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삭제 해서 죄송합니다. 
제 북로그는 친구가 0인 상태예요. 
제가 먼저 모두 지웠어요. 
친구 삭제 부탁드립니다. 죄송합니다.



북플에는 왜 차단기능이 없을까-이것은 처음부터 불편했습니다. 
북마크 정도나 즐겨찾기 정도가 딱 좋은데… 
아 인스타그램 같은 건가? 
그런데 X에도 인스타그램에도 같은 무서움이 있곤 했습니다. 
‘팔로우’도 아니고 ‘친구추가’로 시작하는데에 대한 부담감은 있는데, 막상 추가한 이후의 부담감도 저는 이 플랫폼에 상당해요. 
어떤 글을 보고 좋으면 자주 보고 싶어 먼저 ‘즐겨찾기’부터 하고 싶은데 친구 추가 기능 뿐이고. 친구 추가 해놓고 보면 그 사람 글이 다 좋은 건 아니다, 라는 걸 문득 깨닫고, 뿐인가요? 나랑 완전히 생각이 다른 사람이었구나 싶기도 하고요. 어느 순간 보면 불편해지곤 합니다. 상처도 받습니다. 
그걸 저에게서 느끼시는 분들도 있을 거고요. 저야말로 2년전부터 관심사와 어쩌면 성향이 바뀌었으니…. 

’친구‘들의 글이 이따금 저에겐 다정하지 않았습니다. 저도 다른 누군가에게 역시나 배려없는 글을 남기곤 했을 것이고요. 더이상 그런 글을 읽을 자신이 없습니다. 싫어하는 작가에 대한 글도 더이상 보고 싶지 않았어요. 그래서 작년부터 ’친구‘들의 글을 안 읽기 시작했고요. 그러다 보니 팔로우/팔로잉/친구들 항목이 정말 무거웠어요. 좋아요를 누르지 않는다면 제가 의미있는 ’친구‘로서의 책임 같은 걸 안 하고 있는 거 같기도 하고. ’좋아요‘가 때론 굉장히 폭력적인 도구라고 느껴지기도 하면 제가 이상한 거 맞나요? 

선택권도 없다고 느꼈어요. 저는 걷고 읽고 기록하는 것은 좋아하지만 생각을 나누는 게 대체로 힘이 듭니다. 비공개로만 쓸까 싶지만 북리뷰의 특성상 비공개로만 기록하는 것은 작가나 편집자나 역자에 대한 도리는 아닌 거 같았어요. 대체 북플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 걸지 아직도 잘 모르겠네요. 

제 행동이 도라이같고 관종같고 못된 행동인 거 알아요. 탈퇴하기엔 글을 너무 싸질러놔서 비공개로 돌릴지언정 선뜻 못하겠더라고요. 
그래서 죄송합니다. 

북플 뿐만이 아니라 SNS와 연락처도 다 차차 정리하려고요. 모든 게 다 버거워서요. 덜 바빠지면. 무엇보다 사람을 정리하고 싶어요. 제 삶도 바싹 자르고 제 주변도 바싹 잘라버리고 싶어서 못견디겠어요. 


그러고 보니 좋아요 댓글 막는 기능도 없네. 



아무튼 죄송합니다. 
글 보셨으면 친구 삭제 해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요. 행복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출도 없이 찾아온 새벽은 그들을 둘러싼 나무들이 뿜어내는 회백색 은광을 비추며 은은하고 부연 빛으로 숲을 채웠다

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은 타로가 이집트의 가르침과 신비한 의미를 담은 스물두 개의 히브리문자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고 사상과 상징의 대략적인 체계를 잡았다.

럭키 타로북 | 레이철 폴락, 구민희 저

9/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역본인데 문장이 유려하다는 느낌. 이상하다. 신기하다가 맞는 말일까. 창래리나 노라 옥자 켈러라든가 이민진의 원서나 번역본 읽을 때랑 아주 다른 느낌이다.


하지만 아버지, 아버지는 오늘 호랑이를 잡아 오셨잖아요. 소년이 말했다.

내가 말했지, 호랑이를 죽이는 건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만이라고. 그리고 그건 호랑이 쪽에서 먼저 너를 죽이려고 할 때뿐이다. 그럴 때가 아니면 절대로 호랑이를 잡으려 들지 말아라. 알겠느냐?

작은 땅의 야수들(리커버 특별판) 중에서
4%

야마다 대위는 남자의 머리를 다시 눈 위에 내려놓았다. 죽음을 목전에 둔, 해로운 벌레만도 못한 이 조센징****을 굳이 도와줄 이유는 없었다. 그는 야영지를 향해 걷기 시작했지만, 몇 발짝 떼고서는 다시 몸을 돌렸다. 자신이 왜 이러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인간의 마음이란 어두운 숲과도 같아서, 야마다처럼 이성적인 남자도 내면에 그 자신조차 알 수 없는 수수께끼를 담아두곤 한다. 야마다는 그 조센징을 두 팔로 들어 올렸다. 어린아이를 안아 들 때처럼 가볍고 가뿐했다.



****  ‘조선인’을 일본어로 발음한 단어. 한국인에 대한 혐오의 맥락에서 사용된 경우, 원문 그대로 ‘조센징’으로 번역했다.

작은 땅의 야수들(리커버 특별판) 중에서
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해 내려오는 수천 가지 설화, 옛날이야기, 민화 등 예술 작품에서 우리 민족이 호랑이를 얼마나 사랑하고 아꼈는지 알 수 있다. 전통예술 속의 호랑이는 익살스럽고, 사납고, 똑똑하고, 용맹하고, 게으르고, 착하고, 멍청하고, 복수를 하며, 은혜를 갚는다. 호랑이는 그저 사람을 해치는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사촌이었다. 너무나도 작은 땅덩이에서5천 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이런 어마어마한 맹수들이 인간과 공존하며 살 수 있었던 것은 한민족의 자연에 대한 경의와 애정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작은 땅의 야수들(리커버 특별판) 중에서
2%

빈민층과 하인, 특히 여자아이들은 ‘간난이’, ‘큰애’, ‘작은애’ 등 흔하고, 어렵지 않은 명칭으로 불렸다. 주변에 흔히 보이는 사물이나 태어난 달 등에서 따온 순우리말 이름은 한자를 모르는 사람도 대번에 알 수 있을 정도로 뜻이 단순했다. 이를 영어판 원서에서는 ‘돌쇠’는 ‘Stoney’, ‘옥이’는 ‘Jade’로 표현했다. ‘Dolsueh’, ‘Ok-ee’라고 표기하면 영미권 독자는 그 뜻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설정이 한자로 지은 ‘정호’의 고급 이름을 ‘JungHo’로 표현했을 때 바로 눈에 띄게 하고, 그 특별함에 대한 정호의 엄청난 자부심을 설명한다.

작은 땅의 야수들(리커버 특별판)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