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왜 반듯한 사람에게 더 도덕을 요구하는 걸까?

우리는 평소 모범적인 인생을 살았던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면 더 실망한다.

 

반대로 과거에 행실이 불량했던 전적이 있는 사람에겐

오히려 그러려니 하고 관대하게 넘어간다.

 

사실 도덕적인 사람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억울할 일이다.

똑같은 잘못인데 질책을 더 받는다.

과거에 착하게 살았으면 전적을 따져

오히려 경감시켜줘야 합리적인데 현실은 정반대다.

 

착한 놈은 계속 더 착하게 살아야 하고

나쁜 놈은 계속 나쁘게 살아도 된다는 건

착하게 산 사람의 입장에서는 너무 불공평한 일이다.

 

만약 방송인 유재석이 사소한 잘못이라도 한다면

그는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

 

그가 그동안 쌓아왔던 수많은 선행과 모범은

그 상황에서 오히려 독배가 될 것이다.

애초에 나빴던 사람보다 괘씸죄가 더해질 것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모범적으로 산 것이

그냥 평범하게 산 것보다 오히려 더 손해를 보게 되는 이상한 일이 된다.

 

이렇듯 우리는 도덕 기준의 잣대를 불공평하게 적용한다.

왜 사람들은 도덕적인 사람에게 그렇게 엄격한 것인가?

 

우리에게 선험적으로 도덕적인 것에 대한

기대와 동경이 내재되어 있는 것인가?

 

현실에서 실천하고자 하지만 못하였기에

나와 달리 도덕적인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을

 

나의 또 다른 모범적인 자아로서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목표로서 투사하고 있는 게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