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삭제 해서 죄송합니다. 
제 북로그는 친구가 0인 상태예요. 
제가 먼저 모두 지웠어요. 
친구 삭제 부탁드립니다. 죄송합니다.



북플에는 왜 차단기능이 없을까-이것은 처음부터 불편했습니다. 
북마크 정도나 즐겨찾기 정도가 딱 좋은데… 
아 인스타그램 같은 건가? 
그런데 X에도 인스타그램에도 같은 무서움이 있곤 했습니다. 
‘팔로우’도 아니고 ‘친구추가’로 시작하는데에 대한 부담감은 있는데, 막상 추가한 이후의 부담감도 저는 이 플랫폼에 상당해요. 
어떤 글을 보고 좋으면 자주 보고 싶어 먼저 ‘즐겨찾기’부터 하고 싶은데 친구 추가 기능 뿐이고. 친구 추가 해놓고 보면 그 사람 글이 다 좋은 건 아니다, 라는 걸 문득 깨닫고, 뿐인가요? 나랑 완전히 생각이 다른 사람이었구나 싶기도 하고요. 어느 순간 보면 불편해지곤 합니다. 상처도 받습니다. 
그걸 저에게서 느끼시는 분들도 있을 거고요. 저야말로 2년전부터 관심사와 어쩌면 성향이 바뀌었으니…. 

’친구‘들의 글이 이따금 저에겐 다정하지 않았습니다. 저도 다른 누군가에게 역시나 배려없는 글을 남기곤 했을 것이고요. 더이상 그런 글을 읽을 자신이 없습니다. 싫어하는 작가에 대한 글도 더이상 보고 싶지 않았어요. 그래서 작년부터 ’친구‘들의 글을 안 읽기 시작했고요. 그러다 보니 팔로우/팔로잉/친구들 항목이 정말 무거웠어요. 좋아요를 누르지 않는다면 제가 의미있는 ’친구‘로서의 책임 같은 걸 안 하고 있는 거 같기도 하고. ’좋아요‘가 때론 굉장히 폭력적인 도구라고 느껴지기도 하면 제가 이상한 거 맞나요? 

선택권도 없다고 느꼈어요. 저는 걷고 읽고 기록하는 것은 좋아하지만 생각을 나누는 게 대체로 힘이 듭니다. 비공개로만 쓸까 싶지만 북리뷰의 특성상 비공개로만 기록하는 것은 작가나 편집자나 역자에 대한 도리는 아닌 거 같았어요. 대체 북플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 걸지 아직도 잘 모르겠네요. 

제 행동이 도라이같고 관종같고 못된 행동인 거 알아요. 탈퇴하기엔 글을 너무 싸질러놔서 비공개로 돌릴지언정 선뜻 못하겠더라고요. 
그래서 죄송합니다. 

북플 뿐만이 아니라 SNS와 연락처도 다 차차 정리하려고요. 모든 게 다 버거워서요. 덜 바빠지면. 무엇보다 사람을 정리하고 싶어요. 제 삶도 바싹 자르고 제 주변도 바싹 잘라버리고 싶어서 못견디겠어요. 


그러고 보니 좋아요 댓글 막는 기능도 없네. 



아무튼 죄송합니다. 
글 보셨으면 친구 삭제 해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요. 행복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내린 결론과 정확히 반대되는 이야기를 할 거 같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확실히 심미안은 없는 거 같다. 고스트라이터는 원작 소설이 훨씬 좋았다. 대체 뭘 했다는 건가 싶었는데. 그때 이미 아동 성범죄자였구나.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발표된 소위 그의 명작들을 지나 이제 좀 더 최신작으로 들어갔다. <유령 작가The Ghost Writer>는 그의 광팬이나 일부 영화광을 제외하고는 보지 않았을 법한 영화였다. 영화 속 유령 작가인 이완 맥그리거는 전 영국 수상 피어스 브로스넌의 자서전 작업을 의뢰받는다. 하지만 이 영화는 이 단순한 줄거리로 예상할 수 있는 영화가 아니다. 전형적인 심리 스릴러였어야 할 영화는 폴란스키의 손안에서 더 기이해지고 더 훌륭해진다.

20/295

20세기를 대표하는 두 비극이 그에게, 한 개인에게 일어났다. 그래도 이런 맥락을 모두 파악하고 있다고 해서 용서 쪽으로 마음이 기울지는 않았다. 이 문제를 앞뒤로 꼼꼼히 따져 보니 참작이 되어 그의 범죄가 그렇게까지 최악은 아니었다고 결정 내린 것도 아니었다. 사실 나는 그의 영화가 그저 훌륭했기 때문에 더 보고 싶었다.
나는 스스로에게 폴란스키는 천재이고 그것이 문제 해결의 전부라고 말했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 볼수록 찌릿한 통증에 가까운 불쾌한 느낌을 무시하고 넘어갈 수 없었다. 아니 진실을 말하자면 찌릿한 통증 이상이었다. 내 양심이 나를 방해하고 있었다. 폴란스키의 죄라는 망령이 이 방을 떠나지 않았다.
그제야 나는 생각만으로 로만 폴란스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알았다. 시인 윌리엄 엠프슨은 인생이란 결국 분석으로 풀 수 없는 모순 사이에서2 자신을 지키는 일의 연속이라고 했다. 나도 그 모순 한가운데에 있었다.
폴란스키의 영화가 형편없었다면 그는 관객에게 아무 고민거리도 아니었을 것이다.

21/295

이제 와 돌아보니 나는 문제가 생기면 본능적으로 거의 항상 백인 남성 전문가를 찾는 나에게 스스로 매료되어 있었던 것 같다. 이 문제를 외주 주고 싶다는, 권위자를 찾고 싶다는 충동이 가장 앞섰다. 이 방면의 권위자 같은 건 없다는 생각은 머리를 스치지도 않았다.

22/2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