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영의 글쓰기 노트 - 대통령의 필사가 전하는 글쓰기 노하우 75
윤태영 지음 / 책담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나는 논리적인 글보다는 감성적인 글을 주로 쓴다. 논리적인 글은 지식을 주로 다루기에 깊이가 부족한 나로서는 다소 버겁다. 감성적인 글은 신변잡기류의 수필에 적합하며 지식의 폭이 좁아도 그럭저럭 감당이 되기에 초보자가 쓰기에 적합한 것 같다. 

 

 

글 잘 쓰기에 대한 로망은 읽은 책이 한권씩 쌓일 때마다 마음 한 구석에 그만큼 쌓이는, 읽는 것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또 다른 욕구였다.

늘 작가처럼 번듯하게 써보고 싶었지만 막상 자판을 두들기다 보면 내 생각은 허공에 맴돌다 사라지고 말뿐, 모니터에 남는 것은 김빠진 맥주처럼 허전한 잡문 몇 줄이었다.

글을 잘 쓸려면 일단 머릿속에 든 게 많아야 하고 다음에 생각을 잘 정리할 줄 알아야 하며 정리된 생각을 글과 일치시킬 줄 알아야 한다.


글쓰기에 대한 책들은 많지만 대통령의 글을 쓴 사람이라기에 눈에 확 띄었다. 다른 책에 비해 뭔가 더 특별한 것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역시 글쓰기에 왕도는 없다가 다시 확인한 답이다.

 

 '대통령의 필사' 윤태영이 전하는 글쓰기 입문부터 심화까지 75가지 노하우를 전하는 이 책의 특징은 실용적인 글 잘 쓰기에 대한 노하우가 들어 있다. 나라 최고의 지도자인 대통령이 국민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글로 옮겨 쓰는 일의 중요성은 새삼 거론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아무에게나 주어지지 않는 경험을 토대로 비법을 알려 주는 그의 말이 꽤 무게 있게 들리는 까닭이다.


쓰기에 대한 글 중간 중간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일화를 예로 들었기에 심심하진 않으나 그와의 인연을 다소 감성적으로 풀어 놓은 점은 보는 이의 가치관에 따라 불편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정치적 공과와 별도로 이미 고인이 된 사람을 지근거리에서 보필한 사람임을 고려할 때 인간적으로 큰 무리는 아니라고 본다.


툭하면 주제와 상관없이 삼천포로 빠지며, 내가 쓴 글에 빠져 허우적대는 만연체의  악습을 잘 알고 있기에 “작은 고추가 매운 법이다 짧게 쓰자” , “쉽고 간결한 문장이 오히려 강한 인상을 남긴다” 라는 문구가 귀에 팍 꽂힌다.

습관적으로 쓰는 것 보다는 이러한 책들을 늘 곁에 두고 되새기며 참조한다면 언젠가는 비슷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품어본다.


처음엔 글을 쓴다는 것이 어색하고 답답했지만 이런 저런 잡문이라도 늘 써버릇하다 보니 지금은 생각보다 잘 써져 신통하기도 하다. 아무 생각이 없더라도 자판을 두드리다 보면 계속 나가진다. 일단 무조건 써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