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의 귀환>을 리뷰해주세요
-
-
어린왕자의 귀환 - 신자유주의의 우주에서 살아남는 법
김태권 지음, 우석훈 / 돌베개 / 2009년 7월
평점 :
자본주의의 병폐에 관한 학습만화 같다. 대부분의 학습 만화가 그렇듯이 이 책도 신자본주의가 결코 우리 사회의 발전이나 우리 모두의 행복을 위한 적절한 대책이 아닌 이유를 참 쉽게, 그리고 설득력 있게 말해주고 있다.
이 만화는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는 [어린 왕자]를 많이 차용하고 있다.
진짜 중요한 것을 알지 못하고 보이는 세계에만 치중하는 어리석은 어른들과 대비되는 순수한 영혼의 상징, 어린왕자!!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네가 네시에 온다면 난 세시부터 행복해 질거야.. ~~ 네 장미가 특별한 이유는 그 장미에 들인 네 정성과 시간 때문일거야. 사막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 안에 샘을 품고 있기 때문이야.. "등등 아직도 마음에 여운이 많이 남는 아름다운 원작을 완전 패러디해서, 이 만화에서는 두명의 어린 왕자 주영과 남수가 등장한다.
어린 왕자처럼 가진 것 별로 없는 (작은 별에 작은 화산, 장미 하나 정도 밖에 없다.) 비정규직 젊은 왕자 주영과 남수는 어느날 문득 은하철도 999를 타고 온 낯선 자에게 설득당해 은하계의 여러 별들을 전전하면서 신자본주의의 허와 실을 생생하게 체험하게 된다.
말하자면 이런 식이다. 리카르도의 비교우위설에 입각해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분야에만 집중하면 모두 잘 살게 된다는 자유 무역 이론이 실제로는 가난한 나라의 재화를 어떻게 부자 나라로 옮아가게 하는지 소금과 우산의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고,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시장의 자율 기능을 맹신했을 때, 개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시장의 속성에 의해 어떻게 공익이 폐기처분되는지.. 경영 합리화란 명목으로 얼마나 쉽게 개인의 존재가치가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는지, 무슨 만병 통치약처럼 언급되는 공기업 민영화가 왜 방만한 부실 공기업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없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또 나날이 커가는 자본의 힘으로 노동 계층을 정규직/ 비정규직, 남성/ 여성, 화이트칼라/ 블루 칼라, 내국인/외국인, 도시인/ 시골주민 등으로 나눠 한쪽만을 우대해 주는 방식으로 교묘하게 분리시켜 버린다.
그러니, 나날이 강성해지는 자본의 힘앞에 개별화된 노동자는 무력할 수 밖에...
88만원 세대가 비단 지금 20대만의 문제는 아니다. 무자비할 정도로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주의의 궁극에 이르면 가진 자라는 부류에 속하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언제든 비정규직으로 몰릴 수 있고 그런 사람들을 받아줄 사회 안정망은 너무 허약하다. 더욱이 지금 대통령은 미국식 신자본주의의 힘을 맹신하는 2MB이다.
어린 왕자는 사막에서 다시 자신이 태어난 별, 자신이 길들인 아름다운 장미가 기다리고 있는 자기 별로 돌아갔지만, 이 책 속 어린 왕자 주영과 남수는 보이지 않는 물신(物神) 자본의 힘 앞에 무력해져서 자신의 별을 잃어버리고... 자본주의 우주 어딘가에서 무기력하고 슬픈 표정으로 자신의 별을 바라보고 있을 것이다.
바로 우리들이 그런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