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쓴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딱히 어려운 일도 아니다.

글쓰기 자체는 쉽지도 어렵지도 않다.

 

내 능력과 수준에 맞지 않은 글을 억지로 쓰려니 힘든 것이다.

굳이 그럴 필요는 없다. 그냥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쓰면 된다.

처음엔 그저 생각나는 대로 아무런 제약 없이 날 것 그대로 쓴 다음

마음에 들 때까지 퇴고를 여러 번 하면 된다.

 

그러다 정 마음에 안 들면 그냥 버리면 그만이다.

내가 그렇게 한다 한들 뭐라 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글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과 생각 때문에

부담을 갖고 선뜻 다가서지 않는다.

 

자주 쓰다 보면 그런 부담은 점점 줄어든다.

말을 하면서 말을 못 할까 걱정하지 않듯이

글도 쓰면서 못 쓸까 걱정하지 않게 된다.

 

그때부터 열심히 쓰게 된다.

행여 잡문이라 부끄러워하지 말자.

위대한 대가가 쓴 글을 제외한 모든 글은 잡문이다.

 

익숙해지면 글을 못 쓸까 걱정하는 대신

무슨 주제로 써야 하는 가가 더 고민스럽다.

하지만 이것도 시간이 해결해준다.

 

내가 뭔 가를 쓰고자 애를 쓰는 동안

글의 주제는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소재도 별거 없다. 그냥 내가 보고, 듣고, 말하고, 읽는

모든 것에 다 들어있다.

 

난 그저 쓰겠다라는 생각만 꾸준히 머릿속에 담고 있으면 된다.

대신에 순간적으로 스쳐 가는 아이디어는 늘 메모를 해 두어야 한다.

단 한 단어나 한 줄의 문장으로 시작해서 한 편의 글이 되는 경험을 자주 한다.

 

글에도 리듬이 있다. 글이 술술 잘 써질 때가 있다.

계속 소재가 생기고 쓰는 게 무지 즐겁다.

반대로 글이 잘 안 써지고 쓸거리도 생각나지 않을 땐

충전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열심히 책을 읽어야 한다.

 

씨앗을 뿌려야 열매를 거둔다. 입력이 있어야 출력이 된다.

글이 안 써질 땐 읽고 생각하는 숙려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렇듯 맘 편하게 글을 쓰다 보면 글쓰기가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

시간만 주어진다면 종일이라도 쓸 수 있다.

글쓰기에 대한 부담과 지나친 욕심만 버린다면

글쓰기는 취미가 되고 게임이 되고 생활이 될 수 있다.

 

꾸준히 쓸 수 있는 자신만의 루틴이 몸에 밴다면

틈만 나면 또닥또닥 자판을 두들길 수 있는 습관만 들인다면

한 줄의 문장이 쌓여 단락이 되고

단락이 모여 페이지가 되고 책 한 권이 되는 건 시간문제다.

 

한 줄의 글로 눈과 마음이 즐겁고 삶이 풍요로워진다.

이보다 더 경제적인 취미가 어디 있겠는가?

필요한 건 손가락과 자판 그리고 유튜브 시청을 줄이는 것이다.

 

늘 자신을 되돌아보고 주위를 둘러보며

사소한 일상부터 글로벌 통신까지 관심의 끈을 놓지 않고

뭐든지 한 번 생각 해보는 버릇이 몸에 밴다면

글 쓸 자세가 되어 있는 것이다.

 

말은 한 번 나가면 끝이다. 즉각적이고 유동적이고 무질서하다.

그러나 글은 반듯하고 질서정연하며 영구적이다.

생각을 정리하고 글로 표현하는 방식을 좋아하게 된다면

말로 떠들고 싶은 욕구가 줄어든다.

 

하나의 글이 모니터에서 반짝반짝 빛나고 있을 때마다

눈으로 느끼는 이 포만감은 분명 긍정적인 중독 증상이다.

 

그래서 쓴다.

쓰니 좋다.

좋으니 다시 쓴다.

 

이렇게 오늘도 한 편의 글을 써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