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어찌나 빠른지, 벌써 11월 중반이다.
한 해를 마감하는 달은 12월이지만, 마음은 11월부터 분주하다.
둘째의 고등학교 학부모독서회 유일한 행사였던 '선암사 답사'도 잘 마쳤으니,
공식적인 일정은 12월 정기모임만 남은 셈이다.
올해는 어떤 책들을 읽고 이야기를 나눴는지, 모임 때마다 노트에 간단히 적었음에도 기억나지 않는다.
특히 메모를 하지 않으면 기억나는 게 거의 없고, 어떤 일을 처리할때도 동시상영이 안된다.
최근에 이런 일이 빈번해져서 자연스레 나이를 실감하게 된다.
선암사와 순천만 답사를 다녀와서 몸살 난 회원도 있는데,
아직은 쌩쌩하니까 신체나이는 인생나이보다 더 젊다고 위로를 삼는다.
학부모독서회는 토론주제를 놓고 찬반 양론을 팽팽히 주장하기 보다는,
개인적인 소감을 나누는 부담없는 모임으로 '책 한 권 읽자'를 실천하는 독서모임이다.
12월 토론도서는
정치에 무관심했거나 '그런다고 뭐가 바뀌겠어'라고 생각한 아줌마들도
'나는 꼼수다' 대열에 합류하고자 김어준의 <닥치고 정치>을 선택했다.
세상을 바꾸는 일에 '아줌마의 힘'을 무시하거나 우습게 보면 안된다는 걸 알 사람은 안다.^^
<닥치고 정치>를 읽은 후, '나꼼수 후일담'이나 관련도서를 보면 더 좋겠고...
나는 김어준씨보다, 알라디너였던 '시비돌이' 지승호씨가 인터뷰한 책이라서 더 반갑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339/9/cover150/8962170434_3.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80/53/cover150/899394946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71/67/cover150/899612124x_1.jpg)
11월 토론도서는
![](http://image.aladin.co.kr/product/411/18/cover150/8936433709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58/14/cover150/m772435689_1.jpg)
불행하고도 부끄럽게 우리지역구의 '인화학교'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회원들도 관심이 많다.
2009년 책이 나왔을 때보다 영화가 상영되고 전국을 들끓게 했으니, 역시 영화가 한 수 위다.
부끄럽고 불편한 진실,
우리들의 자화상을 마주할 용기가 필요한 독서...
2009년 희망의 도가니 '홀더 후원의 밤' 페이퍼와
http://blog.aladin.co.kr/714960143/3073153
'인화학교' 관련 페이퍼를 보시면 참고가 될 듯...
http://blog.aladin.co.kr/714960143/3058399
10월 토론도서는
![](http://image.aladin.co.kr/product/1147/72/cover150/8936472062_1.jpg)
선암사 답사를 앞두고, 미리 공부하는 독서였다.
유홍준 선생님이 남도에 사는 사람들을 부러워하는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음식 맛이 좋은 것이고,
둘째는 이웃과 친구간의 끈끈한 인간관계이고
셋째는 주위에 아름다운 절집이 무진장 많다는 것이다.
화엄사, 천은사, 연곡사, 태안사. 실상사, 백양사, 운주사, 불회사, 쌍봉사, 보림사, 대흥사, 도갑사, 무위사, 송광사 선암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6권, 176쪽)
줄줄이 거론했는데, 남도에 둥지를 틀고 20여년을 넘게 산 내가 가본 곳은 화엄사, 태안사, 백양사, 운주사, 불회사, 보림사, 대흥사, 선암사 여덟 곳 뿐이지만, 다행히 이번 주말에 송광사에도 가 볼 예정이다.
9월에는 가을맞이로 '나의 애송시'를 소개하는 시간이었다.
독자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 윤동주, 정호승, 김용택, 안도현... 시인이 줄줄이 불려졌고, 좋아하는 시를 감정을 살려 읊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266/58/cover150/8932022003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94/cover150/893642173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08/60/cover150/896090101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59/75/cover150/897063607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04/49/cover150/893642322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1/60/cover150/8936422391_2.jpg)
우리세대는 이해인 수녀의 글 세례를 받았대도 과언이 아닐만큼, 누구 책장에나 이해인님의 시집이 한두 권은 꼭 꽂혀 있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20/43/cover150/8946418036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11/6/cover150/8970637079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13/40/cover150/896090068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4/66/cover150/8946413565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93/38/cover150/8970635904_1.jpg)
내가 좋아하는 이정록 시인의 충청도 사투리로 쓰인 시도 소개했고, 감성코드가 맞는 박성우 시인도 불리워졌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63/6/cover150/8932016763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66/62/cover150/893642313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7/63/cover150/8936422197_1.jpg)
거부할 수 없는
곽재구 시인의 <사평역에서>도...
![](http://image.aladin.co.kr/product/6/99/cover150/8936420402_1.jpg)
8월은 여름방학이라 쉬었고....
7월 토론도서는
작가 스스로 '심장을 들었다 놨다 하는 작품을 썼다'고 말한 <7년의 밤>이었다.
도저히 손에서 놓을 수 없어 날을 꼴딱 새웠다는 회원이 있는 반면,
너무나 어두운 이야기라 읽다가 그만두었다는 회원도 있었다.
회원들 대부분 만족스러워했고, 영화화되면 정말 좋겠다는 이야기도 나눴다.
특히 엄마들이라 최현수와 오영제를 보며, 성장기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오싹하게 깨달았다는...
남편에게도 추천했더니, 9시 뉴스 끝나면 잠자던 사람인데~ 이틀을 잠도 안 자고 읽었다.
아직 안 읽었다면 꼭 읽어보라 권하고 싶은 책이다.
6월 토론도서는
![](http://image.aladin.co.kr/product/813/94/cover150/8993824460_2.jpg)
세속적인 욕심을 버리고 자발적 가난을 선택한 지리산 사람들의 삶에 질투를 느끼면서도
이혼한 아내가 아이들을 맡고, 다른 형제들이 부모를 봉양하며 그들의 몫을 대신하니까
그들이 그렇게 살 수 있는 거라고, 성토하는 분위기도 형성됐다.
우리도 부모형제나 자식을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면, 그렇게 살고 싶다고...
솔직한 부러움을 털어놓기도 했다.
첫 토론인 5월은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이 선정됐다.
편지형식에 그들의 관계를 파악하기까지는 읽기가 만만치 않아, 첫번째 토론도서로 선정하기엔 무리가 있었지만~ 정말 훌륭한 책이라고 강력 추천하는 회원의 주장을 꺾을 수가 없었다.
토론 후 '한 줄 평'으로 마무리 했는데...
추천한 그녀를 원망으로 시작해 감동으로 끝냈다.
용기 있는 줄리엣에게 박수를!
건지섬에 꼭 가보고 싶다.
진정한 독서클럽이다.
도시, 그 남자 멋져부러!
엘리자베스에게 존경을!!
휴머니즘을 꽃피운 건지섬의 북클럽.... 등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왔다.
좋은 책을 읽게 해줘서 고맙다는 회원도 있었지만,
책읽기가 부담스러워 아예 모임에 나오지 않은 회원도 있었다.
2011학년도는 3월 첫모임을 갖지 못해서, 4월에 모여 독서회 임원을 선출하고 운영방안을 논의했다.
5월부터 12월까지 독서토론 정기모임을 가졌지만, 새해 1월과 2월은 겨울방학이라 모임이 흐지부지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