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 & 페일리 : 진화론도 진화한다 지식인마을 1
장대익 지음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학교 다닐 때 배운 진화론을 상식으로 생각한다. 기독교인들도 말로는 창조론을 믿는다고 하지만 종교적인 이유일 뿐. 과학으로서 진화론을 무시하지 못한다. 서양식 교육으로 근대화를 시작한 우리가 아무런 거리낌 없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진화론이 저쪽 동네에서는 아직도 아닌 것 같다. 관념과 믿음이 아닌 생활과 문화로 정착이 돼버린 신의 존재가 너무 크기에 서양인들은 아직도 인간의 조상이 원숭이라는 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서양에서는 아직도 진화론과 창조론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 연출되곤 한단다. 심지어 보수기독교도인 ‘조시 부시’ 전 미국 대통령까지 창조론을 생명의 기원에 대한 다른 의견으로 보고 진화론과 동등하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는 무식한 발언을 서슴지 않은 것을 보면 아직도 심정적으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정밀한 기계처럼 한 치의 실수나 오차 없이 돌아가는 이 정교한 세상이 저절로 완성됐다는 말이 오히려 더 엉성하게 들릴 만큼, 자연이 보여 주는 광경은 신비롭다. 광대무변한 우주의 한 쪽 끝자락에서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생명체들이 서로 간에 약속이라도 한 듯이 부딪치지 않고 조화롭게 사는 것을 보면, 오히려 딱딱하고 복잡하며 허점이 많은 과학이론보다는 창조주 절대자의 섭리를 더 받아들이고 싶으며, 그게 맞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돌덩이 하나가 길가에 떨어져 있다면 우연히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약 시계가 떨어져 있다면 그것도 우연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진화론이 나오기 전 다윈이 좋아했던 ‘페일리’라는 신학자의 말이다. 당시 가장 정밀한 인공물이었던 시계를 자연에 빗대고 창조주를 시계공에 비유하며 창조론으로서 ‘지적설계론’을 말한 것이다. 이 오묘한 자연이 어떻게 저절로 생겼냐는 물음이다. 우연이 아니고 필연이며, 무작위가 아닌 의도적인 결과라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근대 이전의 우리 문헌에서 인간창조에 대한 이야기를 접해 보지 못한 것 같다. ‘어떻게 태어났느냐’ 보다 ‘어떻게 사느냐’를 중시하는 것이 동양의 세계관이었으니 이상한 일도 아니다. 생명의 기원에 대한 자연과학식의 연구에 몰두하지 않았던 우리는 그래서 서양문명의 지식중 하나로 거부감 없이 쉽게 받아들인다.

 

19C 중반이니 진화론이 태어난 지 150여년이다. 산업혁명이 18C 중반부터 시작되었으니 사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비추어보면 생명의 진화에 대한 연구는 한참 늦은 편이다.

 

누구나 당연하게 생각하는 진화론이 정확하게 어떤 이론인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초기원시세포에서 점차적으로 고등생물로 발달했다는 것만 막연히 알 뿐, 세부적인 것에는 대부분 관심이 없을 것이다. 나 역시 그러했다.

 

학교 다닐 때 암기과목으로 인식될 만 큼 외울 것이 많았던 생물은 그 어려운 용어만큼이나 재미가 없는 과목이었다. 생명에 대한 과학이 생각보다 재미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관심을 가진 건 고등학교 생물을 배운 기억이 아련한 추억으로 기억될 만큼의 긴 시간이 지난 뒤다.

 

진화론의 최대 의의는 다른 근대 학문과 마찬가지로 신으로부터의 독립이다. 창조주 하나님으로부터 이 지구를 다스릴 권한을 부여 받은 인간이 단지 수많은 생물보다 조금 더 진화한 존재라는 사실은 과거에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이 우주의 유일무이한 영적존재에서 원숭이와 사촌이며 심지어 초파리 같은 미물과도 유전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동물의 한 종류로의 추락은 얼마나 모욕적인가?

이 책은 다윈의 진화론이 세상에 나온 과정부터 ‘리처드 도킨스’나 ‘스티븐 제이 굴드’ 같은 현대의 생물학자들이 서로 티격태격하는 이유까지를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냥 진화론에 대해 편안한 마음으로 쭉 한 번 읽어 보고 권장하는 추가도서를 필요에 따라 읽어 보면 좋을 듯하다.

 

아무래도 가끔씩 튀어 나오는 전문용어는 낯설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평생 과학을 피해 다닌 나 같은 사람에게는 그래도 입안의 보리밥알처럼 헛돌기 일쑤다. 그렇지만 우리를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변화과정을 알아야 하는 것은 족보를 보며 조상의 권세를 세는 것보다 더 근원적이며 의미 있는 일이 아닐까?

진짜 조상의 뿌리를 찾는 것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