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Last House On The Left. 1972

  감독 - 웨스 크레이븐

  출연 - 데이빗 헤스, 루시 그랜섬, 산드라 카셀, 마크 쉬플러



  1972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지금 생각해봐도 고개가 절래 절래 저어지는 인간 말종들이 나오는 슬픈 복수극.


  17살된 마리는 친구와 함께 도시에 구경을 간다. 공연을 보러 간 것. 그런데 대마초를 피워보겠다는 호기심에 길에서 아무나 붙잡고 ‘대마초 파세요?’라고 물어본다. 공연 끝났으면 생일 파티 준비하는 부모님이 계시는 집으로 돌아갈 것이지, 왜 요상한 동네로 가서 대마초를 사려고 하는지. 그러니까 지 무덤을 지가 판 것이다. 왜냐하면 그녀와 친구를 꼬인 남자는 수배 중인 탈주범 일당의 하나였고, 그들은 마리와 친구들에게 강간은 기본으로 온갖 이상한 짓을 가한다. 그들이 두 소녀를 고문하는 장면은 진짜 보면서 할 말이 없었다. 결국 처참하게 죽어버린 두 소녀.


  그런데 운명의 장난일까? 탈주범 일당이 숨어든 곳은 바로 마리네 집이었다. 그곳이 상당히 외진 곳에 있어서, 옳다구나 하고 차가 고장 났다는 핑계로 들어간 것. 이후의 이야기는 안 봐도 비디오. 처음에는 그래도 손님이라고 잘 대접을 했는데, 나중에 딸을 죽인 게 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부모의 분노와 처절한 복수가 이어진다.


  나쁜 놈들이 두 소녀를 고문해서 죽게 만드는 과정을 보면서 무척이나 화가 났다. 아니, 처음부터 두 소녀가 거리를 배회할 때부터 화가 났다. 이 멍청한 것들아, 대마초 살 생각하지 말고 집에 가! 넌 영화도 안 봤냐? 빨리 튀어! 그 쪽이 아니야! 등등.


  그러면서 ‘어떻게 자라면 저런 못된 짓을 할 생각을 할까?’하고 탈주범과 그 일당들을 욕하고, 그들은 그렇게 키운 누군지 모를 부모를 욕하고. 또 멍청하고 느려터진 경찰은 보면서 한숨을 쉬고.


  얼마나 몰입을 했는지, 마리의 부모님이 탈주범들을 죽일 때 ‘잘했어! 더 찔러! 잘라버려!’ 라고 응원을 하고 있었다. 이건 정의감의 발현이지, 절대 고어 신을 더 보여 달라는 요구가 아니었다.


  언제나 그렇지만 성폭력에 관한 영화는 그냥 썰고 썰리는 영화보다 백만 배 더 기분이 나쁘고 끔찍한 느낌이다. 내가 여자라서 그런가? 아니면 더 현실성이 있기 때문일까?


  아마 후자일 것이다. 신문을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나오는 것이 성폭력에 관한 것이니까. 의붓딸을 상습 추행한 계부라던가 여중생 내지는 동급생을 집단 강간한 고등학생들 얘기, 인터넷 채팅으로 만나서 어쩌고저쩌고. 얼마 전에는 초등학생 셋이 20대 지체장애아 여성을 성추행한 기사도 나왔다. 그런 것을 볼 때마다 한국은 너무 관대하다! 특히 정치인과 성범죄자들에게는 더욱 더 관대하다.


  그래서 저런 영화를 보면, 속이 다 시원해진다. 그래, 강간범들은 저렇게 죽여야 돼. 다 잘라버리고 말이지! 만약에 울 조카들에게 저런 일이 생긴다면 아마 나도 저 부모들처럼 할 것이다. 음, 상상할 수 있는 최고로 잔인한 방법으로 놈들을 죽여 버릴지도.


  어쩌면 이 세상에서는 건강하고 아무 탈 없이 살아남는다는 것이 제일 좋은 삶의 목표일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 영화 엔딩 크레딧의 노래는 왜 그리 신나는지……. 그 부분만 보면 뭐랄까, 전원생활의 즐거움과 황당 사건을 그린 코미디 영화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 우리는 즐겁게 삶을 살고 있지만, 이 지구상 어딘 가에서는 저런 끔찍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역설을 보여주려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