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별 - 타임패트롤 시리즈 2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15
폴 앤더슨 지음, 이정인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Star of the Sea

  작가 - 폴 앤더슨

 

 

  타임 패트롤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

 

  지난 첫 번째 이야기인 ‘타임 패트롤’이 단편집이었다면, 이번 책은 ‘오딘의 비애’와 ‘바다의 별’, 두 개의 중편이 실려 있다.

 

  읽으면서 ‘우와아앙’이라는 감탄과 경탄과 슬픔과 부러움이 뒤섞인 이상한 탄성이 튀어나왔다. 고대 북유럽 신화를 어떻게 이렇게 멋지게 SF와 연결시켰는지, 작가의 상상력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헐, 대박.’이라는 말을 중얼거릴 뿐이었다. 이건 그냥 평범한 SF 소설이 아니라, 새로운 신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첫 번째 중편인 ‘오딘의 비애’는 북유럽 신화 중에서 ‘반지 이야기’, 그러니까 나중에 ‘니벨룽의 노래’라는 작품으로 알려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패트롤인 칼이 고대 게르만 족의 생활습관을 기록하기 위해 그들에게 다가갔다가, 어떻게 신격화되고, 기록된 역사를 바꿀 수 없기에 자손들의 몰락을 지켜보는 씁쓸한 과정을 보여준다.

 

  칼을 신으로 받아들였기에, 고대인들은 그의 자손을 신의 아들로 받들고 대표로 내세운다. 그리고 자신들은 신이 돌봐주는 종족이라는 믿음으로 왕인 에르마나리크와 결전을 벌인다. 그래서 칼은 그들을 막아야 했다. 모든 일은 역사서에 기록된 대로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가 그곳의 소녀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지 않았다면, 역사는 어떻게 흘러갔을까? 고대 게르만족들이 묘사한 오딘의 외모가 그와 비슷하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그가 고대인들의 생활에 끼어들지 않았다면 과연 역사는 기록된 대로 흘러갔을까? 아니면 그가 끼어들었기에 역사가 제대로 흘러간 것일까? 책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이러한 생각할 거리는 ‘바다의 별’에서도 나온다.

 

  어느 시대에서부턴가, 로마 제국이 역사와 다르게 빨리 쇠퇴하는 일이 발생한다. 패트롤인 에버라드와 플로리스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아내기 위해 고대로 향한다. 거기서 그들은 벨 에드라는 신비한 무녀가 로마 제국에 항거하는 사람들을 이끌고 있음을 알아낸다.

 

  도대체 그녀는 어디서 튀어나온 걸까? 두 패트롤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그녀의 과거를 파헤친다. 그리고 그녀가 무녀가 되는 것에 그들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차리고, 역사를 바로잡을 궁리를 한다.

 

  여기서도 그들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았으면, 그래서 그들이 위험에 빠진 어린 벨 에드와 헤이딘을 구해주지 않았으면, 로마 제국이 갑자기 사라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면 그들이 과거로 돌아가는 임무를 맡지 않았을 것이고…….

 

  머리가 아프다. 햄스터가 쳇바퀴를 돌면서 이런 느낌을 받았을까?

 

  책에서 에버라드가 이런 말을 한다. ‘신화는 진화한다.’ 고.

 

  책에서 어떤 사건은 역사서에 기록되고 또 어떤 것은 신화로 바뀌는 것을 보며, 그 말도 타당하다고 고개를 끄덕였다. 그건 책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계속 그래왔던 일이다. 세대를 전해 내려오면서 이야기는 가감되고 과장되고 변형되기 마련이다. 지금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그런 의미에서 만약에 SF 영화나 소설에 나오는 것처럼 인류가 대재앙을 겪고 모든 기록이 소실된다면, 그런데 우연히 남은 책이 이거라면, 미래 우리의 후손이나 외계인은 이 책을 신화로 받아들일까 역사로 기록할까? 궁금해졌다.

 

  만약에 만화책 ‘드래곤 볼’만 남으면, 그들은 이렇게 말하겠지. ‘고대 지구인들은 또는 고대 우리 조상은 에너지 파를 써서 달을 파괴하기도 하고, 변신에도 능한 전투를 좋아하는 호전적이면서 평화를 지키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뭔가 멋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