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마지막 인터뷰>를 리뷰해주세요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기자와 나눈 3일간 심층 대화
오연호 지음 / 오마이뉴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부터 사람의 진정한 가치는 그 사람이 죽었을 때 알 수 있다는 말을 많이 들어왔었다. 그의 죽음에 가슴 아파하며 뜨거운 눈물을 흘릴 자가 몇인가에 따라, 그 사람의 살아온 인생이 평가될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런 면에서 전 대통령 노무현은 헌정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로부터 진심어린 조문을 받았으니, 어떤 면에서는 한 평생을 잘(말의 본래 뜻 그대로, 가치 있고 훌륭하게) 사람일 것이다.   

도대체 노무현은 어떤 사람이었기에 그의 죽음에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아파했을까? 그런 의문을 풀어줄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이 책은 오마이뉴스의 오연호  기자가 재임 마지막 해를 보내고 있던 노무현 대통령과의 했던 3일간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평생 총 여덟 번에 걸친 만남을 통해 우리가 잘 모르는 바보 노무현, 정치가 노무현, 대통령 노무현, 정치학자 노무현, 사상가 노무현, 인간 노무현의 모습을 복원해 낸 책이다. 

 

정치 자체에 무관심 했던, 그래서 대통령 선거 때도 투표조차 안하며, 아무도 선택하지 않는 것도 내 권리라고 말했던 나는 참여 정부 내내, 대통령 노무현을 싫어했었다.  

그 정도 위치에 오르면 의례 따르기 마련인 언론의 비판에 대해 발끈해서 막말을 쏟아내는 그의 모습을 보면서 지도자로서의 포용력이 부족한 사람이 아닌가 생각했고, 걸핏하면 힘들어서 못해먹겠다고 하는 그를 보면서 대통령으로서의 카리스마와 리더쉽이 모자란다고 평가했다. 뜬금없이 한미 FTA를 한다고 할 때는 자동차, 핸드폰, 컴퓨터 좀 더 팔겠다고 국민 대다수를 승자 독식의 미국식 자본주의에 제물로 바치는 미친 짓이라고 했다.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한, 그 시대적 분위기에 맞는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대통령의 몫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기에, 아무런 비전도 제시하지 못하는 노무현, 왠지 실패만을 거듭하는 것처럼 보이는 대통령 노무현을 나는 아무 죄책감 없이 준비되지 않은 대통령이라고 판단해 버렸다.    

그런데, 요즈음 내 섯부른 판단과 오만에 대해 많이 반성중이다. 어리석게도 보수언론의 노무현 흠짓내기에 너무 쉽게 넘어가 버린 꼴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그런 반성과 자책감에 더더욱 얼굴이 많이 달아오른다.  

대통령 노무현이 추구했던 가치, 강하고 재능있는 사람들이 모든 것을 주도하는 사회가 아니라, 약자를 보듬어 안아 함께 하고자 했던 그 마음, 자신의 권위가 사정없이 무너져 내리더라도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키고자 했던 그의 원칙과 소신을 왜 예전에는 미처 알지 못했을까.  그저 권위적으로 이끌어가는 독재 정권에 너무 익숙해져 있었기에,  권력을 위임을 하되, 지배는 단호하게 거부하는성숙하고 깨어있는 시민 권력에 대한 앞선 비전을 가졌던 지도자 노무현을 나는 수용하지 못했는지도 모른다.    

정말 전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부끄럽지 않을, 자기 자신의 명예나 사욕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앞날을 위해,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국민 한 사람 한사람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살았던 대통령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그의 가치를 조금씩 깨닫게 된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꿈꾸었던, 아니, 단지 꿈만 꾼 게 아니라, 직접 행동했던(너무 앞서 있어서 제대로 이해받을 수도, 지지 받을 수도 없었지만) 노무현이라는 걸출한 지도자를 우리는 보수 언론의 무자비한 비판에, 현 정권의 치졸한 술수앞에 무방비로 내 던져 버렸었다.   

노무현의 자살은 단지 전직 대통령 한 사람의 불운이 아니라, 너무 거대해진 언론 권력, 시장 권력 앞에 평범한 소시민의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의 욕구가 말살되어가는 하나의 상징이다. 단지 현 정권 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거대 자본의 벽 앞에 민주, 자유, 평등이라는 인간 본연의 가치가 무시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한 상징이다.

지금도 국회에서는 거대 언론의 미디어 장악을 위한 미디어법이 개악되려고 하고 있다.

그가 가고 나서야, 비로소 그를 죽음으로까지 몰아 넣은 것은 수구 세력만이 아니라, 그에 진심을 외면했던, 혹은 아예 무관심했던 나와 같은 보통 사람들일 수도 있다는 반성을 하게 된다. 그를 보내고 나서야, 한 사람의 걸출한 지도자가 이끄는 나라가 아니라, 성숙되고 깨어난 보통 시민들이 제대로 제 역할을 하는 나라에 대한 그의 이상을 위해 우리 모두 각성해야 함을 깨닫는다. 또 그를 보내고 나서야 더이상 무관심과 무책임으로 선거를 외면하는 것이 선택이 아니라, 무책임한 책임 회피임을 절감한다.  

책에 실린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말로 글을 끝맺고자 한다.

"노무현입니다.. ~ 중략 ~ 

저도 부족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저도 부족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납득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을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속았다고 생각하기가 쉽지요. 그리고 실망하고, 다음에는 세상을 불신하게 되지요. 

부족한 그대로 동지가 되면 좋겠습니다..""  

당신을 동지로 받아들이기에는 많이 부족했던 저희 모두를 용서하시길~~..  당신님의 뜻대로, 이제 한 사람 한사람 시민들이 각성하고 있음이 조금은 위안이 되시길~~.. 그리고 영면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