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블론드 데드
안드레아스 프란츠 지음, 서지희 옮김 / 예문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원제 - Young Blond Dead (1996년)

  작가 - 안드레아스 프란츠




  율리아 뒤랑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시리즈 첫 권이다. 그래서 전에 ‘신데렐라 카니발’에서 접했던 낯익은 이름들이 나왔다. 난 이미 그들의 미래를 알고 있지만, 과거로 돌아와 그들과 처음 만나는 것이다! 이건 마치 영국 드라마 ‘닥터 후 Doctor Who’에서 닥터와 리버 송이 만나는 것과 비슷하다. 닥터에게는 미래에 일어날 일이지만, 리버 송에게는 과거가 되는. 오, 마치 내가 닥터 후가 된 기분이다.


  다시 책 이야기로 돌아와서, 이번에 일어나는 사건은 제목 그대로이다. 금발의 어린 십 대 소녀들이 잔혹하게 살해당한 채 발견된다. 얼마나 끔찍하냐면, 사체 발견 현장에서 경찰들이 구토를 참지 못할 정도이다. 베르거는 율리아를 사건 담당 책임자로 임명하고, 소녀들을 죽인 놈을 잡기 위해 전력을 다한다. 그 와중에 소녀들이 가족에게도 숨겼던 비밀이 드러나고, 독일 고위층의 비리가 적나라하게 밝혀진다.


  돈 있고 권력 있는 사람들 중에 인성이 제대로 된 자가 나오는 소설이나 드라마를 보기 힘들다는 사실이 참 안타깝다. 특히 호러 스릴러 장르에서는 말이다. 소설을 100% 현실에 대입하면 안 되지만,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라는 속담이 생각나는 건 왜일까? 가장 가까운 예로는 우리나라의 전직 대……여기까지. 난 가진 것 없는 소심한 소시민이다.


  이 책에도 아주 더럽고 치졸하며 인성이 개만도 못한 유명인이 하나 등장한다. 지인들과의 파티에 어린 소녀들을 초대해 약에 취해 성관계를 즐기는 그런 놈이다. 여자아이들의 부모에게는 돈이라는 당근과 지위를 이용한 협박이라는 채찍으로 무마하고, 지인들과는 공범이라는 동질감을 이용해 세를 떨친다. 나쁜 새끼. 저런 게 고위 지도층이라니…….


  게다가 그 와중에 비슷한 외모를 가진 소녀들을 죽이는 미친놈도 등장하니, 이 동네는 무슨 마가 끼었나보다. 범인의 살인 동기는 다른 범죄 드라마나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류였다. 어머니에 대한 증오가 그와 비슷한 외모를 가진 소녀들에게 표출된 것이다. 역시 인간의 인격 형성에는 가정환경이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자기 가정에 문제가 있는데 왜 그걸 다른 사람들에게 화풀이하는 거지? 불만이 있으면 그 상대에게 직접적으로 말하라고! 애꿎은 어린 소녀들을 처참하게 죽이지 말고! 하긴 그런 걸 분별할 정도의 머리가 있다면 애초에 애들을 죽이고 다니지 않았겠지. 미친 놈.


  뭐, 사실 부모에게 불만이 있다고 해서 그걸 그대로 내뱉을 수는 없을 것이다. 엄마의 성생활이 난잡하다고 해서, 대놓고 ‘엄마는 창녀’라고 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다른 사람을 죽이는 건, 미친 짓이다. 아, 이 책의 범인은 이미 미쳐있었지 참.


  이 두 나쁜 놈과 미친 놈 때문에 도시는 공포로 물든다. 이미 자식을 잃은 가족뿐만 아니라, 비슷한 또래에 금발의 딸을 가진 부모는 무슨 일이 생길까봐 두려움에 떤다. 거기에 사건에 매달린 형사들 역시 가족들과 문제가 생기면서 또 다른 비극이 시작된다.


  특히 요안나와 슐츠 부부의 일은 정말로 안타까웠다. 요안나의 밤놀이 습관을 온전히 받아들이기는 어려웠지만, 슐츠의 판단은 어느 정도 공감이 가면서 슬펐다. 범죄자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결국은 그런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그의 심정을 생각하니 그냥 착잡했다. 에휴, 그 놈의 돈이 뭔지…….


  율리아가 때로는 냉정하게 상황 판단을 하지만, 그녀도 인간인지라 실수를 하는 부분에서는 ‘그러면 안 돼!’라는 외침이 절로 나왔다. 또한 약한 모습을 보일 때는, 어깨를 토닥이면서 ‘넌 혼자가 아니야’라는 말과 함께 위로를 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금방 자신이 어디서 무엇을 잘못했는지 깨닫고 사건의 정곡을 향해 달려가는 모습이 듬직했다. 강한 여자였다, 그녀는.



  그런데 살인범을 심문하는 장면에서 이런 대사가 나온다.


  ‘텔 더 비치 투 스테이 웨어 쉬 이즈! (그 창녀에게 그냥 있으라고 전해주시오!)’-p.508


  이 소설의 배경은 독일이고, 계속 독일어로 대화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저 대사만 범인이 영어로 외치는 것이다. 그런데 옆에 한글 해석을 적을 거였다면, 차라리 대사를 그냥 영어로 적는 게 더 낫지 않았을까? 저렇게 영어를 발음 그대로 한국어로 적어놓은 게 더 어색하고 이상하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