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리서치 기업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 의하면

2018년을 기준으로 인류가 지금까지 생산해 낸

모든 데이터의 총 합이 33제타바이트(Zettabyte)를 넘겼으며,

2025년까지 175제타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컴퓨터 데이터 기준으로 1 ZB = 1021bytes 이니

= 1,000,000,000,000,000,000,000 bytes .

이렇게 말하면 잘 감이 오진 않는다.

 

케비넷  2,000개가 들어찬 4층 짜리 데이터 센터 한 동이 1EB라면

이런 데이터 센터가 1,000개 정도 모여야  270인 제타바이트가 된다.

면적으로는 뉴욕 맨해튼의 20% 나 된다고 한다.

 

사실 이렇게 표현해도 잘 모르겠다.

그냥 어마어마하게 많다고 보고 넘어가자.

이렇듯 많은 인류의 지식이 정보의 홍수를 이루며

네트워크 안에서 우리의 클릭만을 기다리고 있는 인터넷 시대다.

 

과거엔 주로 문자로 기록된 인쇄물에 거의 모든 정보가 들어 있었다.

그러하기에 정보를 얻기 위해선 십진분류법에 의한

기록물 보관 장소를 찾아가야 했다. 주로 도서관이나 서점이다.

 

다행히 거기까지 잘 찾아갔다 해도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 일은

이제 시작이다. 수많은 기록물을 일일이 뒤적거려야 한다.

효과적인 검색 방법보다는 끈기와 지구력이 관건이다.

 

그런데 이젠 지식의 유무가 중요한 게 아니라

넘쳐 나는 정보의 바다에서 원하는 지식을 찾을 수 있느냐 없느냐가

더 중요한 능력이 되었다.

 

이처럼 모든 지식과 정보가 이미 온라인에 존재하고

필요할 때 간단히 검색해서 사용하다 보니

온라인 공간을 마치 내 머릿속의 기억공간으로 착각하기 쉽다.

한 마디로 내 머릿속에 모든 지식을 보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그렇다면 인간의 뇌의 저장 능력은 어느 정도일까?

미 노스웨스턴대 폴 레버 교수는 뇌의 데이터 용량은

페타바이트에 달할 것이라고 말한다.

1페타바이트는 MP3 음악을 2,000년 동안 계속 재생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공간이다.

5분에 1곡을 듣는다고 하면

1시간 12 ×24시간×365×2,000=210,240,000 곡이다.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하려는 뇌의 가소성을 제외한

단순 계산이니 이것도 그냥 엄청난 양이라고 만 생각하자.

 

그런데 과연 우리 뇌는 저장 공간을 얼마나 채우고 있을까?

삶에 필요한 다양한 생활 기억을 제외한 추상적 지식의 양은 얼마나 될까?

우리 뇌의 기억 능력이나 보관 공간이 정보화에 발맞추어 늘어났을까?

수십 만 년 전 원시인의 뇌보다 현대인의 뇌가 더 진화했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진화의 발걸음은 그렇게 빠른 것이 아니니.

아마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시냅스 연결이 더 강화되고 복잡해졌을 뿐이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건 우리 뇌는 여전히 어떤 정보를 내 머릿속에

입력해야 그걸 분석하고 결과를 내놓는다는 것이다.

인터넷에 제 아무리 많은 정보가 있다 하더라도 내 머릿속에 없다면

무용지물이란 뜻이다.

 

내가 검색하기 전인 인터넷의 수억테라바이트의 지식과 정보보다

내가 검색해서 알고 있는 한 줄의 정보가 실제로 의미 있는 것이니

정보화시대와 동떨어져 우리는 여전히 과거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착각에 빠지지 말자.

내가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검색하든 과거와 똑같이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정보를 얻든 일단 읽고 저장해야 한다.

 

제 아무리 정보 시대라도 우리는 공부를 해야만 하는 것이다.

수많은 지식과 정보 속에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고

내게 맞는 것과 아닌 것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오히려 더 필요한 시대인 것이다.

 

단순한 정보를 내게 필요한 삶의 지혜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건 정보화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수동으로 해야 하는 과정이다.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무한정 저장할 수 있지만

우리의 뇌는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선택적 지식을 효율적으로 저장하여

잘 사용해야 한다.

 

하드디스크는 무한정 늘어날 수 있지만

그걸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아직도 선택이다.

그러니 과학기술이 발전하면 마치 내가 그런 것인 양 착각하지 말고

과거와 마찬가지로 땀 흘리며 공부하자.

 

그렇지 않으면 묘목을 곳간에 산더미처럼 쟁여놓고

뿌듯해하는 어리석은 부자와 다를 바 없다.

묘목을 심지 않는다면 어찌 열매가 열리겠는가?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인 것은

첨단 과학 시대에도 여전히 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