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 사람들이 음식을 정말 많이 남겨요. 설거지도 설거진데 버리는 게 일이에요. 버려지는 음식을 계속 보는 게 이렇게 마음을 힘들게 할 줄은 몰랐어요. 뭐랄까. 너무 쉬워요. 버리고 버려지는 게요.
12/95

애호박전은 언젠가 예능 프로에서 본 것을 따라 해봤어요. 다른 과정은 다 똑같은데 납작납작 썬 애호박 속을 동그랗게 파내고 그 안에 명란젓을 넣어 부치는 거예요. 엄마가 보내준 김치도 썰고 한 팩에 2만 원 가까이 하는 금실 딸기도 씻어두었죠. 잊을까 봐 마트에서 사 온 떡도 꺼냈어요. 언니도 딸기를 좋아했죠. 비싸서 혼자 있을 땐 안 사 먹고 나한테 놀러 올 때나 산다고 했었잖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주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에도 숨이 막히는 하루였다.
(파주) 야당동을 모르는 사람들의 험한 말들. 요즘 애들 페메, 디엠, 텔레그램 익숙한 걸 모르는 사람들—이들이야 말로 진정한 틀딱인지 모르겠다. 무엇보다 피해자에게 잘못을 찾는 사람들.
그런가하면 (https://youtu.be/L5DDcF2OIIY?si=zMKRFPJ88Sggo-wV)
초등학교 때부터 아버지에게 피해를 당한 딸이 너무 피해자 같지 않다는 막말. 그러니까 가해자에겐 낮은 형량을 주고 피해자에겐 ‘피해자다움’을 강요하는 폭력적인 사회.

https://youtu.be/BuMgYWhLjW8?si=MAfqoDGAaHszIaja

https://podbbang.page.link/8WXXEw6Fyk8UJZF77

그래서 김진주씨의 용기에 힘을 얻고 응원해주고 싶었던 하루. 읽어야겠다.
작가님 유튜브에서, 가해자에게 죽기 전에 아직 안 죽었으니깐 끝까지 싸우겠다는 말에 울어버렸다. 가해자가 형을 받고서 두고보라고 나가기만 하면 어떻개 하겠다는 말에 대한 처절한 응답이었다. 왜 멀쩡히 잘 살고 있던 사람이 이렇게까지 분투하게 만들었을까. 가해자도 세상도 판사도 원망스럽다.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게. 우리 모두가 진주씨를 보호해야 한다. 다른 게 왜 중요한진 모르겠어도 이건 중요한 문제다.



https://youtu.be/l40fQ9g4eL8?si=AFPlcSKsqQaabb6p

https://youtu.be/FLYl5nkwN8A?si=Dr6Fgap98iMdXcp2

너무 화나게 하는 버러지들이 많다

진주님 유튜브다: 피해자를 구하자
https://youtube.com/@pigu119?si=tvLxb7qmLF7rUTz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바로 성격 급한 사람 ㅋㅋ

성격 급하신 분들은 여기서 바로 차트를 어떻게 보느냐고 묻고 싶을 겁니다. 그러나 지금은 차트 공부하셔도 이해 못 합니다.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는 차트에 대한 상식도 잘못된 편견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제가 저 자리를 알게 되기까지 2년 걸렸습니다. 초보 개미가 이해할 확률은 단언하건대 제로입니다. 지금은 기본적 분석을 설명하는 시간이니, 기업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공부하는 데 에너지를 쏟으세요.

70/2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퇴생 시절, 친하게 지낸 신설동 친구 중 하나가 타로를 잘 알았다. 그 친구를 쫓아 낙성대였나 신림까지 가서 타로 구매할 때 같이 보았다. 실제로 사장님이 타로점을 보시기도 하셨고 샘플 타로를 보여주셔서 타로덱을 만져보고 스프레드 천 위에서 스프레드도 해보고 살 수 있었다. 내 인생은 다른 신설동 친구들에 비하면 맨숭맨숭 안온한 삶이었어서 당시만 해도 나는 운명에 관심이 없었다.

시간이 흐르고 되는 일이 없어서 암담해지니 그제서야 나도 명리 주역/육효 타로를 찾게 됐는데, 타로는 진짜 직접 보고 싶은데 도무지 실물을 보고 살 수가 없었다. 오프라인으로 보고 그 집에 판매용 물품이 없다면 며칠 기다려서라도 받고 그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나는 오라클 하나 말고는 온라인 상 사진만 보고 푹 빠진 타로가 없다. 사람들이 추천하는 타로도 안 끌리고 아름답다는 일러스트 타로들도 어쩐지 무섭다. 유니버설 웨이트냐 스미스웨이트냐 마르세유냐 벨린 계열이냐 레노먼드(르노르망)냐도 선뜻 무엇으로 배워야 잘 맞을지 잘 모르겠고(결국 상징이 쉽다는 르노르망과 유니버설 웨이트로 시작했다. 책에 딸린 부록으로. 근데 현재 유니버설 웨이트 타로와 책이 둘다 없어져 타로 스터디가 불가능한 상황임) 예쁘다 생각한 건 굳이 말하자면 알폰소 무하 풍의 아르누보 덱들인데 그런 걸로 시작해도 되나 싶고. 옛날에는 세콜리 작가의 카드가 이뻐보였는데 요즘은 아니고 고양이 테마들도 마음에 드는 그림체가 없었다. 주역을 좋아하지만 이칭카드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 아무래도 타로보다 8면 주사위 2개와 6면 주사위 하나로 치는 육효점이나 산가지나 척전으로 치는 주역 육효점을 더 정확하다고 느끼기 때문이기도 한 거 같다. 만든 사람이 악마주의라는 토트카드는 어쩐지 간담이 서늘하고.

그런데 한스미디어 인스타그램에서 보자마자 사야겠다 싶었닼ㅋㅋㅋㅋ 스스로에게 미리 주는 생일 선물이라고 치지 뭐.
무엇보다 매력적인 건 판화 작가의 판화 작품이라는 점. 옥션 프리뷰를 다니면서 나는 판화 작품들도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긴 하지만 소장할만하다 싶어지면서 관심이 갔고, 그래서 이 타로 덱이 판화작품이라는데 큰 매력을 느꼈다. 기예르모 델 토로의 작품을 영화를 안 좋아해 별로 본 적은 없지만, 그 주인공을 모티프 삼아 만들면서도 눈이 잘 안 보이는 자문가에게 판화작품을 만지게 하면서 계속 자문을 받았다는 점도 마음에 든다. 나는 내 모세혈관들이 더더욱 망막을 가려 시력이 언젠간 더 나빠질 거라는 걸 알고 있다보니 이런 스토리에 더 마음이 간다. 최근 동생이 김경식이 이동우에게 책 읽어주는 유튜브를 추천해줘서 마음이 따뜻해진 적이 있고 원샷한솔님 스토리 보다가 공감하거나 화나거나 빡치기도 할 때가 있다. 최근엔(벌써 재작년 여름이군) 눈이 안 보여 노란 점자블럭을 따라 걷다가 지나가는 행인들과 상인들에게 욕을 먹고 밀쳐진 적이 있다. 내가 안내견이나 백색 지팡이를 보행 보조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상한 얼뜨기 취급을 받은 거겠지만 타인에 대해 이렇게까지 무섭도록 배려없는 사회가 너무 겁이 났다.
아무튼 그런 스토리들이 다 모두 마음에 들어 펀딩신청을 했다. 기대된다. 얼른 받아보고 싶다.

오프라인에서 직접 보고 살수 있는 타로샵이 있으면 좋겠다. 정작 나는 점을 보러 다니지 않으니 ㅋㅋㅋ 남의 타로카드 볼 기회 자체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흐음, 저들이 곧 내 스웨터를 따라 하겠군. 괜찮다. 그들에게서 돗바늘 마무리라는 아이디어를 얻었으니까. 이건 정보 교환일까, 표절일까. 어쨌든 나는 뜨던 스웨터에 그들의 아이디어를 접목해 심리스 스웨터를 만들었다. 두 개의 뜨개 조직을 솔기 없이 합치는 방법인데, 이음새가 너무 감쪽같아서 거의 속임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 "Seamless Sweaters," Knitting Without Tears, 1995, 65쪽.



 

천하의 짐머만도 심리스 스웨터를 디자인할 때 1부터 10까지 자기 힘으로만 고안한 건 아니었던 모양이다. 사실 짐머만 정도의 명성이라면 이런 에피소드를 굳이 밝히지 않아도 심리스 스웨터가 짐머만 고유의 아이디어인지 아닌지 의심하는 사람은 없었으리라. 그런데도 그는 돗바늘 마무리라는 아이디어를 생면부지의 두 여인에게 얻었다고 부러 밝히고 있다. 짐머만의 닮고 싶은 점이 많지만, 이런 인격적인 면모를 가장 닮고 싶다.
96/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