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The Woman In The Window, 2020

  감독 조 라이트

  출연 에이미 아담스게리 올드만줄리안 무어안소니 마키

  원작 – ’A. J. 의 소설 우먼 인 윈도 The Woman In The Window, 2018’

 

 

 

 

  ‘애나는 광장공포증으로 집 밖으로는 한 걸음도 나갈 수 없는전직 소아과 의사이다어째서인지 모르지만남편과 딸은 다른 곳에서 살고 있고 전화 통화하는 것이 그녀의 낙이다밖으로 나가야 하는 일은같은 건물에 사는 데이비드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어느 날애나는 앞집에 새로 이사 온 이선이라는 아이와 알게 된다할로윈 날현관문에서 쓰러진 애나는 이선의 엄마라는 제인의 도움을 받게 된다며칠 후애나는 제인이 살해당하는 장면을 목격한다경찰에 신고하지만아무도 그녀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더군다나 이선의 엄마인 제인이 나타나지만애나가 본 여자와는 전혀 달랐는데…….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인물이 이웃을 관찰한다그런데 아무도 그 사람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왜냐하면현장에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이제 다른 집을 훔쳐본다는 비난을 받게 된 주인공은 지인의 도움으로 사건을 파헤친다이 설정익숙하다바로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 이창 Rear Window, 1954’이다이후비슷한 설정의 작품들이 등장했다이번 영화 역시그런 기본 설정을 따왔다다른 점은주인공의 성별과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 정도?

 

  주인공인 애나는 정신적인 문제가 있었다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술을 자주 마시며 상담을 받아야 한다그 때문에 그녀의 말이 과연 믿을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애나가 자기 자신조차 믿을 수 없게 된다면영화에서 보여주는 거의 모든 것이 거짓이 되기 때문이다이 점이 후반부에 가서 중요한 반전의 힌트가 된다소설을 읽어보지 않았기에 원작자의 의도는 잘 모르겠지만영화에서는 그 부분이 반전이었다애나가 자신에 대해 믿음을 회복하는 지점 말이다그리고 그제야 그녀는 그 전까지 할 수 없었던 행동을 하게 된다어떻게 보면 그녀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할 수 있다물론 그 대가는 좀 비쌌다.

 

  영화는 잔잔했다너무도 평범하게그러니까 기본 설정에 충실하게 흘러갔다누가 제인을 죽였고 제인은 과연 누구인가라는 의문을 풀어간다는 점에서는 스릴러라고 할 수 있는데그렇게 부르기엔 좀 많이 느슨했다주인공의 상황이나 성격에 변화를 주긴 했지만너무도 전형적으로 흘러가서 아쉬웠다증거를 찾을 때는 좀 놀라웠지만그게 다였다이후 벌어지는 일들이 그냥 답답했다분명 애나에게는 기존의 삶과 결별할 계기가 되는 사건이었는데그냥 흐지부지 흘러갔다그렇게 될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도 들었는지만그와 동시에 아쉽기도 했다좀 더 긴박하게 만들면 더 좋았을 텐데……연기 못한다는 얘기를 듣지 않는 배우들을 데리고지금까지 비슷한 설정을 가진 작품들이 만들어질 정도로 괜찮은 기본 설정을 하고이런 느슨함이라니…….

 

  음그러고 보니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광장공포증에 걸린 주인공이 살인범의 위협을 받는 영화가 있었는데……, ‘카피캣 Copycat, 1995’! 오래전에 만들어진 작품이지만그게 더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