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카터 : 바숨 전쟁의 서막 (1disc) - 아웃케이스 없음
앤드류 스탠튼 감독, 린 콜린스 외 출연 / 월트디즈니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원제 - John Carter

  감독 - 앤드류 스탠튼

  출연 - 테일러 키취, 린 콜린스, 윌렘 데포, 도미닉 웨스트

 

 

 

  어렸을 적에 부모님이 사주신 SF 어린이 책 전집이 있었다. 난 세계 명작 시리즈보다 그 책들을 더 좋아했었다. 기이한 실험이나 미래 세계 이야기, 시간 여행이라든지 우주여행, 차원 이동 그리고 지구 내부 탐험 등등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이 참 많았다. 이사가면서 친척집에 줬는지 팔았는지 가물가물하지만, 집에서 사라졌다.

 

  그러던 중 개봉 영화 제목 하나가 기억 속에 잠들어있던 뭔가를 일깨웠다. ‘존 카터.’ 어디선가 들어본 이름이었다. 어디서 들었을까? 영화 설명을 보는 순간, ‘아!’하는 탄성이 절로 나왔다.

 

  그래, 그 소설이다. 인디언인가 강도였나 하여간 그런 사람들을 피해 동굴로 갔던, 이유는 잘 모르지만 하늘로 둥실둥실 떠서 화성에 도착했던, 방방 잘 뛰어다니던 한 남자 이야기가 생각났다. 화성에 가서 예쁜 공주를 구하고, 나쁜 왕을 물리치고 착한 친구를 왕위에 오르게 도와줬던 그 남자. 화성에서 잘 먹고 잘사는 게 아니라 갑자기 다시 지구로 돌아와서, 화성의 공주를 그리워하던 그 남자의 이름이 바로 존 카터였다.

 

  그 책에 실렸던 삽화도 어렴풋이 기억이 났다. 예쁜 공주는 인간처럼 생겼고, 또 다른 화성인은 큰 키에 에일리언처럼 입이 찢어져있어서 악어처럼 뾰족한 이가 솟아나 있었다.

 

  어린 시절의 그 추억을 되살리며, 영화를 보기 시작했다. 물론 영화는 내 기억 속의 책 내용과 많이 달랐다. 예쁜 공주가 나오긴 했지만 그녀는 기억과 달리 여전사적인 이미지가 강했다. 그리고 화성인들의 모습 역시 기억 속의 삽화만큼 무섭지 않았다.

 

  하지만 내 기억이 불완전할 수도 있다. 아무리 내가 재미있다고 달달 외울 정도로 읽었다고 해도, 거의 30년 전에 읽었던 책 내용이니까.

 

  역시 과학기술의 발달은 놀라웠다. CG로 만든 것이 분명한 팔 네 개 달린 키 큰 화성인이나 엄청나게 큰 비행선 등으로 가득한 화면은 환상적이었다. 화성인 해츨링들과 화성의 개는 어떻게 보면 못생겼지만 또 어떻게 보면 너무 귀여웠다. 하지만 개는 역시 털이 복슬복슬한 게 내 취향이다. 털이 하나도 없이 반질반질한 것들은 좀 그렇다.

 

  하지만 이 영화, 좀 길었다. 우선 화성의 여러 종족이 벌이는 음모와 암투를 설명하느라 시간을 잡아먹었다. 각각의 상황과 현재 처한 입장, 얽힌 이해관계와 권력 암투에 너무 치중했다. 덕분에 존 카터가 활약하는 액션장면은 그리 많지가 않았다. 일행이 도망칠 시간을 벌기 위해 화성인들과 대규모 전투를 하는 장면, 비행선을 타고 도망치는 장면, 모함에 빠져 투기장에서 괴물들과 싸우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 전투 장면 정도.

 

  2시간이 훌쩍 넘는 상영시간이었는데, 전투 장면의 화려함보다는 화성의 배경이나 자연 환경을 더 많이 보여주었다. 신경을 많이 쓴 게 티나는 화성의 밤과 낮이 아름답기는 했다.

 

  게다가 추격자들과 싸우는 장면은 비장함을 주려고 했는지, 통쾌하게 싸운다는 기분보다는 ‘감동 받아봐’라는 속삭임이 들려서 재미가 반감되었다. 어떻게 목숨을 건 일 대 다수의 전투 장면과 그의 부인이 죽었던 과거 기억을 교차 편집할 생각을 했을까? 비장함도 애틋함도 통쾌함도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전반부에 너무 배경 설명이 길어서, 전투 장면들은 휙휙 지나간 느낌이 들었다. 내가 SF 블록버스터를 보는 이유는 권력 암투보다는 화려한 액션이 가미된 볼거리 때문인데 말이다.

 

  거기에 다음편이 나올 것 같은 결말까지. 설마 너무도 자세한 배경 설명은 2부를 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을까? 그러고 보니 궁금해진다. 지금은 화성에 생명체가 없다는데, 그러면 그 많은 타르크인이나 헬리움인들은 누가 먹었 다 어디로 갔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