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조건 - 꽃게잡이 배에서 돼지 농장까지, 대한민국 워킹 푸어 잔혹사
한승태 지음 / 시대의창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부제 - 꽃게잡이 배에서 돼지 농장까지, 대한민국
워킹 푸어 잔혹사
저자 - 한승태
르포르타주 - 사건이나 인물을 탐방하여 현장감을 살리며 제작하는 보고 형식 프로그램. ‘르포’로
줄여 쓰기도 하는데, 어떤 사회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단편적인 보도가 아니라 보고자(reporter)가 자신의 식견(識見)을 배경으로 하여
심층취재하고, 대상과 관련된 뉴스나 에피소드를 포함시켜 종합적인 기사로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 책의 부제와 위에 검색한 용어의 뜻을 보는 순간, 앞으로 어떤 내용이 펼쳐질지 상상할 수 있었다. 막연하게나마 존재할 것이라 생각은 하지만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 생각하고 신경 쓰지 않았던, 그리고 어쩌다가 살짝
실상을 엿보게 되었을 때는 애써 외면하고 모른척하고 싶었던 그런 일들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내 예상은 비슷하게 맞아떨어졌다. 저자가 겪은 일이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다를
뿐이었다.
저자는 여섯 개의 일을 했던 경험을 풀어내고 있다. 꽃게잡이, 편의점과 주유소, 돼지 농장, 비닐하우스 그리고 자동차 부품 공장.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고, 또 하고 있다. 어차피 이 사회라는 것이 나 혼자 자급자족하면서 살 수는 없으니까 말이다. 나도 무형이건 유형이건
뭔가를 생산하고, 누군가 그런 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나 역시 누군가가 만들어낸 뭔가를 사용하며 살아가고 있고 말이다.
서로 공존하고 공생하면서 살아가는데 사회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그 공존공생을 하는데, 모든 일이 정당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보여준다. 일한만큼 대가를 받는 게 당연한
사회지만, 정작 제대로 챙기는 사람은 없다.
물론 누군가에게는 그것이 정당하고 공정한 일일 수도 있다. 내가 그 입장이 되어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겠지만, 고용주도 나름의 사정이 있는
법이다. 하지만 책을 읽는 나에겐, 고용주들의 그런 행태가 정당하게 보이지는 않았다.
꽃게잡이는 배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열악한 작업 환경 아래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편의점과 주유소는 서비스업을 상대하는 사람들의 특권의식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특히 주유소 쓰레기통을 자기 집 전용 쓰레기장으로 아는 무개념
고객들의 진상 짓은 혀를 내두를 지경이었다.
돼지 농장과 자동차 부품 공장은 외국인 노동자를 우리가 어떤 시각으로 보고 있는지 설명한다. 그와 동시에 권위주의에 집착하는 간부들의 이중적인
태도도 곁들였다.
비닐하우스는 그나마 고용주가 다른 일자리에 비해 양심은 있어보였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책의 주인공은 처음에는 어리바리한 청년이었다. 세상물정을 모른다고 해야 할까? 하지만 조금씩 변하기 시작한다. 사회를 풍자하는 자조적인
비아냥거림도 날릴 줄 알고, 자신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반항도 해본다.
주유소에서 집안 쓰레기를 내다버리는 고객에게 반격을 날린 것은 한편으로는 속이 후련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영 껄끄러우면서 뒷맛이 개운하지
않았다. 맛있는 빵을 먹었는데, 그 안에 벌레 반쪽이 들어있는 걸 발견한 기분이었다. 아무 것도 잃을 게 없는 그였기에 가능한 일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꾹 참고 일할 수 없는 것이다.
막말로 저자는 그딴 식으로 행동을 하고 그곳을 그만두면 땡이다. 하지만 사장은? 비록 일은 힘들고 대우는 형편없고 진상 고객이 줄지어 있더라도,
사장은 그게 그의 유일한 밥줄이었다. 다른 직원들은 또 어떻고? 그가 저지른 일 뒷수습을 하기위해 얼마나 머리를 조아려야했을까?
어쩌면 사장이나 직원들과 사이가 좋았다면, 주인공이 그런 식으로 반응을 보이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또한 그에게 그곳이 유일한 밥줄이 아니었으니
그랬을 수도 있다. 어차피 그런 직장을 택한 이유는 따로 있으니까, 목메고 일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남이 날 배려해주지 않는데, 내가 굳이 그런 남까지 생각해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착하고 선한 것도 한계가 있는 법이다. 요즘은
사람이 선량하고 기본을 지키려고 하면 호구로 보는 세상이니까. 하지만 내가 싫다고 남의 밥그릇에 재를 뿌리는 짓은 안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역지사지(易地思之)라는 말이 떠올랐다. 그리고 자기 배가 부르면 종의 배고픔을 살피지 않는다(我腹旣飽 不察奴飢)는 말도 생각났다.
사람은 대개 자기가 처한 상황에서 자기 위주로 생각하고 자기 편의를 위한 쪽으로 판단하고 행동한다. 내가 겪어보지 못하거나 들어보지 않은 일에
대해서는 없는 일로 여기거나 외면하려고 한다. 누군가 앞에 나서서 어떤 일에 대해 부당함을 역설하면 동조하지만, 곧 잊어버린다. 자기 자신에게
닥친 일이 아니니까.
고백하자면 나도 그러하다. 가능하면 대세를 따라서, 유일한 밥줄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동하고 판단한다. 그렇기에 그런 사람을 비난할
수도 없다. 나도 남보다 내가 더 소중하니까.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남을 짓밟고, 남의 정당한 권리를 빼앗을 정도로 우위에 있거나 중요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내 권리도 중요하고 남의
권리도 중요하다. 내 목숨이 중요하면 남의 목숨도 중요하고 말이다. 이 세상에 소중하지 않은 목숨이 어디 있단
말인가.
이 책의 제목은 ‘인간의 조건’이다. 인간의 조건이 뭐가 있겠는가.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인간이지. 저자는 어쩌면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는,
인간답게 살 조건에 대해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다.
왜 그들이 그런 대우를 받으면서, 다른 표현으로는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으면서 살아야 할까? 음, 그런데 저 표현은 좀 이상하다. 인간 이하의
대접이라니, 그럼 인간이 인간을 대하는데 기본 원칙이 있단 말인가? 그러면 그런 인간의 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그 순간부터 인간이 아니게 되는
걸까? 그러면 인간은 뭘까?
이런저런 생각이 많아지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