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은 글재주 - 고대 중국 문인들의 선구자적 삶과 창작혼
류소천 지음, 박성희 옮김 / 북스넛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판권부분에 적힌 이책의 원제는 품중국문인 1권이다. 品자는 평가한다는 의미로 쓰이니 중국문인평전 1 정도로 번역이 되겠다. 이책에선 전국시대의 굴원에서 송의 건국 직전까지 저자가 선택한 문인들을 평전형식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번역서의 제목인 천하를 얻은 글재주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책의 저자가 선정한 문인들은 자신의 글재주로 살아 생전 세상을 얻지는 못했지만 그들이 남긴 글로 후세의 사람들의 마음을 얻었으니 천하를 얻은 글재주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책에서 다루는 사람들 중 어용시인의 길을 걸은 한나라의 사마상여를 제외하고는 모두 당대에 뜻을 펴지 못하고 쓸쓸하게 생을 마감한 사람들이다.

저자가 가장 사랑하는 유형의 문인은 굴원과 사마천으로 보인다.

책의 처음을 열고 있는 굴원은 쓰러져가는 초나라를 개혁해 진나라로부터 지키려 했지만 무능한 왕과 정적들의 견제를 당한 좌절한 정치가였다. 결국 그는 수도가 함락당해 불태워졌을 때 강에 몸을 던져 자살한다.

사마천도 모두가 취했을 때 홀로 깨어있어 죽어야 했던 굴원처럼 한무제의 폭정에 무력했지만 현실에 저항할 수 없는 분노를 사기라는 걸작으로 남기고 죽었다.

저자가 생각하는 중국 역대 문인의 이상형은 이렇듯 그들의 문학과 천하가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글을 안다는 것 지식인이라는 것이 곧 정치행위로 연결되었던 중국에서 그러한 문인은 사대부들의 이상이기도 했다. 이책에 소개된 죽림칠현의 일원인 혜강도 그런 부류에 속한다 하겠다.

그 이후에 다루어지는 도연명이나 이백, 두보, 백거이는 굴원과 사마천과 같은 스케일을 갖지는 않는다. 저자는 그에 대해선 별 언급이 없다. 그들이 정치의 핵심부에 있지도 않았고 권력의 주변부에 있던 사람들이었기 그렇기도 하지만 대귀족에서 중소지주로 지배계급이 넘어갔던 중국사의 흐름과 맞물려 중국문학의 흐름이 점점 개인화되어 갔던 흐름을 반영하지 않나 짐작해본다.

일단 저자가 이책에서 제시하는 문인의 유형은 이와 같이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고 하겠다. 그 두부류의 문인들에 대해 저자는 그들이 살았던 시대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삶을 추구했으며 어떤 경험을 했는가를 보여주면서 그들이 쓴 작품들을 그들 삶의 괘적을 따라 소개하는 형식으로 이책을 진행한다.

일반적인 문인평전의 형식이다. 그렇다면 이책은 많고 많은 평전 중에서 얼마나 가치가 있는 책일까?

그에 대해 말하기 전에 개인적인 사정을 먼저 말해두는 것이 나을 것같다. 개인적으로 한시를 읽을 능력이 안되기 때문에 이책에 인용된 시들을 이해할 능력은 없다. 그냥 옆에 번역된 것을 보면서 그런가보다 할 뿐이니 그들이 왜 위대한 시인인지 느끼기는 힘들다. 학교에서 배웠던 것처럼 한시는 나름의 형식이 있고 그 형식을 느끼고 리듬을 느낄 줄 알아야 한시를 즐기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용된 한시를 감상할 능력이 없더라도 이책을 즐기기에는 무리가 없다. 우선 이책은 옛날을 살다간, 이름은 들어봤지만 어떤 사람인지는 몰랐던 사람들에 대해 그들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사람들을 소개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어느 정도 이름만 아는 수준을 넘는 인물은 이책에서 굴원이나 사마천, 이백, 두보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책을 보면서 이름만 들어보았던 또는 이름도 이책에서 처음 본 시인들에 대해 아 그런 사람이 살았었구나 하는 말이 나오도록 이책은 쓰여져 있다. 

다시 말해 앞에서 언급한 굴원이나 사마천은 물론 다른 문인들에 대해서도 그들의 삶의 사건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왜 그런 작품을 썼는지 작품 뒤에 숨은 사람을 느낄 수 있는 정도까지 이책은 쓰여져 있다. 한권에 여러명을 그정도로 다루기에는 오히려 적은 분량에 이름만 들어본 사람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았는가를 알 수 있을 정도까지 쓴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물론 이책은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당시 나름 지배계층으로 살았던 사람들에게 민중에 대한 애정을 강요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봉건적 가치를 살았다고 지금의 기준을 견강부회해 형가하는 식의 대목들이 눈에 밟힌다. 그것도 자신이 들이민 기준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하지도 않으면서 말이다.

결정적으로 거부감이 든 것은 이것이지만 그외에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그런 원인으로 짐작되는 것은 문화혁명 이후 초토화된 중국의 지식인 사회가 밑바닥부터 시작해야 했고 전체적으로 중국 지식인들의 의식수준이 열악한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쨌건 이책의 의도인 중국문인들에 대한 입문서로서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나름 충분한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