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Fairy Tale Killer

  감독 - 대니 팽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상영작

 

 

  영화 시작 부분에 붉은 글씨로 떠오르는 영문 이름. Danny Fang. 그렇다. 이 영화는 ‘The Eye’로 유명한 팽 브라더즈의 한 명인 대니 팽의 작품이었다.

 

  경찰서에 남자가 하나 잡혀온다. 이름은 주재준. 어딘지 모르게 정신이 모자란 사람 같고, 얼굴엔 하얀 칠을 하고 있다. 아무 말도 안하던 그는 한 반장을 보자 활짝 웃으면서 ‘나를 모르겠냐?’고 묻고는, ‘장 휘’라는 사람을 죽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죽었다던 사람은 멀쩡히 살아있었고, 경찰은 그를 풀어준다. 그리고 한밤의 해프닝으로 여기고, 없던 일로 처리한다.

 

  그러나 ‘장 휘’가 죽은 채 발견되면서, 일은 꼬여만 간다. 지난 밤의 일을 보고하지 않았기에, 경찰은 증거를 빼돌리고 관련이 없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다. 하지만 어디선가 비밀이 새나가고, 한 반장의 팀은 갈등과 오해 그리고 와해 분위기로 치닫는다.

 

  그 와중에도 끔찍하게 죽은 시체가 연달아 발견된다. 그들이 과거 같은 고아원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이었다는 것이 밝혀지는데…….

 

  아, 뭐라고 말해야 할까?

 

  이 영화는 많은 것을 담고 있다. 자폐, 집단 따돌림, 어른들의 무관심, 이기주의, 그리고 현실과 이상의 괴리.

 

  어린 시절 누구나 다 동화를 읽는다. 거기서는 언제나 나쁜 사람은 벌을 받고, 착한 사람은 복을 받는 걸로 끝이 난다. 그것이 당연한 것이라 믿고,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며 자란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도리어 나쁜 사람이 더 잘 되고, 착한 사람은 고통을 받는 경우가 있다. 지금 당장이야 그렇지 않아 보여도, 언젠가는 꼭 하늘의 벌이 내릴 거라고 말은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내가 죽은 다음에 그런 일이 생기면 무슨 수용이람?

 

  영화에서 ‘주재준’이 절규한다.

 

  “다 죽을만한 놈들이었어!”

 

  왜 제목이 ‘잔혹 동화 살인마’인지는 죽은 자들의 상태를 보면 알 수 있다.

 

  동화 ‘일곱 마리 아기 염소’처럼 일곱 개의 돌이 들어간 채 죽은 남자.

  ‘헨젤과 그레텔’의 마녀처럼 산 채로 구워진 여자.

  ‘빨간 구두’처럼 발이 잘린 채 기계에 매달려 춤추듯이 죽은 사람.

  그리고 ‘신데렐라’의 언니처럼 구두에 맞춰서 발뒤꿈치가 잘려 죽은 여자.

  (이건 추측이다. 신발이 피투성이였고, 감독은 확실하게 보여주지 않는다. 보는 이로 하여금 상상하게 만들 뿐.)

 

  어릴 때 읽었던 동화처럼, 하늘이 벌을 주지 않기에 범인은 자신이 직접 나서기로 한다. 그에게 나쁜 인간은 다 동화에 나오는 늑대였다. 나중에 다 벌을 받아 죽는 늑대.

 

  후반부에 마치 영화 ‘쏘우’의 직쏘처럼 한 반장에게 게임을 제안하는 범인. ‘대니 팽이 쏘우 시리즈를 감명 깊게 보았나?’라고 생각했는데, 결말까지 보고나니 ‘아, 그래서 그렇구나.’라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누구나 다 어린 시절에 마음속깊이 간직한 영웅이 한 명쯤은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영웅이 세월의 흐름을 견디지 못해 속물로 변한다면, 그 모습을 지켜봐야한다면, 그건 참으로 고통스러운 일일 것이다. 언제나 그 사람은 나의 어릴 적 영웅 그대로여야 하니까.

 

  영화가 끝나고 생각에 잠겼다.

 

  그래서 그들은 동화처럼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았을까?

  어째서 인간은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그렇게까지 잔혹해질 수 있는 걸까?

  인간의 본성은 진짜로 성악설이 맞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