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집에 놀러 오세요
우타노 쇼고 지음, 한희선 옮김 / 블루엘리펀트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제 - 家守, 2003
작가 – 우타노 쇼고
밀실 살인사건으로만 이루어진, ‘우타노 쇼고’의 단편집이다. 음, 그러고 보니 내가 읽은 이 작가의 작품은 거의 밀실 살인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었다. 이 단편집도, 작정하고 썼는지 5개의 이야기가 모두 밀실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그러면서 동시에 읽으면서 '과연 이게 가능할까?'라는 의문이 드는 이야기도 있었다.
특이하게 각각의 단편에는 두 개의 사건이 들어있었다. 연결되지 않을 것 같은데 교묘하게 이어지는 재미가 가득했다. 역시 1+1은 진리!
『인형사의 집』은 두 명의 화자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다. 집주인인 인형사와 어린 시절 그와 인연을 맺었던 주인공이 각각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피그말리온 신화를 좋아한 인형사는 어느 날 자신에게도 그런 기회가 왔었다고 기억한다. 한편 주인공은 어린 시절 친구들과 그의 집에 놀러 왔다가 인연을 맺게 된다. 하지만 그 집에서 숨바꼭질하던 중 한 친구가 실종되면서 관계는 끝이 났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사라졌던 친구가 발견되었다는 연락을 받는데…….
신화와 연관되어 야릇한 분위기를 연출하더니, 갑자기 출생의 비밀이 등장하여 '헐?'이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그런데 그게 또 그럴듯했다. 과거의 의리보다는 현재의 삶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에 어쩐지 씁쓸한 뒷맛이 돌았다.
『집 지키는 사람』은 잠을 자다 사망한 한 여인에 관한 내용이다. 사건을 조사하던 경찰을 뜻밖의 사실을 알아낸다. 토지 수용을 둘러싸고 마을 사람들과 마찰이 있었고, 오래전에 집 앞에서 유괴당한 여동생이 있었다는 것이다. 한편, 햄스터들이 질식사한 채 버려진 사건에 주목한 경찰은 두 사건이 연관되어 있는데 아닐까 추측하는데…….
가정 폭력과 학대는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다시 한번 확신할 수 있는 이야기였다. 유괴사건의 진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추측이 가능했는데, 그 속사정은 더 끔찍했다.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범인이 사용한 트릭이 과연 가능한지 잘 모르겠다.
『즐거운 나의 집』 역시 두 명의 화자가 있다. 치매에 걸려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고, 젊었을 시절만 기억하는 할아버지와 며칠간 그의 아들 역할을 해달라는 청년이 등장한다. 자신이 기억하는 모습 그대로의 아들을 만나 행복한 노인과 어려울 것 없이 돈을 벌 수 있어 좋은 청년. 하지만 그런 둘의 관계는 노인이 잊었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급변하게 되는데…….
읽고 나서 어쩐지 기분이 더러웠다. 씁쓸하고 개운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고 얹힌 것 같은 게 하여간 괜히 읽었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자기 딸내미 앞날은 중요하고, 남의 집 아들내미 앞날은 시궁창이냐! 이 나쁜 XX들아!!
『산골 마을』은 작가인 형과 매니저인 동생이 우연히 들른 산골 마을에서 벌어진 사건을 다루고 있다. 외진 곳이라 오가는 사람도 없고, 그곳에서 태어나면 거의 죽을 때까지 마을을 떠나지 않는, 그런 곳이었다. 그런데 도쿄로 떠났다가 십여 년만의 마을로 돌아온 한 남자가 집에서 목을 매 죽은 채 발견되는데….
안타까웠다. 죽은 사람도 그렇고 범인도 그렇고, 그렇게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건지…….
『거주지 불명』은 도쿄로 이사 온 부부가 주인공이다. 남편이 먼저 도쿄에서 사업을 하고 있었고, 부인은 친정에서 살다가 나중에 뒤따라 이주를 했다. 그런데 부인은 누군가 자신을 보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에 남편은 지금 사는 집에 사실 몇 년 전에 살인사건이 있었던 곳이라 고백한다. 이에 부인은 불안해하는데, 혼자 집에 있게 된 날 그녀에게 무시무시한 일이 벌어지는데……. 이 단편에는 그 집에서 벌어졌던 살인사건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도 곁들여져 있다. 그러니까 두 개의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고 봐도 될 것 같다.
장난도 지나치면 독이 된다. 결말을 보고 음, 한편으로는 인과응보라는 생각도 들었는데 좀 불쌍했다. 너무 대가가 큰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