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 카니발 율리아 뒤랑 시리즈
안드레아스 프란츠 & 다니엘 홀베 지음, 이지혜 옮김 / 예문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Todesmelodie

  작가 - 안드레아스 프란츠, 다니엘 홀베

 

 

  특이하게도 작가의 유작이 먼저 한국에 소개된 시리즈이다. 주인공인 율리아 뒤랑의 이름을 따서, ‘뒤랑 시리즈’라고 한다. 작가가 두 명인 이유는, 고(故) 안드레아 프란츠가 남긴 원고를 다니엘 홀베가 이어서 마무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독일에서 꽤나 인기 있는 시리즈라고 하는데, 전작들이 순차적으로 출판이 되어 접해봐야 알 것 같다. 이 작품 이후의 시리즈는 다니엘 홀베가 계속 이어받아서 집필한다고 하는데, 그것 역시 두고 봐야 알 일이다.

 

  원제의 뜻이 궁금해서 검색하니, ‘죽음의 멜로디’라고 나온다. 책을 읽다보면, 살인 현장에 언제나 흐르던 노래가 나온다. 그 때문에 몇 년의 시간차를 갖는 사건들이 연관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형사가 추측할 수 있었다. 원제는 사건의 실마리를 노골적으로 주고 있었다.

 

  반면에 한국 제목은 보자마자 ‘이건 뭐지?’라는 호기심을 자아낸다. 거기에 표지까지 한몫을 더하고 있다. 책을 다 읽은 다음에야, 혹시 이래서 이 제목이 붙은 게 아닐까하는 추측과 가능성만 남기고 있다.

 

  열심히 공부에만 전념했던 미국 유학생 제니퍼. 같이 집을 쓰는 친구가 주최한 파티에 처음으로 갔다가 윤간에 고문을 당하고 죽은 채로 발견된다. 그리고 수사 끝에 그녀의 하우스메이트 두 명과 파티에 참가했던 또 다른 남학생 두 명이 체포되어 처벌을 받는다.

 

  하지만 그로부터 2년 후, 한 남학생의 시체가 발견된다. 처참한 현장에 경악을 금치 못하던 형사들은 이 사건과 전에 있었던 제니퍼의 사건에 유사점이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수사를 하던 중 가장 유력한 용의자가 사라지는데…….

 

  책을 읽으면서 여러 가지 감정이 들었다. 희생자와 그 가족에게는 안타까움과 안쓰러움을 그리고  가해자에게는 분노가.

 

  그리고 의문이 들었다. 도대체 돈을 위해, 변태적 성욕 해소를 위해, 순간의 즐거움을 위해 다른 이들에게 해를 끼치는 놈들의 머리엔 뭐가 들었을까? 자신을 믿어주는 사람도 망설임 없이 배신하는 자들은 그런 짓을 할 때 뭘 느낄까? 우월감? 스릴감? 인간은 자기 자신을 위해 남에게 어디까지 잔인한 짓을 할 수 있을까?

 

  책에 묘사된 사건 현장을 상상해보면, 한숨과 함께 고개가 절로 저어진다. 소설이니까 더욱 더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겠지. 하지만 이 글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담담하고 현실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또한 소설에서 말하는 범죄도 어디선가 있을 법한, 카더라 통신으로는 많이 들었지만 실체는 본 적이 없는 그런 종류의 것을 다루고 있다. 진짜 이 지구상 어느 곳에서는 비슷한 범죄가 일어나고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소설은 상당히 박진감도 넘치고 그럴 수 있겠다는 공감대를 자아낸다. 후반부에 살인자를 추격하는 장면에서는 긴장되고 어떻게 될까 궁금해 하며 한편으로는 안쓰럽기까지 했다.

 

  생각해보니 이 책에는 두 가지 축이 등장한다. 주인공 율리아와 알렉산더이다.

 

  율리아는 앞선 사건의 후유증으로 고생을 하지만 절대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는 강인한 성격의 여성이다. 그녀가 복귀하여 동료들과 갈등을 겪고 오해하고 또 그것을 풀어가는 과정이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알렉산더는 제니퍼가 죽은 파티에 참가했던, 약간은 미심쩍은 청년이다. 2년 후에 일어난 사건에도 연관이 되어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형사들의 수사망에 포착된다.

 

  율리아를 통해 공황상태에 빠졌지만 극복해야만 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알렉산더를 통해 음울하고 끔찍한 현대 사회의 병폐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나 자신과 사회 그리고 타인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고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율리아와 그녀의 오래된 파트너 프랑크의 대화였다. 십 년이 넘게 파트너였다는데, 둘의 대화는 상당히 예의와 격식을 차리고 있다. 둘만 있거나 신경전을 벌일 때까지 그렇게 깍듯이 예의를 갖출 필요는 없을 텐데 말이다. 그래서 어쩐지 연극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음, 어쩌면 나만 친하다 생각하는 사람에게 너무 격의 없이 대화를 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