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 젊은 인문학자 27인의 종횡무진 문화읽기
정민.김동준 외 지음 / 태학사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이책의 성격은 일종의 잡지라고 보면 된다. 비슷한 주제이지만 서로 논리적인 연결성은 없는 짧막한 글들을 모아 모자이크를 만드는 것이다.

이책에 실린 27편의 글은 필자도 다르고 소재도 모두 다르다. 그들을 하나의 책으로 묶어주는 것은 한국의 역사라는 울타리 외에는 없다.

잘 알려져있지만 내용을 아는 사람은 드문, 퇴계의 성학십도의 짧은 해설이 나오고, 거의 알려지지 않은 남명 조식의 도상이 소개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책의 아티클들이 그렇게 울트라 하드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절대 다수가 말랑말랑 소프트하다.

가령 다산이 그린 매조도가 왜 두점이 남아 있고 한 점에는 새가 두마리인데 왜 한 점에는 한 마리인가를 캐들어가는 아티클은 두마리가 그려진 잘 알려진 매조도는 시집가는 딸에게 준 것이고 한 마리가 그려진 매조도는 늙으막에 얻은 딸을 위해 그린 것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러나 그 딸과 생이별할 수 밖에 없었던 다산은 그 그림을 갖고 있을 수 없었고 지인에게 선물해 눈 앞에서 그림을 치울 수 밖에 없었다는 사연을 추적한다.

재미는 있지만 다산 정약용이란 거물의 사연이 아니라면 시시콜콜하다. 물론 그림에 그런 사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으로도 꽤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좀스럽다고 까지 생각할 소재이다.

이책의 아티클들이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대다수는 좀더 보편적인 내용을 다룬다. 고려시대 불화와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불화를 비교하는 아티클이나 정선의 금강산도를 읽어내리면서 당시 바위에 글을 새기는 관습의 권력론적 독해라든가, 영화 ‘왕의 남자’를 실제 역사와 비교하면서 비판적인 지식인으로서 조선시대 궁중광대를 읽는 아티클, 문중에 내려오는 기념화를 읽으면서 임진왜란 전후 조선의 전술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보여주는 아티클 등은 보편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책의 제목을 말해주는 성격의 아티클들은 보편적인 성격을 갖지만 좀더 사적인 레벨의 팩트를 다루는 아티클들이다. 책의 앞부분에 배치된 아티클들이 그런 성격을 잘 보여준다. 사대부들의 모임을 다룬 그림에서 당시 사대부들이 어떤 취미를 가졌었고 양반의 풍류라는 것이 실제 어떤 내용이었는가를 보여주는 몇 편의 글이 앞머리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어떤 ‘상업가’ 부인의 회갑연 기념사진을 파고 드는 글은 이책에 실린 아티클들의 성격을 가장 잘 보여준다.

회갑연 기념사진이 다 그렇듯이 이 사진 역시 일가 사람을 모두 찍은 사진이다. 그러나 사진의 사람들은 ‘상업가’라는 말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한 가운데의 가장은 물론 뒷줄의 남자들도 관복을 입었고 여자들도 신분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옷을 입었으며 하나 같이 용모가 번듯하다. 사농공상의 서열 바닥에 있는 사람들이 아니다.

이 글은 불일치를 파고 든다. 주인공의 가문을 추적하면서 가장 주인섭이 2품 가선대부까지 오른 고위관료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 고위관료가 상업가? 그런데 실제 주인공은 종로 요지에서 지전, 즉 종이가게를 운영했다.

이런 불일치가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추적하면서 저자는 구한말 몰락해가는 국권을 읽는다. 2품 고위직을 지낸 사람까지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정도로 국가의 힘이 약해졌던 시절을 읽는 것이다. 주인공의 아들들은 아버지처럼 상인이 되어 종로통의 상권을 장악해간다.

주인섭의 가문만이 아니었다. 무늬만 양반이 아니라 고위직을 지낸 실세 양반들이 상업에 뛰어든 경우가 당시에 꽤 되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어쩌면 이들은 구한말 전환기의 향방을 그 누구보다 직시하고 가장 현실적으로 처신한 것은 아닐가? 왕실과 국가가 더 이상 자신의 신분을 보장해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취한 마지막 자구책이었을지도 모른다. 만약 이들이 지금처럼 자신을 소개하는 명함을 만들었다면 아마도 ‘상인’이 아닌 ‘상업가’로 표기했을 것이다. 신분의 반전을 요구하는 시대에 꿋굿히 맞선 새로운 상인층이라는 자의식에서 말이다. 이재현과 주인섭의 사례는 과거에 누린 지위와 허세를 버리고 새로이 생업에 뛰어들어야 했던 구한말 관료들의 쓸쓸한 자화상이기도 하다.”

한장의 사진을 읽으면서 시대를 읽는 것. 이책의 아티클들의 성격이다. 이책이 읽는 그림들은 주인섭 가문의 회갑연 사진처럼 사연을 담고 잇다. 당시의 그림은 지금의 사진과 마찬가지이다. 어떤 일이 있을 때 그 일을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해 그림을 그렸다. 이책의 저자들은 그 그림들을 읽으면서 그림을 의뢰한 사람들이 기념하고 기억하려 했던 사연들을 읽는다. 그리고 사연들을 읽으면서 시대를 읽는 것이다.

그렇게 읽어낸 사연들은 이책이 다루는 그림들이 서로 아무 인연이 없듯이 제각각이다. 단지 과거 역사의 한 시점에 있었던 사연이라는 것 이외에는 아무 공통점이 없다. 그렇기에 이책의 아티클들은 순서 없이 아무데나 읽기 시작해도 어느 것을 빠트리고 읽어도 무방하다. 유기적인 연결이 없다는 말이다. 한권의 책으로 묶일 이유가 없다고도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책으로 묶여진 27편의 글들은 하나로 묶여 과거의 이미지를 그려낸다. 그 이미지들은 서로 아구가 맞지 않는 모자이크를 만들 뿐이지만 과거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가를 구체적으로 그린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가 있는 책이 되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