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글쓰기 연습법, 베껴쓰기
송숙희 지음 / 대림북스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에 왕도는 없다.  그러나 노력 여하에 따라 전보다 잘쓸 수는 있다.

이것이 글쓰기 비법에 대한 기본적인 답변이다. 다만 그 방법론에 있어서 좀 더 효율적인 방식을 논하자는 것이다.

많이 쓰면 된다. 무조건 앉아서 죽어라 쓰다 보면 잘 쓸 수 있다. 그러나 동기와 결심의 정도에 따라 결과에 대한 편차가 극명하다.

저자는 효과가 입증된 제도적인 글쓰기 훈련으로 단련된 신문사 논설위원의 정제된 글을 꾸준히 따라 쓰는 것을 권한다.

내용 자체는 특별한 것이 없다. 글쓰기에 관심을 갖고 이런 저런 책을 사 본 사람들이라면 여러 번 접했던 내용들이다.

정해진 범위내에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제시할 수 있는 훈련이 기본적으로 갖춰진다면 그 이상의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독이 좋은 글쓰기의 필요조건임에는 분명하지만 한자 한자 한줄 한줄 따라 쓰다보면 토씨 하나, 쉼표 하나, 맞춤법 하나하나가 다 눈에 들어오는 정독의 효과가 발생하고 좋은 글쓰기의 충분조건이 완성된다는 것이다.

결국, 베껴쓰기는 극도의 정독에 다름 아닌 것이 된다. 눈으로 흘겨 있는 속독이 아닌 손으로 읽는 정독을 해야 온전히 내것이 되고 내것이 되어야만 마음을 움직이는 글이 탄생한다.  

이 얼마난 간단한 방법인가?  뚜렷한 방법이 없다면 그냥 믿고 따라 해볼 일이다. 수많은 문필가들이 그 효과를 보장한 방법이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