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와 성녀 - 마성과 성성을 키워드로 한 중근세 유럽 여성사
아케가미 슈운이치 지음, 김성기 옮김 / 창해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작가 - 이케가미 슌이치

 

  부제 - 마성과 성성을 키워드로 한 중근세 유럽 여성사

 

 

  표지에 책에 대한 모든 설명이 압축되어 나타나 있다. 마성(魔性)과 성성(聖性)을 키워드로 한 중근세 유럽 여성사. 중근세에 왜 마녀 사냥과 성녀 숭배 사상이 동시에 나타났는지 예를 들어 보여주는 책이었다.

 

  찬찬히 다 읽어보고 내가 내린 결론은 유전무죄 무전유죄였다.

 

  여자가 두 명이 있다. 한쪽은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과부가 되었고, 다른 쪽은 힘없고 가난한 집에서 과부가 되었다. 똑같이 살기 위해 일을 했다. 부유한 집은 재산을 헌납하고 수녀원으로 가거나 동네 아가씨들을 데려다가 일을 가르쳤다. 중세 여성들이 배워야할 교과목에는 약초를 써서 간단한 집안 상비약 만들기도 있었다. 가난한 집은 남을 가르치기보다는, 약초를 조제해서 내다 팔았다.

 

  그렇지만 결과는 달랐다. 부유한 집안의 여자가 환상을 보고 기도문, 특히 그것을 방언으로 읊으면서, 몸에 성흔이 나타나거나 성체 빵만 먹는 몸이 된다면, 그녀는 성녀로 추앙받았다. 물론 요즘으로 따지면 식욕 부진 증상으로 보이지만 말이다. 거식증이나.

 

  하지만 가난한 집의 여자가 그러면 그 즉시 사탄과 내통한 마녀라 의심받았다. 물론 부유한 집안이라고 해도 지방 영주나 교회와 대립이 있으면 그 즉시 넌 마녀라고 불리긴 했지만 말이다.

 

  그렇다, 결국 마녀와 성녀는 사람들, 특히 권력을 잡고 있는 자들인 영주와 교회가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일이었다. 그들이 여자에 대해 어떤 편견과 불안과 의심과 두려움을 갖고 있느냐의 결과물이 바로 마녀 사냥과 성녀 숭배였다.

 

  마리아는 성스럽다. 처녀이면서 예수를 잉태했으니.

  그녀 이외의 여자는 불결하고 추악하며 음탕하고 간악하다.

 

  이 얼마나 모순된 일인가! 여자의 몸을 빌려 태어난 주제에, 그 구멍은 남자를 후리는 것이라 경멸하니 말이다. 그럼 중세 시대의 마녀 사냥꾼이나 신부 내지는 교황의 어머니들은 거의 다 문란한 사생활을 가졌다고 봐야하나?

 

  그렇기에 마녀들의 섹스 상대를 사탄으로 몰아붙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그녀들의 문란한 성생활의 대상이 일반 남자들, 그들이 추앙해 마지않는 아버지들이라고 하면 남자의 우월의식에 금이 갈 테니 말이다.

 

  재미있다.

 

  요즘 세상을 보면 그런 시각으로 여자를 보는 사람들이 있긴 하다. ‘~~녀’라든지 ‘김여사’라고 모든 여자들을 싸잡아 부르는 것이 그런 경향을 드러낸다고 생각한다. 그런 이슈가 났을 때 여자 비하하는 댓글 달린 거 보면, 어쩐지 화가 난다. ‘~~남’은 찾아볼 수 없고, 오직 ‘~~녀’만이 온통 기사를 도배하고 있다.

 

  어쩌면 중근세 남자들의 그런 사고방식이 아직도 DNA에 남아서 흐르고 있는 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