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권영락


출연 - 이종수, 구지성, 원기준, 한소영 








  참으로 신기하고 묘한 영화다. 인물들의 갈등이 빚어내는 긴장감과 바람직하게 들어가 있는 섹스 장면 그리고 충격을 주는 마지막까지, 꽤나 괜찮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주연을 맡은 남자 배우의 내적 갈등이 적나라하게 표현되는 부분은 신선하면서도 다소 충격적이었다. 아, 저런 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구나. 또한 여주인공을 맡은 배우의 어딘지 모르게 단아하면서도 모호한 표정과 여린 몸매는 보호 본능을 불러일으켰다.


  두 사람의 은밀하고 비밀스런 관계의 아슬아슬함과 주인공의 범죄행각이 발각이 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파국에 치달은 두 사람의 관계가 만들어낸 비극적인 사건. 올해 괜찮은 호러 영화가 만들어졌다는 마음에 어쩐지 내가 다 뿌듯했다.

  .

  .

  .

  .

  .

  죄송합니다. 위에 적은 글은 함정입니다. 엉엉엉


  하아, 나만 낚일 수가 없다는 생각에 낚시 리뷰를 써보자 생각했는데 사람이 할 짓이 아닌 거 같아서 포기한다. 앞에 얘기했던 '닥터'가 올해 개봉한 최악의 한국 호러 영화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이 영화가 날름 그 자리를 차지했다. 아직 올해의 한국 호러 영화를 다 본 건 아니지만, 쉽게 바뀔 것 같지는 않다. 설마 이것보다 더 실망스런 작품이 존재할 리가…….


  왜 별점에 0을 줄 수가 없는지 안타깝기만 한 영화이다. 에로로 밀고나가려면 화끈하게 벗든지, 그게 아니라 호러로 나가려면 좀 더 긴장감 있게 진행을 하든지! 에로라고 부르기엔 너무 어정쩡하고, 스릴러적인 면에서는 긴장감이란 전혀 느껴지지 않고. 흔한 표현으로 죽도 밥도 아닌 게 되어버렸다. 그럼 떡인가? 하지만 영화에서 떡치는 장면도 그닥…….


  이건 마치 달걀말이를 만들려다가 달걀이 모자라서 오므라이스로 대체하려했는데, 그마저도 안 되어서 그냥 볶음밥에 달걀 프라이 하나 얹은 꼴이 되었다. 그렇다고 볶음밥이 맛있느냐? 그것도 아니다. 재료 맛이 각각 따로 노는데다가, 진밥을 볶아서 어딘지 모르게 질척거리는 이상한 게 나와 버렸다.


  영화를 보면서 두 개의 다른 영화가 떠올랐다. 한국 영화인 '얼굴 없는 미녀, 2004'와 미이케 다카시 감독의 일본 영화 '오디션 Audition, 1999'이다. 기본 설정과 줄거리는 ‘얼굴 없는 미녀’에서 가져왔고, 결말은 ‘오디션’이었다.


  그래도 중간에 약간 변화를 주기 위해 남자 주인공의 내적 갈등을 보여주었는데, 왜 그렇게 표현해야했는지 의문이다. 자위 장면이 내적 갈등의 외적 표출이라는 건가? 그럼 야동을 보고 딸을 치는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은 다 내적 갈등을 밖으로 표출하려는 건가? 난 지금까지 그냥 꼴려서 하는 줄 알았다.


  거기다 여주인공에게도 특이점을 주기위해 다중인격이라는 성격을 부여했는데, 그걸 잘 살리지도 못했다. 단지 그녀가 남자 주인공을 만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해주는 것밖에 되지 않았다. 마지막 장면을 위해 아껴둔 것 같은데, 사실 그거 별로였다.


  차라리 순진한 애가 그런 악마성을 갖고 있는 게 더 오싹하지, 착해서 이용당하는 애 따로 있고 아주 나쁜 애 따로 있는 건 그냥 그렇다. 그렇다고 둘이 구별이 갈 정도로 배우가 특징을 잘 살려서 연기한 것도 아니고. 특별한 인상은 주지 못했다.


  걸핏하면 나오는 남녀주인공의 섹스 장면도 마찬가지로 별로였다. 감독님, 야동보고 연구 좀 하셨어야죠! 이게 뭡니까! 이건 뭐 야하지도 않고, 짜증만 났다. 얘들은 한 가지 체위밖에 모른단 말인가!


  거기다 명색이 장르가 호러라는데, 어디가 호러? 마지막에 여자애가 미쳐 날뛰는 게? 초반에 살색 화면만 보이다가, 뜬금없이 빨간색 범벅이 된다고 호러는 아니다. 이건 호러를 무시하는 처사다!


  빠른 시일 내에 모든 포털사들은 이 영화의 장르 표기에서 호러 스릴러 빼기를 요구한다! 요구한다! 요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