쿰을 쿠다 황금펜 클럽 Goldpen Club Novel
작가K 지음 / 청어람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 작가K



  황금펜 영상문학상에서 금상을 받은 작품이라고 한다. KBS와 같이 한 공모전이니, 아마 영상화시키는 것을 감안해서 수상작을 뽑았으리라 짐작이 간다.


  책을 읽어보니, 그 생각이 맞았다. 자잘하게 나뉜 장면 변화는 마치 드라마를 보는 느낌을 주었다. 특히 3장 ‘자라지 않는 아이’ 부분에서 잘 드러나 있다. 죽은 아이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짧게 번갈아가면서 나온다. 마치 드라마나 영화의 컷처럼 말이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어떤 스릴러 소설에서도 이런 기법을 쓴 걸 읽은 적이 있다. 제목이 뭐더라……. 아! 앨런 폴섬의 ‘추방’이다. 단문으로 이루어진데다가 자잘한 컷으로 나뉘어, 긴장감과 속도감을 주었다.


  이 책의 제목은 독특하다. 꿈이 아니고, ‘쿰’이다.


  몇몇 장르 소설은 용어 정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익숙하게 아는 단어가 다른 뜻으로 쓰일 때도 있고, 작가가 만들어낸 단어도 있다. ‘프레디’나 ‘크루거’ 그리고 ‘아바타’같은 단어를 그냥 익히 알고 있는 뜻으로 이해하고 읽으면 혼란이 올 수 있다. ‘쿰’이라든가 ‘아이데카’같은 것은 작가가 만들어 낸 단어이고 말이다. (아이데카를 검색하니까 무슨 회사 이름이 나온다.)


  글을 읽으면서, 문득 영화 ‘나이트메어’와 ‘매트릭스’가 떠올랐다. 책의 뒷장을 보니, 심사위원들은 ‘인셉션’을 언급한 모양이다. 하긴 이 책에 나오는 ‘쿰의 보늬’와 그 영화의 ‘림보’가 비슷한 개념이긴 하다. 그 대목을 보는 순간, 나도 영화를 떠올렸으니까.


  하지만 꿈과 현실을 오가는 영화의 원류는 ‘나이트메어’라고 생각한다. 또한 글로 된 것은 장자의 ‘나비 이야기’가 있고 말이다. 그러니 이 작품이 ‘인셉션’의 영향을 받았느니 말았느니 얘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나에게는 '쿰을 쿠다‘나 ’인셉션‘이나 둘 다 영화 ‘나이트메어’를 떠올리게 했으니까.


  책은 과거와 현재, 꿈과 현실을 마음껏 넘나든다. 그래서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여기가 꿈의 세계인지 현실인지 그것도 아니면 과거인지 현재인지 헷갈린다.


  특히 18장인 ‘이상한 도시’는 갑자기 ‘나’라고 지칭하는 시점으로 진행되어, 의아함마저 주고 있다. 물론 그 ‘나’가 누구인지 곧 알 수 있지만, 처음에는 당황스럽다. 왜 중간에 인칭이 바뀌었는지 알 수가 없다. 그것도 딱 18장만. 물론 이것이 19장과 연관이 되고, 그 인물이 진짜 인간인지 아니면 아이데카로 만들어낸 허상인지 구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는 한다. 그렇지만 왜 갑자기 이 장만 ‘나’의 입장에서 서술을 해야 했을까?


  그래서인지 모르지만, 이 글은 어떤 의미로는 불친절하다는 인상이 들었다. 작가야 다 알고 쓰는 것이지만, 독자는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정보를 접하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둘씩 야금야금 작가가 주는 힌트를 토대로 독자는 숨겨진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소설은 그런 부분에서는 점수를 깎고 싶었다. 위에서 언급한 인칭 변화는 둘째 치고, 과거 현재 꿈 현실을 너무 왔다 갔다 해서 혼란스러웠다. 과거와 현재를 너무 세분화시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조금 분량을 늘여서 나누었으면 어땠을까? 한 번에 읽지 않고, 여러 번 나누어 읽기엔 무리가 있었다. 그래서 작가가 열심히 글 전반에 깔아둔 복선과 암시가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았다.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또 다른 안타까운 점은 문장이다. 조금만 더 간결체로 적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이 들었다. 간혹 불필요한 단어가 반복되는 걸 볼 수 있다. 문장을 조금만 더 다듬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특히 작가는 대명사를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250쪽의 ‘새매는 칼잠을 통과한 총알이 칼잠의 등 뒤에 서 있는 유리를 맞혔다는 것을 깨달았다.’처럼 한 문장에서 같은 사람을 반복할 때는 ‘그’로 쓴다고 알고 있는데…….


  물론 이 작품은 뛰어난 작가의 상상력으로 그 점수를 만회한다. 그리고 자잘한 컷의 나눔이 긴장감과 속도감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적절한 비밀 유지와 살짝 맛만 보여주는 숨겨진 정황 등은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다른 장르 소설과는 차별화된 설정이나 구성도 좋았다. 대개 장르 소설은 판타지라고 드래건이 나오고 검기를 뿌리거나 초능력자가 나오는, 주인공이 대책 없는 먼치킨인 경우가 많은데 말이다. 그래서 한국 장르 소설, 특히 판타지 무협 쪽은 손이 선뜻 가지 않는다. 전에는 곧잘 읽었는데.


  그래서 점수를 더 주고 싶다.


  비록 문장은 조금 더 다듬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고, ‘나이트메어’의 향기가 풍겨 나오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