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배와 잃어버린 장미 - 다 빈치 코드의 비밀
마가렛 스타버드 지음, 임경아 옮김 / 루비박스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작가 - 마가렛 스타버드
부제 - 다 빈치 코드의 비밀
언제나 그렇지만 우리가 알지 못하는 먼 과거의 일은 추측과 가설로 뒤덮여 있다.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라든지, ‘이렇지 못하다는 증거가 없으니까 이게 맞는 거다.’ 또는 ‘이 모든 것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진실은 지배 세력에 의해 묻히고 왜곡되고 있다’라는 주장도 심심치 않게 나돈다. 특히 마지막에 말한 음모론 같은 것들은 세파에 찌든 일반인들에게 짜릿함을 주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추측은 추측일 뿐이다.
이 ‘소설’도 그런 맥락에서 읽어보았다. 남이 고생해서 연구하고 모은 자료들을 소설이라 치부하는 것은 예의가 아닐지 모르지만,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은 다음에 떠오른 생각은 단 하나였다.
‘그건 댁의 생각이지.’
이 ‘소설’의 중심 가설은 예수 그리스도의 결혼 여부였다.
동정으로 죽었다는 남자를 왜 그리도 유부남으로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해 못하겠지만, 어쨌든 그것이었다.
솔직히 예수의 결혼설은 꽤나 매력적인 가십거리였다. ‘그리스 로마 신화’와 ‘삼국지’처럼 예전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꽤나 많은 사람들의 밥줄이 될 것이다.
영화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에서도 다루었었고, 몇몇 책에서도 다루었었다. 신격을 낮추는 대신 인격을 부가시켜 예수를 유대인 레지스탕스 지도자로 묘사하거나, 실패한 정치인으로 그리기도 했다.
마가렛 스타버드 역시 그런 것들의 영향을 받아, 나름대로의 여러 가지 증거들을 제시한다. 커플 룩을 언급한다던지, 자리에 앉아 있는 위치나 그림 구석에 있는 작은 기호들을 문제 삼아 예수와 그의 연인 커플을 공식적으로 인정시키고자 노력했다.
그냥 읽으면 ‘아, 그렇구나.’라고 넘어갈 정도로 말이다. 솔직히 나는 그 성당엘 가보지 않았고, 그 그림을 직접 보지도 못했으며 그 구절이 적힌 원본은 그런 것이 존재하는지 조차 몰랐다.
물론 스타버드 여사는 말한다. "현 교계에서는 이런 사실을 알고서도, 진실을 은폐시키고자 공표하지 않았답니다."
하지만 누가 맞는지 내가 알겠는가? 난 그냥 평범함이 뚝뚝 떨어지는 대한민국의 소시민일 뿐인데. 어느 날 갑자기 외국 사람이 나타나서, 그냥 ‘내가 쓴 게 맞아요, 믿으세요.’라면 믿을 수 있을까?
이건 마치, 외국에서 들여온 수입품을 놓고 ‘외국에서는 다 이 제품을 써요. 영국 왕실에서 입증한…….’라고 목청껏 떠드는 홈 쇼핑 안내문 같은 것이다. 내가 외국을 안 가봤으니 쓰는지 안 쓰는지 어찌 알겠는가.
비판적이고 회의적이라고도 하겠지만, 무조건 ‘맞아, 기존의 것은 다 거짓이야’라고 추종할 필요는 없는 듯하다.
스타버드 여사는 현재 세계가 이렇게 혼란스러운 것은 다 예수의 부인을 매장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남녀가 만나 서로를 아끼고 사랑할 때에야 비로소 완전해지는데, 지금 교계에는 불완전한 상태의 신인 예수만이 존재하다. 따라서 그의 반쪽을 찾아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모든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들은 부인이 있는데, 왜 유독 예수만 솔로인가라며 의문을 제기한다.
아니, 그냥 예수가 솔로 부대의 수호신이라고 하면 안 되는 건가? 커플의 수호신이 있으면, 솔로의 수호신도 있어야 공평하지 않을까? 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아무래도 난, 기존의 교육에 뼛속까지 찌들어 있는 모양이다. 그나저나 이제, '그리스 로마 신화', '삼국지', 그리고 '예수의 결혼설'이 3대 사골이 될 것인가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