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구혜영 옮김 / 창해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 - 히가시노 게이고



  내 생각하느라 밤에 잠을 잘 못 이루신다는 애인님이 지난 화이트 데이 선물로 보내주신 책. 일하는 틈틈이 경건한 마음으로 읽었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데뷔작이라고 들었다. 그리고 책에 둘러져있는 빨간 띠에 쓰여 있듯이, 에도가와 란포 상을 수상했다고 한다. 에도가와 란포 상은 매년 일본 추리 소설계에서 주는 상이다. 당연히 에도가와 란포는 유명 추리 소설가로, 그의 소설은 재미있다. 음울하면서 심리적인 면이 강하고 또한 마지막 반전이 황홀할 정도이다.


  이런 소설을 데뷔작으로 쓰다니, 역시 난 사람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고 생각했다. 밀실 트릭도 트릭이지만, 심리 묘사와 간간히 섞여있는 복선도 멋졌다. 음, 읽으면서 어? 이거 이상한데, 왜 이 장면이 왜 들어갔지? 라고 느낀 부분이 복선이자 암시였다. 그걸 알아차릴 정도면 나도 내공이 꽤 늘은 걸까?


  나른한 성격의 여고 수학 선생이 주인공이다. 그냥 회사 다니다가 연줄로 부임한 여학교. 유부남 선생이지만 여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서, 들이대는 여고생들도 좀 있을 정도.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그를 노리는 이상한 사건들이 일어난다. 기차역에서 뒤에서 민다던가. 화분이 떨어진다던가.


  그리고 사건이 터진다. 학교 탈의실에서 선생 하나가 시체로 발견된 것. 문은 안에서 잠겨 있었고, 밖으로 나갈 곳은 없었다. 자살인가 타살인가? 타살이라면 누가? 왜? 어떻게? 그리고 또 다시 일어나는 살인 사건! 범인은 누구인가? 교직원인가 아니면 학생인가? 여고에 드리워진 우울하고 무시무시한 그림자…….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사람의 심리란 역시 묘한 것이라 생각했다.


  본문에서 나온다. 겨우 그런 일로 사람을 죽이는 것이 가능할까?


  가능하다고 본다. 사람마다 건드리면 안 되는 부분이 있는 것이니까. 다른 사람이 보기에 별거 아닌 것 같은 일이지만, 당사자에게는 죽기보다 더 수치스러운, 아니 차라리 죽는 게 더 나을 거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흔히 말한다. 자살할 용기로 살아가라고. 근데 그 말은 좀 웃긴다고 생각한다. 당사자가 어떤 마음으로 자살까지 결심하고 실행에 옮겼는지 알지도 못하고, 순전히 자신의 잣대로 남의 마음을 평가하는 일이니까 말이다. 남을 100% 이해할 수는 없다. 또한 나 자신을 남에게 100% 이해시킬 수도 없는 일이다.


  사람마다 가치가 다르고, 성격이 다르고, 판단 기준이 다르다. 그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다른 생각이 충돌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 학교라는 곳에서 똑같은 교재를 가지고 도덕이나 윤리 내지는 관습과 규범이라는 것을 배우긴 하지만,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은 똑같이 획일화시킬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 그런 것이다. 그래서 이 소설과 같은 일이 벌어졌을 것이다.


  어떻게 이런 미묘하면서 여린 심리를 잘 포착했을까? 그것도 이 사람은 남자면서, 여고생들의 심리를 어떻게 이렇게 잘? 다시 한 번 이 작가에게 놀라고 감탄하고 경의를 표하는 동시에 나 자신에 대해 좌절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