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초콜릿사건 동서 미스터리 북스 75
앤소니 버클리 콕스 지음, 손정원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인 사건은 단 하나. 그렇지만 해법은 여섯 개.'' 



  간단하게 줄인 독초컬릿 사건의 내용이다. 


  범죄 연구회라는 모임이 있다. 저마다 알아주는 개성 넘치는 사람들로 모인 이 모임은 말 그대로 범죄를 연구하는 모임이다. 엄격한 입단 테스트를 거쳐야만 가입이 가능한 이 곳의 멤버는 유명 극작가, 추리 소설 작가, 변호사 등등 내노라 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날, 기묘한 사건이 발생한다. 초컬릿을 먹고 한 젊은 부인이 죽은 것이다. 초컬릿 안에 독이 들어 있었던 것이다. 그 초컬릿은 그녀의 남편인 벤딕스가 가져온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원래 그것을 받은 것은 바람둥이로 악명이 자자한 남작이었는데, 우연히 옆을 지나가는 벤딕스가 안 먹으면 달라고 해서 가져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범인이 노린 것은 남작인가? 벤딕스 부인은 쓰레기 차 피하려다 똥 차에 치어 죽었다는 그런 운도 지질이 없는 그런 경우인가?


  스코틀랜드 야드 - 런던 경찰청 - 의 도움을 받아 연구회 회원들은 저마다 각각 사건을 나름대로 풀어보기로 한다. 그리고 각자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물론 서로 그 해결에 대해 토론도 하고, 같은 회원을 범인으로 지목하기도 하고 여러가지 헤프닝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범인은? 물론 밝혀진다. 


  단편같으면서도 장편인 독특한 매력을 가진 추리 소설이다. 한 명씩 돌아가며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다른 사람은 그것을 들으면서 반론을 제기하거나, 그것을 첨가해서 자신의 추리를 발전시키는 형식은 처음 접하는 것이라 다소 낯설었다. 


  이런 형식의 글은 한 사람이 문제를 내고, 그 자리에서 토론하고 생각을 정리하거나 아주 탁월한 재능을 가진 사람이 그 자리에서 범인을 밝히는 내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티의 ''화요일 클럽의 살인''이나 아시모프의 ''흑거미 클럽''이 이런 구조였다.)


  그렇다면 ''맨 마지막에 발표하는 사람이 제일 유리하겠네''라고 생각을 할 지도 모른다. 그래서 어쩌면 작가는 맨마지막으로 발표하는 사람을 그리 유명하지 않은, 어떻게 이 클럽에 가입을 했는지 모르는 그런 소심한 남자로 설정을 한 모양이다. 그냥 평범한 중년의 소심한 단지 책 읽기를 좋아하는 마지막 발표자는 앞 선 사람들이 한 발표를 잘 메모해두었다가 꼼꼼히 살펴보고 그들의 모순을 정리해서 범인을 밝혀낸다. 범인의 정체는... 


  다른 소설에서 나오는 탐정이 직접 다니면서 탐문을 하고 현장을 다니는 내용은 없다. 그런 내용은 발표하는 과정에서 언급이 될 뿐이다. ''나는 어디로 갔었다'' 이런 식으로. 대화가 주를 이루는 소설이다. 그렇다고 노통브의 소설처럼 대화만 주욱 나오진 않으니 그런 점은 안심해도 좋다.


  모든 증거는 다 나와 있고, 독자가 할 일은 그것들을 비교해보면서 진범을 가리는 것이다.


  엘러리 퀸의 표현을 빌면 막간의 도전인 것이다. (엘러리 퀸은 국명 시리즈를 쓸 때 언제나 그랬었다. 모든 증거를 다 제시해 주고, 범인을 밝히기 바로 전에 독자들에게 ''맞춰보셈!'' 이라고 도전장을 냈었다.)


  우리 모두 범죄 연구회 회원이 되어 왜 벤딕스 부인이 죽었는지 추리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