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촌에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서울, 북촌에서 - 골목길에서 만난 삶, 사람
김유경 지음, 하지권 사진 / 민음인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아파트와 고층빌딩이 즐비한 서울에서 그나마 옛 정취를 찾을 수 있는 곳이라면 누구나 북촌을 떠올린다. 한옥과 굽이 굽이 골목길이 아직은 남아 있는 곳, 그래서 왠지 하염없이 골목을 배회해도 좋을 것 같은 곳, 꼭 잃어버린 고향 같은 느낌을 주는 곳이 북촌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어느새 우리 삶의 터전이라기보다는 어쩌다 한 번 마음먹고 찾아가야 하는 곳 같은 느낌을 주는 그곳 북촌을 수없이 답사하고, 그 북촌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대화하고 그 곳에 흔적을 남겼던 사람들의 인생을 더듬어 보는 책이 나왔다.  

사람은 저마다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와 추억이 있다. 그게 나에게는 골목길의 기억이다.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난 일부러 골목을 빙빙 돌아 집으로 가곤 했다. 사람 한 두명 간신히 지나다닐 수 있을 만한 길 옆의  어떤 집은 낮은 슬레이트 담벼락에 쌓여져 있었고 어떤 집은 그냥 싸리 나무 울타리나 옥수수 같은 것으로 울타리를 삼아 집 안이 훤히 보이는 것들도 있었다. 굽이 굽이 돌아가는 미로와 같은 그곳을 호기심 잔뜩 안고 걸었던 게 생각이 난다.  끝이 보이지 않아서, 막다른 길인줄 알았는데, 옆으로 난 또 다른 길을 만나기도 하고, 또 어디론가 연결되었을 거라 믿고 가다 보니 막혀 있어서 돌아나오기도 하고, 닫겨진 철문 뒤에 뭐가 있나 생각하기도 전에 개 짓는 소리에 지례 겁먹고 도망쳐 나오기도 하고..  낯선 골목을 배회하는 건 내가 그 당시 할 수 있는 가장 큰 모험이었다.  

이젠 시골에 가도 그런 골목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아주 시골은 집이 드문드문 있어서 골목이라고 할 만한 게 없고, 집이 모여 있는 곳에는 어디나 차가 들어갈 수 있는 소방도로가 뚫려 있다. 그래서 고향에 내려가도 어린 시절 나를 설레게 했던, 모퉁이를 돌아서면 어떤 집이 나올까, 어떤 사람들이 살고 있을까 하는 기대를 불러 일으키는 길을 만나지 못한다.  

오히려 그런 길을 제작년엔가, 난 삼청동 어디 쯤에서 만났다. 우연하게 직장 동료들과 인사동을 걷다가 처음 가본 곳 삼청동!! 서울에 이런 곳이 있어 하는 놀라움을 불러 일으켰다. 어떤 풍경이 아니라, 길 자체 때문에 계속 걷고 싶다는 느낌을 정말 오래간만에 만났다. 굽이 굽이 돌아가는 길 사이 사이에 만나는 신기한 가게들.. 신기한 박물관들.. 화랑들.. 물론 어김없이 음식점들이 꽉 들어찬 곳들도 많았지만, 오밀 조밀 무언가가 꽉 들어차 있는 제대로된 골목을 만난 느낌 이었다.  참 반가웠었다.  

그 때 당시 기분으로는 주말마다 삼청동 나들이를 할 것 같았지만, 어찌된 일인지 그 뒤로 한번도 그 곳을 가지 못했다. 바쁘기도 했었고, 또 일부러 용무없이 찾아가기에는 그곳이 낯설고 멀게 느껴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 서울 북촌에서를 처음 펴 보았을  때, 내가 걸었던 그 길들과 그 아기자기한 골목들, 작은 가게들이 떠올랐다. 구석 구석 수많은 곳을 누빈 흔적들, 예쁜 사진들.. 또 그곳에 얽힌 옛 이야기들과 사연들.. 재미있었다. 어느 햇볕이 좋은 오후에 책 한권 들고 저자가 소개해준대로 삼청동이며, 평창동, 성북동, 서울 성곽을 따라 걸어보고 싶다. 특별히 예술 이라고 할 것 없이 삶 자체가 격조 높고 아름다웠던 조선 조 선비 문화의 자취를  쫓아가고 싶다.   

그런데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하루가 다르게 서울 북촌도 변해가고 있다. 옛 사람들의 흔적은 점점 묻히고 자본주의 상업 문화가 곳곳에 침투하고 있다. 한적하게 걷던 길은 없어지고 터널이 뚦리고 나름대로 정겹던 건물들은 철거되어 빌라촌으로 바뀌어가고 위엄있던 저택들은 죄다 쪼개져서 일부는 아무도 살지 않는 빈집이 되고 일부는 상업 시설로 바뀌고 찻집이 되어 버리고.. 

서울에서 그나마 가장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는 곳, 북촌도 자본주의의 무시무시한 변화의 손길을 피할 수는 없는 모양이다. 옛날 선조들은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을 간데 없다고 아쉬워했었다. 그런데, 현대 자본주의 사회 체제 하에서는 산천 조차도 그대로일 수가 없다. 하루가 다르게 개발이나 건설이니 하면서 아파트나 도로 골프장, 리조트 등으로 바뀌어 버린다.  

잃어버리기 전에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데, 뒤늦게 잃어버리고 나서야 후회한다. 그런 의미에서는 이 책이 반갑다. 5년이라는 긴 시간동안의 취재, 그곳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전하는 진솔한 일상, 그리고 사진들... 어쩌면 내가 이 책을 읽고 있는 동안에도 북촌은 조금씩 달라져갈 테고.. 언젠가 우리가 조선 시대의 풍물을 이야기해주는 글을 신기한 마음으로 접하듯, 우리 후손들이 이 책을 접하게 될 거란 생각을 해 본다.  그 후손들은 우리 세대에 대해 무엇이라고 평가할 지 문득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