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 - 위대한정복자
폴 카트리지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캠브리지대 고대 그리스사 교수가 쓴 이책은 그가 한 강의노트를 기초로 하기 때문에 전문가를 위한 책이 아니라 비전공자를 위한 교양서로 읽을 수 있다.

이책을 읽고 든 생각은 알렉산더 대왕에 대해선 수많은 신화가 만들어져 왔기 때문에 실제 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처럼 역사적 알렉산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정도라는 것이다.

이책에서 저자는 알렉산더에 대한 수많은 견해들과 평가 신화 등을 소개한다. 알렉산더에 대한 평가만으로도 하나의 학문분야가 만들어질 수 있을 정도이다. 그가 살아있던 때부터 그에 대해선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렸다. 저자에 따르면 최근의 신정통론은 업적이 크다는 것은 이론이 없지만 인간적으로는 별볼일 없다 라는 정도로 요약될 것같다. 저자의 논조도 대체로 이를 따라간다.

이책에서 저자가 그리는 알렉산더는 과대망상증에 걸린 몽상가이다. 알렉산더가 좋아했던 책은 호머의 일리아드였다. 그가 꿈꾸는 것은 그리스 영웅이었고 그 영웅은 명성을 쫓고 자기를 과시하기 좋아하는, 통치자라기보다는 전사이다. 이책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런 알렉산더의 생각을 통치자에게 어울리게 바꿔주고 싶어했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보다 먼저 살았던  공자도 그랫고 당시는 고전고대 시대로 정치철학이 완숙된 시절이었다. 당시 완성된 정치철학에서 군주란 민심을 헤아리고 천명을 받드는 사람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알렉산더를 움직인 것은 그런 정치철학이 아니었다. 그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야망과 허영에 따라 행동했다.

물론 그는 페르시아 제국을 소수의 병력으로 쓰러트릴 정도로 유능한 전술가였고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권력을 다룰줄 아는 노련한 정치가였다. 그리고 그가 능력이 있었기에 그가 이룬 정복사업의 결과 위에서 그의 사후 중동의 문명과 그리스 문명이 하나로 합쳐진 헬레니즘이란 문명이 태어날 수 있었으며 로마제국이 가능했고 로마제국 위에서 기독교가 일어나고 지금의 서구문명이 태어날 수 있었다. 이것은 분명 그의 업적이다.

그러나 인간으로서의 알렉산더는 존경할만한 인간성을 가지고 있었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에게 세상은 자신의 명성과 새로운 도전 또는 모험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일 뿐이었다. 그는 페르시아 제국을 무너트린 후 통치를 어떻게 할 것이라는 비전이 전혀 없었다. 물론 정치적 감각이 없는 사람은 아니었지만 그에게는 정복자체가 당기는 것이지 통치는 지겨운 일일 뿐이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그의 사후 그의 제국은 사분오열되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영원한 아이로 살았던 것이다. 게다가 술주정뱅이에 변덕스럽고 신경질적인 성격이었다. 그리고 독재적인 기질이 있는 권력욕의 화신이었다. 저자의 평가로는 알렉산더가 요절하지 않았다면

요즘으로 치면 개인의 제국을 만들려는 꿈에 사로잡혀 재벌왕국을 만들어가는 유능한 기업가 정도가 알렉산더와 가장 닮은 유형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