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재 나무 답사기 / 박상진 / 왕의서재
여러 소나무 종류 중에 백송은 이름 그대로 껍질이 하얗다. 흥미롭게도 어릴 때는 청년의 상징인 푸른색이었다가 나이를 먹어 갈수록 사람의 머리카락이 세듯이 점점 더 하얘진다. 유난히 흰색을 좋아하고 신성시하는 우리 민족은 절개를 상징하는 소나무 종류인 백송을 귀하게 여겼다. 더욱이 우리 땅에는 자라지도 않고 문화의 중심지라고 생각한 중국 북경지방에 자라는 나무이다 보니 더더욱 관심을 끌 수밖에 없었다. 현재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백송은 대부분 조선왕조 때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 온 사람들이 가져와서 심은 것이다.
조선 순조 9년(1809) 늦가을. 24살 청년 김정희는 아버지 김노경이 동짓달에 인사차 파견하는 동지부사로 북경에 가는 행차에 합류한다. 조선왕조 때 외교사절의 자제들은 견문을 넓힌다는 명목으로 이렇게 아버지를 수행할 수 있었다. 북경에 머물면서 그는 쉽게 볼 수 있는 휜 얼룩부늬 껍질을 가진 특별한 소나무, 백송에 많은 관심을 가졌을 것이다. 사실 그는 어린 시절 백송을 가까이서 어루만지며 자랐다.
추사의 증조할아버지 김한신은 영조의 둘째사위가 되면서 지금의 동의동 정부종합청사 뒤편에 있던 '월성위궁'이란 대저택을 하사받는다. 이곳은 원래 영조가 임금이 되기 전에 살던 곳으로 정원 한 구석에는 숙종 때 심어진 백송 한 그루가 자라고 있었다. 이 나무는 천연기념물 제4호 동의동 백송으로, 1990년 7월 돌풍에 맥없이 넘어져 버릴 때까지 살아 있었다. 죽고 난 다음 나무를 잘라 나이테를 조사해 본 결과 1690넌쯤에 심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추사의 어린 시절인 18세기 말쯤에는 백송은 100살 가까운 한창 나이로 싱싱하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낼 때다. 그는 월성위궁에 있는 동안 열 살 전후에 할아버지와 양아버지의 죽음을 맞아 졸지에 대종가의 종손이 된다. 어린 나이에 받은 엄청난 충격을 추사는 백송을 어루만지면서 달랬을 것이다. 이렇게 백송과 깊은 인연을 맺은 추사가 이국땅 북경에서 다시 백송과 만났을 때는 남다른 예술가적 감상으로 어린시절과 고향생각을 일깨웠을 듯하다.
추사는 북경에서의 두 달 남짓한 생활을 접고 1810년 2월 초 귀국길에 오른다. 그곳에서 수집한 수많은 서화와 함께 그가 빠뜨릴 수 없는 것 중 하나는 백송을 가져오는 일이었을 터다. 나무 하나를 통째 가져오고 싶었겠지만 옮겨심기가 안되는 나무에, 한 달 넘게 걸리는 귀국길이다 보니, 나무가 살아남을 수 없었을 것이다. 솔방울 몇 개를 골라 귀국 짐짝 속에 넣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지 않을까. 추사는 3월 중순 어는 날, 예산의 본가에 도착하자마자 영의정을 지낸 고조할아버지 김흥경의 묘소를 참배하고, 가져온 백송을 여기에 심는다.
백송은 땅속에서도 까다롭다. 금세 싹을 틔우지 않고 한 해 쉬면서 땅기운이 어떤지 알아본다. 다음해인 1811년, 조선 땅의 속사정을 파악한 '추사의 수입백송'은 바로 땅을 비집고 올라온다. 그러나 묘소 주변이 황토로 된 메마은 땅이라 살아남아 크게 자란 것은 채 몇 그루 되지 않았다. 그나마 세월이 지나면서 묘소 앞 오른쪽으로 약간 비켜선 자리에, 달랑 한 그루만이 살아남아 천연기념물이 됐다.
추사 백송의 나이는 200년이며, 키 14.5미터, 가슴높이 둘레 2.8미터, 가지 펼침 동서 13.7미터, 남북 17.3미터로 키만 크고 비쩍 말랐다. 모양새는 손이 귀한 추사 집안이 번성해 삼정승이 나오기를 기원하는 듯, 1980년대까지도 밑둥치부터 셋으로 갈려져 있었으나 그 뒤 나머지 줄기 둘은 죽어버리고 지금은 외줄기가 되어 있다. 아쉬움이라면 죽은 줄기를 잘라낸 부분에다 백송 색깔을 흉내낸답시고, 흰 횟반을 뒤집어씌워 놓아 본래 나무가 가진 단아한 품위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320~323쪽)
지난 주말 예산에 다녀왔다.
초등 동창이 얼굴이나 보자고 초대했는데, 그냥 친구들 얼굴 보고 밥만 먹으러 가는 건 내 스타일이 아니다.
그래서 작년에 위 책을 읽고 별렀던 추사 고택과 백송을 보고 수덕사에도 다녀왔다. 여기는 추사 백송 사진만 올린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고조할아버지 김흥경 공의 묘소 앞에 직접 심은 백송(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용궁리 백송)
추사고택과 수덕사 사진은 따로 올릴게요 ~ 이성자 교수 강연회 시간돼서 나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