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빨강 2 민음사 모던 클래식 2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내 이름은 빨강‘
이 제목을 통해서
소설 첫 장면의 살인사건에 대한 이야기의 시작으로
‘빨강‘이 뭘까,빨강을 통해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 지가
궁금했다.
16세기말 이스탄불의 세밀화와 세밀화가들에 대해
여러가지 역사적 사실과 에피소드를 묶어
각각의 화자를 통해 이야기는 연결된다.

그림을 그릴 때
전통적인 기법을 그대로 따라야하는지
아니면 저마다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려고 애쓰는
베네치아 화가들처럼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고스란히 들어 있으며
작가는 읽는 나에게도 똑같이 질문하는 듯 하다.
그런 이유로 난 이 책을 읽으며
나비,올리브,황새,화원장 오스만,에니시테 에펜디의
얘기를 들으며 누구의 말이 옳은 것인가,
어떤 화풍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답을 해야한다는 생각에 무겁게 책을 읽었다.
마지막 책장을 덮었을 때조차
결론을 내지 못했으며 엘레강스를 죽인 살인자도
책의 끝부분에 밝혀졌을때야 알 수 있었다.

잘 이해하지 못한 까닭에 답을 말할 수 없을까?
라는 생각에 다시 1권부터 궁금한 부분들을
자세히 다시 읽어가니 내가 놓친 부분이 많았고
이 소설은 잘 짜여진 모직물처럼 완성도가 있었고
난 그 천을 몸에 걸치기만 하면 되는 것이었다.
각각의 화자가 얘기하는 건 다 맞는 말이었고
그러한 것들이 얽히고 섞여 이스탄불의
세밀화가 꽃 피었으리라.
오르한 파묵의 이 소설은
100년 동안 찬란했던 세밀화와
눈멂을 통해 신의 세계에서 바라볼 정도로
평생을 바쳐 그림을 그려온 장인들에 대한
헌사이며
그 전통을 이어오지 못한 아쉬움을 토로한다.

이 소설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내가 휘스레브와 쉬린을 알게되고
페르시아와 이스탄불의 세밀화를 볼 수 있었을까.
노벨 문학상은 이렇게 전세계적으로
터키를 알리는 계기가 된다.
우리의 서울을 완벽하게 알릴 수 있는 작가를
기대해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9-08-05 19: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르한 파묵 책 중에서는 이 책이 많이 알려진 것 같아요.
다른 책도 많이 소개되었지만, 이 책이 먼저 생각납니다.
페넬로페님, 시원하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