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과 일연은 왜 - 삼국사기.삼국유사 엮어 읽기
정출헌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 삼국사기·삼국유사 엮어 읽기

  작가 - 정출헌

 

  작품을 감상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작품만 온전히 보는 것이고, 또 다른 것은 그 작품을 쓴 작가와 그가 살던 시대 배경들을 고려하는 것이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읽기 더 어렵다. 특히 동시대가 아닌, 이전 시대의 작품을 접할 때는 더욱 그러하다.

 

  여기 두 책이 있다. 삼국이라는 동시대를 다루고 있지만, 접근 방식이나 인용한 얘기가 조금씩 다른 두 가지 역사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우리는 이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일반적으로 하나는 정사, 다른 하나는 야사라고 간단하게 말하곤 한다. 하지만 과연 그게 다일까?

 

  작가는 이 두 책을 어떤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나 말하고 있다. 특히 작가인 김부식과 일연의 가치관과 시대 배경 그리고 그들의 정치적 입장을 파악하면서, 똑같이 일어난 역사적 사건이 어떻게 다르게 서술되는지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고려해야할 시각을 덧붙인다. 바로 현대인의 관점이다. 작가는 프롤로그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우리의 역사 고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읽을 때 전체적인 맥락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오늘날 우리의 문제의식으로 음미해보려는 것이야말로 고전을 고전답게 읽는 법일 수 있다. p12

  -오히려 역사를 제대로 읽는다는 것은, 그렇게 기록된 까닭을 깊이 음미해보는 과정 자체일 수 있다. 그런 과정에서 우리는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날카롭게 벼려나가는 것이다. p12

 

  즉, 우리는 김부식과 일연의 시각에 덧붙여서 작가의 관점까지 파악해야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작가와 우리는 동시대에 살고 있기에, 그의 관점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도리어 우리가 역사서를 보면서 ‘왜 이러는 걸까?’라고 의아해하거나 ‘이건 좀…….’하고 황당해하는 부분을 적절하게 짚어주면서 풀이해주고 있다. 일종의 해설서였다, 이 책은.

 

  이 책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다.

 

  1부는 두 작가의 전반적인 배경을 설명하면서, 왜 둘의 시선이 다를 수밖에 없는지 얘기하고 있다. 출생과 자라온 환경 그리고 성인이 되어 택한 길과 이후 그들이 추구했던 목표까지. 이렇게 보니 그 둘은 확연히 다르면서도, 자신이 속한 집단을 위해서 역사서를 기술했다는 점은 비슷했다.

 

  가장 놀라웠던 것은 두 사람의 역사서 글 배열에 숨겨진 비밀이었다. 그것을 읽으며 경악할 수밖에 없었다. 진짜 그들이 그런 의도로 순서를 정한 것이라면,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읽고 있는 것일까? 과거를 기록한 역사서일까 아니면 집권층의 지배와 체제 유지를 위한 선전 글일까?

 

  2부는 일곱 개의 주제를 놓고, 비슷하거나 똑같은 사건을 어떻게 다르게 기술했는지 비교한다. 삼국의 건국신화, 신라의 세 여왕에 얽힌 이야기, 효자와 열녀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남자들에게 가려져 소리조차 내지 못했던 부인들의 이야기 등등.

 

  작가는 그들이 왜 그렇게 적을 수밖에 없는지, 현대를 사는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의견을 제시한다. 그리고 특히 여성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남자가 적은, 남자들이 득세하는 시대에서 여자들은 어떤 식으로 이름을 남겼는지, 그녀들이 어떤 목적으로 역사서에 기재가 되었는지 차근차근 풀어준다.

 

  책을 다 읽고 고민에 빠졌다.

 

  어린 조카에게 역사에 대해 어떻게 애기해줘야 할까? 어떤 역사서를 골라줘야 할까? 어떻게 역사를 받아들이도록 도와줘야할까? 책을 읽기 전에는 하지 않았던 고민이 늘었다.

 

  하지만 이건 즐거운 고민이다. 동시에 공부를 더 하고, 생각도 많이 하고, 지금보다 더 다양한 사회와 인간에 대해 배워야 풀 수 있는 고민이다. 어느 철학자가 말했다. 생각하기에 자신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그러니까 이런 고민을 한다는 것 역시 내가 죽어있지 않다는 증거가 될 것이다.

 

  과거와 지금은 많이 다르지만,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한다. 그러니 나같이 고민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비슷한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니까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 어떻게 역사를 바라보고 전달해야하는지, 무엇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적용할 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