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란 무엇인가 - 예일대 최고의 명강의 10주년 기념판 삶을 위한 인문학 시리즈 1
셸리 케이건 지음, 박세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과 죽음은 철학의 시작과 끝이자 가장 거대하고 깊은 담론이다.

우리가 논의하고 고민하는 모든 것은 결국

어떻게 살 것인가?’ 잘 죽는 법으로 퉁 칠 수 있다.

하지만 이 둘은 사실 똑같은 말이다.

잘 사는 사람이 잘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는 대다수의 철학자들은 잘 사는 법을 이야기했다.

잘 살다 보면 자연스럽게 죽음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죽음이 두려운 이유는 제대로 된 삶을 살지 못했기 때문이며

후회 없는 삶을 산 자는 결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올바르고 확신에 찬 인생을 산 자가 어찌 죽음이 두렵겠는가?

 

그렇지만 딱히 내세울 것 없는 삶을 살고 있는 우리들에겐

쉽지 않은 일이다. 죽음의 공포를 상쇄할 만큼 보람 찬 인생을

산다는 게 어디 말처럼 쉬운 일인가

 

그래서 종교가 필요해졌다. 평범한 사람이 죽음의 공포를

이겨낼 방법은 절대자를 의지하는 수 밖에 없다.

이성적으로 죽음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성찰하는 삶을 살면 되고

그러한 노력이 어렵다면 하나님의 천국이나 부처님의 극락을 찾으면 된다.

 

난 종교의 힘을 빌리고 싶지 않기에 힘들지만 전자를 선택했다.

난 아내의 장례식에 춤을 췄다는 장자와 같은 현자가 아니기에

죽을 때까지 불안과 공포를 안고 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쉬운 길을 놔두고 굳이 어려운 길을 가고자 하는 건

죽음을 생각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많은 철학적 성찰이 있고

그러한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작은 깨달음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굳이 어려운 책을 보지 않더라도 철학자가 되고 싶다면

늘 죽음을 생각하고 가까이하면 된다.

삶보다 죽음이 우리에게 더 많은 것을 줄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