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림 오브 더 밴쉬
알렉스 오웰 감독, 르네 코크란 외 출연 / 비디오여행 / 2012년 2월
평점 :
일시품절


  원제 - Scream Of The Banshee

  감독 - 스티븐 C. 밀러

  출연 - 로렌 홀리, 마르셀 배어, 에릭 F. 아담스, 르네 코크란

 

 

  애프터 다크 호러 페스트 출품작

 

 

  영화의 도입부는 진짜 멋졌다. 때는 12세기. 빨간 망토를 휘날리며 백마를 타고 도망가는 금발 여자와 그녀를 쫓는 갑옷을 입은 기사들. 뜻밖에도 그녀의 전투력은 뛰어나서 기사들과 막상막하의 대결을 벌였다. 하지만 한 남자가 던진 상자에 그녀는 봉인되고 만다. 여기까지는 진짜 멋졌다.

 

 

  그런데 현대로 돌아와서, 유물을 복원하는 대학 연구팀이 우연히 학교의 숨겨진 벽 너머에서 그 상자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을 여니, 그 안에는 미라 화된 흉측한 머리가 하나 들어 있었다. 그런데 엄청난 비명과 함께 그 머리는 터진다. 연구팀과 건물을 지키던 경비는 괴성 때문에 귀에서 피가 줄줄 흐를 정도. 이후 그들에게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그 자리에 있던 연구원들이 하나둘씩 헛것을 보고 죽어가기 시작한 것. 남은 사람들은 그 머리의 정체를 밝히고, 누가 왜 그것을 학교에 숨겼는지, 살아날 방법은 있는지 찾기 시작한다.

 

 

  영국 쪽에 ‘밴쉬’라는 여자 귀신이 있다고 한다. 그녀가 울면 꼭 죽는 사람이 생긴다는 괴담의 주인공이다. 이 영화도 그 점에서 착안했나보다. 다른 점은 여기의 밴쉬는 우는 게 아니라 비명을 질렀고, 자신이 직접 사람을 죽이고 다녔다는 것이다.

 

 

  유물 복원 팀이 나오기에, 소피 마르소가 나왔던 박물관의 이집트 미라 귀신 영화가 떠올랐다. 제목이 뭐더라. 아! ‘벨파고’ 그런데 그건 아니었다. 아쉽게도.

 

 

  영화는 도입부를 지나면서, 조금 느슨해진다.

 

 

  아니, 유물 복원한다는 사람이 골동품 건틀릿을 끼고 장난을 치면 될까? 아무리 엄마가 팀장이라지만 건물 벽을 뚫어놓고 ‘나 갈래.’라고 튀면, 뒷정리는 누가 하고? 게다가 뭐가 있는지 알아보지도 않고 무조건 열고 본다? 안에서 뭐가 나올 줄 알고? 그리고 그런 경우라면 대비를 제대로 해야 하는 게 아닌가? 게다가 궁금한 것은 인터넷 검색을 한다. 대학 연구팀이면, 고서적을 조사하고 막 그래야 하는 거 아닌가? 아니 몇 백 년 전 기록이라면 고문서를 봐야지, 왜 구글을 찾는 건지. 도대체 컴퓨터에 올라와있는 모든 기록이 100% 맞는다는 보장이 어디 있다고.

 

 

  그런 소소한 것들이 쌓이면서, 진짜 얘들이 직업에 대한 사명 의식이 있는 프로 유물 복원가가 맞는지 의심스러웠다. 괜히 잘 알지도 못하면서 전문가랍시고 일만 벌이는 부류의 인간들이 아닐까 하는 불신도 생겼다. 그리고 사건의 전개나 마무리까지 제대로 하지 못할 거라는 예측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옛 속담이 괜히 존재하는 게 아니었다.

 

 

  영화는 결국 ‘이건 아닌데…….’라고 중얼거리면서 눈살을 찌푸리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아, 이런 갑작스런 전개라니. 이건 마치 처음 만난 소개팅 자리에서 ‘우리 심심한데 뽀뽀나 할까?’라는 뜬금없는 제의를 받은 당혹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면 대개 이렇게 생각한다. 그런 짓 하려고 소개팅 나왔냐? 미친…….

 

 

  그리고 무엇보다 밴쉬가 하나도 안 예뻤다. 영화 ‘크립쇼’에 나온 해골처럼 생겨서, 마음이 아팠다. 아마 악령이라고 해도 800년의 세월은 이길 수 없다보다. 사람을 죽이면서 조금씩 과거의 미모를 찾아가는 설정도 괜찮았을 텐데. 아, 나도 외모 지상주의에 빠진 인간이란 말인가. 슬프다. 자기도 안 예쁜 주제에 귀신 못생겼다고 타박이나 하고 있고. 반성하자.

 

 

  모든 비밀을 알고 있는 전직 교수로 나온 남자를 보고 애인님이 ‘헉!’하고 놀랬다. 애인님이 좋아하는 미국 드라마 ‘밀레니엄’의 주인공이자, 영화 ‘에이리언’ 시리즈에서 인조인간으로 나왔던 그 배우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분도 시간의 흐름을 역행할 수는 없었는지, 많이 변한 모습이었다. 그래서 처음에 긴가민가했었다. 거기다 주인공으로 나온 여배우는 미국 드라마 ‘NCIS’에서 사람 속 터지게 했던 국장님으로 나왔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여기서도 속 터지게 만들었다. 이 배우는 사람 속 터지게 만드는 역할을 확실히 잘 소화하는 가보다.

 

 

  그 두 사람을 본 반가움과 놀라움. 그리고 밴쉬의 빨간 망토가 참 예뻐서 어디서 샀는지 물어보고 싶었다는 것만 빼면 그저 그런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