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약 아프다면?
난 병원에 갈 것이고
의사의 진단에 따라 치료하고 약을 먹겠지.
나에겐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

‘우리 몸이 세계라면‘ 은
그 부제목에서 밝혔듯이
분투하고 경합하며 전복되는
우리 몸을 둘러 싼 지식의 사회사다.

그때의 우리 몸은
권력의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지식과 관습, 모순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다.
권력,시선,기록,끝,시작,상식이라는 6개의 주제로
작가는 역사적인 사실부터
현실의 문제까지 서술하며
사회역학의 연구자로서 반성과 자세를 얘기한다.

처음엔 가볍게 그냥 지식을 받아들이려 책을 폈다.
그러나 책을 읽어갈수록
결코 가볍지 않은 내용때문에
머리가 무거워지고 가슴이 답답해졌다.
결국 내 몸은 돈과 권력에 의해
살 수도
죽을 수도 있는 것이었다.
막연히 그럴 것이라고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한 수치와 그래프로 나타낸 글 앞에서
한번 더 실감하고 인정할 수 밖에.

‘각성하자‘
‘의문을 가지고 질문하고 감시하자‘
고 다짐할들 내 몸이 아프다면?
난 어쩔 수 없이 그 무방비와 암흑의 세계로
걸어 들어 갈 수 밖에.
내 몸이 세계라서
메커니즘적으로 대우받고
그 신성함에 존중받기를 바라며
그 뒤의 좀더 구체적인 방향과 대안 제시를
작가에게 바란다.



*인간의 몸에 대한 지식이 생산되는 과정은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p29

*여성의 질병은 남성이 생산해낸 의학지식으로
진단되고 치료 받습니다.p30

*담배회사는 죽음을 판다. p31

*일제강점기의 인종주의 과학은 실증적.정량적 측정이라는 측면에서 과학의 외피를 둘렀지만 결론은
정해져 있었습니다.통치해야 하는 ‘이웃집 원주민‘
조선인에 비해 일본인이 인종적으로 우월함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p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