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 캐쳐
워너브라더스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원제 - Dreamcatcher, 2003

  원작 - 스티븐 킹의 소설 ‘드림캐쳐 Dreamcatcher, 2001’

  감독 - 로렌스 캐스단

  출연 - 모건 프리먼, 토마스 제인, 제이슨 리, 데미안 루이스






  ‘드림캐쳐’는 아메리칸 원주민의 전통 장식물로, 좋은 꿈을 꾸도록 도와준다는 전설이 있는 장식물이다. 그러니까 제목만 보면, 꿈속에 나타나 사람들을 괴롭히는 뭔가가 나온다는 걸 알 수 있다. 게다가 원작자 이름을 보니 ‘스티븐 킹’ 이건 의심할 여지없이 공포물이다. 물론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중에 그의 공포 세계를 제대로 구현한 작품 찾기가 힘들어서, 그리 믿음이 가지 않지만 말이다.



  어릴 때부터 친구였던 ‘헨리’, ‘피트’, ‘비버’, 그리고 ‘존시’는 어른이 되어서도 연락을 하고 지낸다. 그들은 어릴 때부터 어울려 지냈는데, 다른 학생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던 ‘더디츠’와 관련된 특별한 추억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어렵게 한자리에 모인 그들은, 사냥여행을 떠난 숲에서 부상당한 한 남자를 구한다. 그런데 그가 끔찍한 모습으로 죽으면서, 네 친구들에게 기이한 일들이 벌어지는데…….



  어린 시절 동네 꼬꼬마시절부터 친했던 남자아이들의 모험 이야기는 스티븐 킹이 좋아하는 소재 같다. ‘스탠 바이 미 Different Seasons, 1982’와 ‘잇 It, 1980’이 그런 설정을 취하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세 작품들이 자기 복제의 결과물이라 비슷비슷한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소년들이 어른이 되가는 과정을 보여주긴 하지만, 그들이 겪는 사건의 기본이 공포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각 달랐다. 원작을 읽어보지 않아서 뭐라고 하긴 어렵지만, 이 작품에서는 소년시절은 회상에서 잠깐씩 등장하고 주로 어른 시절을 보여주고 있다. 아무래도 그들이 겪는 사건이 어린 아이들이 감당하기에는 조금 버거울 수도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영화는 몇몇 장면에서 상당히 끔찍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더 끔찍한 것은 인간이었다.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여기는 책임자의 모습이 참으로 오싹했다. 어쩌면 그 상황에서는 그럴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하겠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영화에서는 다른 방법도 존재했으니 말이다. 아마 자기주장이 제일이고 최선이라는 고집에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들어볼 생각도 안 한 모양이다. 이래서 책임자를 잘 뽑아야 하는 것이다.



  마음의 방을 만들어 놓고, 그곳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외부의 공격에서 자신을 방어하는 장면이 신기했다. 영드 ‘셜록’에서는 주인공이 사건을 분석할 때 사용했는데, 여기서는 비슷하지만 좀 다르게 사용했다. 어떻게 보면 부러운 기술이지만, 달리 보면 정신분열로 여겨질 수 있지 않을까 우려도 되었다. 더디츠가 사람들에게 저능아라고 놀림 받은 이유도 거기에 있는 게 아니었을까 싶다. 그는 말과 행동이 느린 게 아니라, 외부에서 오는 자극에 신경 쓸 여유가 별로 없었던 게 아닐까? 자신의 내부와 보통 사람들을 알 수 없는 존재에 대해 신경 쓰기도 바빴던 게 아닐까?



  영화는 어쩐지 너무 싱겁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결말을 맺는다. 그 전까지는 엄청난 게 터질 것 같은 분위기를 잡더니만……. 역시 스티븐 킹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답다. 별로 생각도 없었던 독서를 자연스레 권하니까 말이다. 설마 독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을 염려한 감독의 빅 픽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