던 여섯 명은 그냥 무덤덤하게 모든 것을 받아들였다. 그들뿐만 아니라, 구출하러 들어간 요원도, 그들을 숨겨줬던 캐나다 대사 부부도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았다. 그들의 눈에 머문 것은 두려움과 긴장뿐이었다. 어떻게 보면 희망을 포기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닥친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걸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지친 상태였을지도.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 상황에서 최선이라 여겨지는 행동을 할 뿐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기적 같은 결과를 낳았다.


  이란에 존 맥클레인 같은 군인이 없어서 다행이다. 그랬다면 그들은 고향으로 영영 돌아오지 못했을 것이다. 아, 그랬으면 이 영화도 만들어지지 못했겠다.


  맨 마지막에 실제 인물과 배우들이 나란히 나오는데, 많이 비슷했다. 비슷한 사람을 골랐는지, 아니면 그렇게 분장을 한 건지는 잘 모르겠다. 세상은 넓고 비슷한 사람은 많으니까.


  하여간 간만에 손에 땀을 쥐는 영화를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