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오랑시에 죽은 쥐가 발견되기 시작하고 그 후 사람들에게 이상한 징후가 생기며 죽어간다. 전문가들이 페스트라고 짐작하고, 나중엔 확신하지만 그것을 공표하기는 쉽지 않다. 거기에 따른 모든 것을 책임져야만 하고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복잡한 것이다. 결국 사람들이 더 많이 죽어나가고서야 페스트라고 인정하고, 그때부터 오랑시는 폐쇄된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연락조차 힘든 상황이 되고 죽음에 대한 애도조차 하지 못하며  단지 살아있는 사람들만을 위한 행정이 이루어진다.

 

재앙이란 인간의 척도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재앙이 비현실적인 것이고 지나가는 악몽에 불과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재앙이 항상 지나가 버리는 것은 아니다. 악몽에서 악몽을 거듭하는 가운데 지나가 버리는 쪽은 사람들, 그것도 첫째로 휴머니스트들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대비책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자유롭다고 믿고 있었지만 재앙이 존재하는 한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는 없는 것이다.-p55

 

작년 겨울 중국 우한에서 들려오기 시작한 감염과 죽음의 소식이 순식간에 전세계적인 불행으로 연결되고 있다. 불안과 공포와 함께 일상이 파괴되고 경제적으로 힘들며 미국의 로버트 라이시교수의 '코로나 시대의 4 계급' 이라는 말도 나온다. 매일 확진자와 사망자의 숫자를 언론으로 접하지만 나뿐만이 아니라 나의 주변 사람들이 감염되지 않았기에 사실 나는 '추상의 상태'에 더 많이 머무르고 있다. 단절되고 막혀진 상태에서 숫자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이 사태의 무거움과 벗어남을 알 수 있기에 오히려 추상적이다.

 

잠시 후, 의사는 고개를 흔들었다. 그 신문기자의 행복에 대한 조바심에도 일리가 있었다. 그러나 리유에 대한 그의 비난은 정당했던가? '선생님은 추상적입니다.' 페스트가 더욱 성해져서 일주일에 사망 환자 수가 평균 오백 명에 달하고 있는 병원에서 보낸 그날들이 정말로 추상적이었을까? 그렇다. 불행속에는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일면이 있다. 그러나 추상이 우리를 죽이기 시작할 때에는 정신을 바짝 차리고 그 추상과 대결해야 한다.-p120

 

그런 추상의 상황에서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의 연대기는 나를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으로 인도한다. 페스트의 시작부터 길고도 힘든 투쟁과 함께 그것을 이겨내는 과정이 자세하게 담겨있다. 작가의 위대함은 단지 이 감염병을 연대적으로 서술하는 것만이 아닌 각 인물의 상황과 고뇌를 나타내고 인간의 여러 모습을 보여주는 데 있다. 리유, 타루, 랑베르, 그랑, 코타르,리샤르등 각자의 인물들이 대처하는 페스트는 지금 우리와 다를바 없다. 파눌루 신부의 두차례의 강론이 이해될 수 없을 수도 있지만 그가 신부이기에 그렇게 말하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겠다.

 

감염의 징후로부터 그것을 인정하고 대처하기까지 194X년 오랑시와  2020년, 이 세계는 큰 차이가 없다. 과학의 급속한 발달로 당연히 많은 변화가 있어야함에도 오히려 그때보다 못하다는 느낌이 더 들며 부조리한 인간의 삶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존재한다는 걸 절실하게 알 수 있다. 부조리함에 놓여져 있는 인간의 삶을 얘기하면서도 결국 인간들의 고뇌와 희생, 견딤으로 페스트를 이겨냄을 이 연대기에는 나타내고 있다.

 

페스트가 물러간 오랑시는 축제의 분위기에 휩싸이지만 코로나19가 끝나가는 우리들에게 남겨진 것은 분명 축제가 아닐거라는 것은 확실하다.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로 힘든 사람은 더 힘들어지고 가을이나 겨울에 다시 이 감염병이 확산될거라는 우려만이 남는다. 실존의 댓가는 날로 커지며 죽음까지 가는 여정이 더 힘들어지는 이 부조리함에 몸서리치지만 살아간다는 것에 조그만 희망을 가지고 우리 모두 축제의 장으로 뛰어나갈 수 있을 그날을 기대해본다.

 

직접적이건 간접적이건, 좋은 이유에서건 나쁜 이유에서건 사람을 죽게 만들거나 또는 죽게 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모든 걸 거부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사람은 제각기 자신 속에 페스트를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상에서 그 누구도 그 피해를 입지 않는 사람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늘 스스로를 살펴야지 지칫 방심하다가는 남의 얼굴에 입김을 뿜어서 병독을 옮겨 주고 맙니다. 자연스러운 것, 그것은 병균입니다. 그 외의 것들, 즉 건강, 청렴, 순결성등은 결코 멈춰서는 안 될 의지의 소산입니다.-p3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