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lor of Water (Paperback, Reissue) - A Black Man's Tribute to His White Mother
James McBride 지음 / Riverhead Books / 1997년 2월
평점 :
품절


“버지니아에 의붓 아버지 가까이 묻어 드릴께요.”
“오 아니야. 날 버지니아에 묻지 마. 난 버지니아에서 도망쳐 나왔어. 다시 그리로 돌아가고 싶지 않구나.”
“노스캐롤라이나는 어때요? 아버지 계신 곳에 묻어 드릴께요.”
“아니야. 남부에서 도망치느라 평생을 다 보냈어. 도로 남부에 데려다 놓지 마.”
“알았어요. 그럼 뉴욕 어때요 거기서 40년을 사셨잖아요.”
“너무 복닥복닥해. 난 다른 사람 밑에 눌리고 싶진 않구나.”

죽어서 묻힐 곳도 없는 여자.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그녀의 취미는 이사이다. “내가 아는 사람 중에 십 년 내내 이사 중인 유일한 사람이다. 말 그대로 이사는 곧 엄마의 생활양식이 되었다. 동네에 있는 부동산업자라면 누구하고라도 다 허물없이 지내는 것 같았다.”

묻힐 곳도 없고 정 붙이고 살 곳도 없는 그녀가 태어난 곳은 폴란드의 유대인 게토였다. 폴란드에서 두살까지 산 그녀는 아버지를 따라 뉴욕으로 갔다. 랍비였던 아버지는 어렵지 않게 일을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집불통이고 기익적인 그는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했고 아버지를 따라 여기저기를 떠돌아야 했다. 그러다 버지니아의 가난한 촌구석에 가게를 내고 거기에 정착하게 된다.

그러나 그곳은 그녀의 집이면서 집일 수 없는 곳이었다. 학교에선 예수를 죽인 유대인 계집이라며 따돌림을 당하며 외톨이로 지내야 했다.

당시 남부에선 인종차별이 심했다. 트럭을 타고 KKK단이 돌아다니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고 강에서 ‘니그로’ 시체가 떠올랐다는 말은 심심치 않게 들렸다.

100년전 조상까지 올라가도 노예소유주였던 사람은 드문 그들이 흑인을 깔보고 학대하는 것은 가난하고 별볼일 없는 자신의 상처받은 자존심을 달래기 위해서였다.

학교에서 그녀가 유대인이란 이유만으로 왕따를 당하는 것도 같은 심리였고 그녀는 단지 희생양으로 걸려든 것일 뿐이었다. 그러나 어린 그녀에겐 그런 집단폭력에 저항할 힘도 자존심도 없었다. 애초에 그녀의 환경은 그런 자존감을 키워주지 않았다.

얼마 안되는 유대인들에겐 흑인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는 집안이라며 무시당해야 했다. 가족조차 그녀에겐 의지할 대상이 아니었다. 자기 차는 매년 새것으로 사면서 아이들 옷은 헌옷이어야 하는 이기적인 아버지. 애초에 미국행 티켓으로서 (그녀의 외가친척들이 뉴욕에 살고 있었다) 결혼했을 뿐이며 소아마비 때문에 몸의 왼쪽 절반을 쓰지 못하는 아내에겐 아무런 애정도 없었고 그걸 비열하게 놀리고 폭력을 휘두르는 아버지, 친딸의 몸을 더듬으며 성적 학대를 하는 아버지.

그녀가 의지할 상대는 어머니와 형제들 뿐이었지만 어머니는 아무런 힘이 없었다. 오빠도 집을 나갔다. 여동생과는 가깝지만 속을 터놓을 정도의 사이는 아니다.

혼자인 그녀에게 손을 내밀고 인간적으로 다가온 것은 가게에 오는 흑인들이었다. 그녀는 차별받고 가난한,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인 그들이 더 인간답고 밝게 사는 모습을 본다.

그런 그녀가 숨을 돌릴 수 있는 것은 외가가 있는 뉴욕에 방학동안 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외가의 이모들은 (내논 자식으로 처분해버린) 불구인 동생의 딸인 그녀에게 무관심했다. 그저 머물게 해주는 것으로 의무를 다한다고 여겼다.

그녀는 혼자였다. 혼자인 그녀에게 어느날 이모 공장에 일하는 흑인청년이 들어왔고 그녀는 그와 사랑에 빠진다. 교양이 넘치고 반듯하게 자란 그의 인품과 인간미에 반한 것이다.

흑인과 백인이 결혼하면 남부였으면 죽을 수 있던 시절에 그와 결혼한다는 것은 스캔들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상관하지 않았다. 어차피 그녀에겐 잃을 것이 없었으니까.

그와의 결혼생활은 행복했다. 흑인과 결혼하면서 유대인 사회에서도 절연당하고 백인들에게 외면당하고 흑인들에겐 백인이라고 외면당했지만 그녀는 행복했다. 그녀가 있을 곳을 같이 있어줄 사람을 찾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녀와 8명의 자식을 남겨둔 채 40대에 남편은 죽는다. “하느님을 먼저 생각해” “머리가 텅 비었는데 돈이 다 뭐냐” 그녀는 목사였던 남편의 방식대로 신앙과 배움을 기준으로 자신만의 성에서 자식들을 지키기 위해 분투한다.

다시 반듯하고 인간미 넘치는 흑인과 재혼해 4명의 자식을 더 얻지만 그녀의 세상은 어디까지나 그녀와 자식들이 머무는 ‘성채’에 머물렀다. 그녀가 있을 곳은 가족이 있는 집 이외에는 어디에도 없었던 것이다.

이후의 이야기는 이책의 저자이며 8째인 아들의 이야기로 전해진다. 자신은 흑인인데 엄마는 백인인 이상한 상황에서 흑인들 동네인 할렘에 살아야 했던 저자는 언제나 자신은 누구인가란 물음을 가지고 살았다. 그의 형제들도 마찬가지였다. 저자가 10대를 보냈던 시절은 인권운동으로 시끄러웠던 시절이었고 흑인들의 저항의식과 정체성에 대한 의식이 강하던 시절이었다. 이책은 어릴 때부터 나는 어떤 사람인가란 질문을 가지고 살아야 했던 그들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 어머니는 어떤 사람인가란 물음에 답을 하기 위해 쓰인 책이다.

이렇게 보면 이책은 혼혈가족의 시시콜콜한 이야기일 뿐으로 들릴 것이다. 그리고 가난한 살림살이에도 자식 12명을 모두 대학원까지 보내고 교수, 의사, 교사, 기자, 전문직 공무원으로 만든 억척 어머니의 아메리칸 드림 스토리로 말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책이 100주 연속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미국의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교재로 쓰인 이유는 그런 것에 있지 않다. 위에서 요약한 것과 같이 미국역사에서 어두운 부분인 인종차별을 대공황 시절 남부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어머니의 이야기와 60년대 할렘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야 했던 저자의 이야기에서 그 차별을 겪으며 살아야 했던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상처를 가지고 살아야 햇는가를 평이하고 간결하게 보고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